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1 No. pp.53-63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16.1.53

Concept Analysis of Happiness

Keong Jin Do1, Jeong Seop Lee2
1Department of Nursing, Kyungdong University,Wonju
2Department of Nursing,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Do, Keong Jin Department of Nursing, Kyungdong University, 815 kyunhyuen-ro, moonmag-eup Wonju 220-804, Korea. Tel: +82-33-738-1415, Fax: +82-33-738-1209, E-mail: doragi64@kduniv.ac.kr
September 25, 2015 ; December 25, 2015 ; January 27, 2016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rify the concept of happiness.


Methods:

A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using several databases. The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the following key words: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and concept analysis. Literatures related to happiness were reviewed using the framework ofWalker and Avant's conceptual analysis process.


Results:

Happiness can be defined by the following attributes: 1) physical comfort, 2) socio-economic stability 3) comparative advantage 4) positive emotion from satisfying one's desire, 5) taking a positive view of reality, 6) satisfaction from interacting with others, 7) attainment of life goal through immersion. The antecedents of happiness are as follows: 1) characteristics, 2) basic needs, 3) cognitive system, 4) goal of life, 5) human relationship, 6) socio-economic status. The consequences of happiness are as follows: 1) positive coping mechanism of stress 2) mental health promotion.


Conclusion:

The theoretical definition for happiness is physical comfort and emotional pleasure related to satisfaction of personal needs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t is satisfaction or adaptatio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evaluation over the external situation. Furthermore achievement of life goal means the ultimate self-realization that brings meaningful outcome in human relationship.



행복의 개념분석

도 경진1, 이 정섭2
1경동대학교 간호학과
2한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행복 , 개념분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든지 시대와 인종, 지역을 넘어 서 인류가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행복이며 인류 역사 이 래 불행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없다. 최근 심리학자들도 인간 최상의 잠재력과 강점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그 대표 적인 것이 ‘긍정 심리’와 ‘행복’이다(Kim, Jang, Cho, & Cha, 2008). 대한민국 헌법 10조의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가 치와 존엄을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라는 규정 만 보더라도 행복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며 삶을 살아가는 궁극적인목적이다. 또한행복한 사람은 스트레스에 대한 대 처능력과 사회적 상황에 대한 적응 능력이 뛰어나 신체적 건강은 물론 정신적 건강을 촉진시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 게 된다(Jo & Park, 2011). 이를 반영하듯 2013년 'World happiness report'에서도행복은삶에있어서누구나궁극적 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규정짓고 있으며, 사회발전 정도를 측 정하는 지표로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조사된 각 나라의 행 복 지수를 보고하였다(Helliwell, Layard, & Sachc, 2013). 2013년 6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국가별 ‘행 복지수(Better Life Index)’에 따르면 한국의 삶의 질은 조사 대상36개국중27위에불과하였다. 또한한국청소년의주관 적 행복 지수도 5년 연속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적 행복 지수도 5년 연속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는 스트레스로 인지되는 외적 상황이 위험요인으로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정신건강이 위협 받고 있으며, 더 나아가 행복감이 반감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Kwon, Lee, & Song, 2012).

    우리는 일반적으로 좋은 상황, 좋은 상태, 좋은 느낌일 때 ‘행복하다’라고 말한다. ‘행복해 보인다.’라는 것은 상대방의 표정이나 말, 행동을 통해 알게 되는 인지적 측면의 평가에 의 한다. 역사적으로볼때, 행복에대한논의는고대아리스티푸 스(Aristippus) 및에피쿠로스(Epikuros)의쾌락주의(hedon- ism)에서시작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1894)의행 복론(eudaimonia)에서는자기실현을인간이궁극적으로지향 하는선(善)이라하였다(Oishi, Graham, Kesebir, & Galinha, 2013). 기준점(Set-point)이론에서는 행복이 안정된 성향이 나 물질적 성취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으며, 비교이론에서 는 인지적 사고를 통한 상대적 우위가 행복이라고 주장하였다 (Veenhoven, 2006). 이처럼 행복(happiness)이란 개념은 여러 가지로 정의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행복이란 개념은 ‘주관적 안녕(subjective well-being)’ 또는 ‘삶의 질(quality of life)’로설명하고있으며, 삶의질(quality of life) 중에서도 주관적 삶의 질(subjective quality of life), 주관적 안녕 (subjective well-being)과거의같은개념으로혼용되어측정 되고 있다(Kim, Kim, Cha, Lim, & Han, 2003;Kim, Jang, Cho, & Cha, 2008).

    현재가장많이사용중인행복측정도구는자아수용, 긍정 적대인관계,자율성,환경에대한통제,삶의목적의식,개인적 성장요인으로구성된Ryff와Keyes (1995)의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과 경제적 안녕, 자신에 대한 만족, 안전, 학업성취, 사회적관계, 정서적/정신적안녕의6개영역 으로 구성된 children well-being Index(CWI, 2002)이다. 그러나 집합주의 문화권인 우리나라는 자율성이 강조되는 서 구에 비해 사회적 지위 인정이나 대인관계와 같은 요소가 행 복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사회 문화적인 특성에 따른 행 복의 구성 요인과 각 구성 요인의 비중에는 차이가 있어야 한 다(Kim, Kim, Cha, Lim, & Han, 2003;Kim, Jang, Cho, & Cha, 2008). 그리고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행복 도구를 이 용하여 행복을 측정하는 것은 연구자와 연구대상자 사이의 행 복에 대한 이해 충돌로 인해 엉뚱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 로 행복 개념 및 구성 요인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Lee, 2012). 그럼에도불구하고행복개념에대한연구는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개념이란어떤현상, 사물이나행동그자체가아니라현상 이나사물,행동에대하여인간이마음속에갖고있는생각,또 는 정신의 구성에 의한 관념이다. 그러므로 개념에 대한 정의 는 그 개념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속성들이 포함된 범주를 나 타내주기 때문에 어떤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어야 한 다. 또한개념은시간이경과함에따라변화될수있기때문에 현 시점에서 그 개념이 갖고 있는 속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Walker & Avant, 2008).

    인간 세계는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행복에 대한 개념 정의는 행복 자체뿐만 아니라 현 시점에서의 사회문화적 현상 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모두 포함하고 반영하여 정확하게측정할수있어야한다. 따라서행복개념에 대한 정 확한 정의와 이해가 없이는 정확한 행복정도를 측정하고 있다 고 볼수 없다. 특히, ‘주관적 안녕감’과같이 단적으로행복을 평가하여 국가 간에 행복지수를 비교하는 것은 많은 오류를 범 할수있다. Lu와Gilmour (2006)도행복(happiness)을주관 적안녕(subjectivewell-being)으로개념화한것에대해문제 를 제기하면서 행복에 대한 경험은 일반적이나 행복에 대한 의 미는 복잡하며 문화적인 특성이 있을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미국 및 유럽에서 연구된 행복 역시 문화보편적이라는 가정 하 에 다루어지고 있어 많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행복 개념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Koo & Kim,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논의되고 있는 행복에 대한 개념을 문헌조사를 통해 개념의 모든 사용을 확인하고 여러 사례들을통해속성, 선행요인, 결과및경험적준거에입각하 여정의하고자한다. 이는행복측정도구개발에방향을제시 할뿐만아니라1차예방측면에서의정신건강을위한행복증 진 간호중재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의 개념을 Walker와 Avant (2008) 의 분석 방법으로 속성을 파악하고 선행요인과 결과를 도출함 으로써 행복의 의미와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 구 방 법

    1. 문헌고찰단계

    본 연구의 문헌고찰단계는 문헌에 나타난 행복의 필수적 인 구성요소를 찾아 분류하고 행복과의 관련성에 따라 정확 한 개념의 속성을 결정짓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구 체적인 문헌고찰단계는 한양대학교 백남 학술정보관의 메타검 색시스템을 이용하여 Pubmed, Scopus, C-chanel 및 학술정 보검색시스템(riss-4u)에 ‘행복’, ‘주관적 안녕’,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을 주요 개념으로 2000년 이후 발표 된 국내논문 33편과 국외논문 28편, 행복관련 국내저서 1편 및 번역서 1편을 1차적으로 검토하였다. 61편의 논문은 행복 관련메타분석연구 2편, 행복관련요인연구 18편, 행복측정도 구연구8편, 행복개념연구10편, 행복경험연구7편, 행복지수 연구 13편, 기타 3편 등이었다. 61편의 연구 논문 중 행복 개 념과 관련하여 체계적 고찰과 정의가 포함되어 있어 행복 개 념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는 논문과 국내에서 진행된 ‘삶의 질’, ‘안녕’, ‘안위’에대한개념분석논문각1편씩을검토하여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된 논문은 26편이었다.

    2. 개념분석단계

    행복의 개념분석을 위해 연구자의 관심개념에 대한 간호학 적 관련성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문헌에서의 행복 개념 사용 과 잠정적 기준 목록을 토대로 속성을 결정하고 모델 사례 및 부가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요인과 결과를 분석하여 개념의 정의를 내리고 경험적 준거를 제시함으로써 행복 개념 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행복의 개념분석을 위해 Walker와 Avant (2008)의 방법을 적용하였고, 구체적 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 행복 개념을 선정하고 개념분석의 목적을 설정한다.

    • • 문헌에서 행복 개념의 모든 사용을 확인한다.

    • • 행복 개념의 잠정적 기준목록과 속성을 결정한다.

    • • 행복과 관련된 모델사례를 제시한다.

    • • 행복과 관련된 부가사례(경계사례, 관련사례, 반대사 례, 창안된 사례)를 제시한다.

    • • 행복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확인한다.

    • • 행복 개념의 경험적 준거를 결정한다.

    연 구 결 과

    1. 문헌에서의 행복 개념

    1) 행복 개념의 사전적 정의

    행복(幸福, happiness)이란, 국립국어원(2014)에서는‘복 된좋은운수. 생활에서충분한만족과기쁨을느끼어흐뭇함. 또는 그러한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우리말 행복에 ‘운 이 복되다’라는 의미와 함께 ‘기쁘다’, ‘흐뭇하다’와 같은 좋은 감정의 심리적 상태와 ‘모자라지 않고 충족되어 만족하다’는 인지적 평가를 내포하고 있다. 한자어 幸福의 뜻풀이를 보면, ‘복(하늘의 도움)의 행운이 있다. 행운을 간직하다’라고 풀이 된다. 영어로 ‘happiness’의 어원은 ‘hap’으로 ‘운, 우연’을 뜻하며, 동사 형태인 ‘happen’은 ‘hap (우연)+ en (...하다)’ 의 합성어로 ‘우연히 발생하다’라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happiness'는 ‘우연히 운이 발생한 상태’로 설명이 된다. 행 복(happiness)에 대한 동서양의 어원적 설명을 종합해보면, 행복(幸福, happiness)이란 누군가에 의해 주어지거나 우연 히 발생되는 행운이란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며 외적 상황에 크게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Oishi, Graham, Kesebir, & Galinha, 2013).

    행복과 관련하여 많이 쓰이는 개념에는 삶의 질(quality of life), 안녕(well-being), 삶의 만족(satisfaction of life), 안 위(comfort)등이 있다. 삶의 질은복지(welfare), 안녕(well- being), 만족(satisfaction), 행복(happiness)의 의미를 포함 하고 있으며, 인간의 심리적, 경제적 조건뿐만 아니라 사회문 화적, 환경적, 제도적 상태를 포함하는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개념이다(Han et al., 2011;Lu & Gilmour, 2006). 우리말로 ‘참살이’라고 번역되어 쓰이는 영어의 ‘well-being’이란 well (건강한, 안락한, 만족한) + being (존재하는 것, 삶)의 합성 어로 그 뜻은 ‘the state of being healthy and contented’로 되어 있으며 그대로 번역하면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상태’이 다. 우리말의 사전적 의미는 ‘복지’, ‘안녕’, ‘행복’으로 그 뜻 은 ‘특정한 생활방식을 내포하고 있는 복지나 행복의 정도를 말한다(Lee & Jang, 1999).즉,바쁜일상속에사는도시인들 이 육체적 건강의 저해요인과 스트레스로 대표되는 정신적 건 강의 저해요인에 슬기롭게 대처하여 건강한 육체와 정신을 추 구하는 삶의 방식, ‘삶의 질’을 강조하는 용어이다. 안위의 어 원은 'strenthen'의 의미인 라틴어의 'comfortare'에서 유래 되었다. 사전적 의미는 ‘강해지도록 돕다’, ‘문제나 걱정에 대 해 위안 받다’, ‘완화된 기분이나 상태’, ‘신체적이나 정신적으 로안녕을누리는것’, ‘만족과즐거움’의뜻을가지고있다.안 위의 정서적 의미는 ‘환경과 자기 자신이 평화로울 수 있는 개 인적마음의상태, 신체적, 정신적기쁜상태, 완화된느낌, 통 증이나 근심이 없는 편안한 상태, 마음이나 환경이 편안하고 즐거움’으로삶의질, 안녕, 행복의정서적의미와일맥상통하 는부분이있다(Chang & Lee, 1999). 삶의질, 안녕, 삶의만 족, 안위 중에서 삶의 질이 가장 포괄적 개념이며, 그 다음 단 계로안녕을들수있는데,행복은그중에서주관적안녕,심리 적 안녕, 영적 안녕 등으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다. 삶의 만 족은 삶의 질과 안녕의 구성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안 위는신체적, 심리적안녕및만족감, 즐거움을포함한편안한 상태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2) 행복 개념의 사용범위

    (1) 다양한 학문에서의 행복개념 사용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인간의 관심을 받아온 행복 은 학문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철학, 심리학, 사회학은 물 론신경생물학, 경제학, 간호학 및 예술치료 분야에서도 행복 에대해관심을갖고다루고있다.철학적관점에서의행복은 유쾌한 긍정적 정서와 고통과 같은 불쾌한 정서로 행복을 가 늠한 쾌락주의적 행복(hedonism)을 주장한 고대 그리스 키레네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로부터 시작되었다. ‘탁월함 에 따르는 영혼의 활동’이라고 정의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eudaimonism)에이어중세의성아우구스티누스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에게 근접해가는 것으로서의 행복 (beutitudo), 즉지복(至福)에까지이르렀다(Schildhammer, 2014). 오늘날 행복은 철학적 사유의 대상에서는 멀어졌으나 상태(status)가 아니라 활동이며, 쾌락(pleasure)에 국한되어 있는것이아니라덕(德)있는활동에있다는것이행복에대한 철학적 입장이다(Kim, 2007).

    사회학에서의 행복은 행복의 책임이 개인이 아니라 사회에 있다는 입장이다. 강력한 정부에 의한 사회 구성원의 사회보 장정도가 행복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즉 자유주의, 민주주의 체계 안에서 자유권의 보장과 사회보장정도가 곧 행복이라는 것이 사회학적 행복이다. 실제로 사회 복지가 잘된 나라로 손 꼽히는 북유럽 국가들의 행복지수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Inglehart, Foa, Peterson, & Welzel, 2008).

    경제학에서의 행복에 대한 관심은 근대 이후 평등주의에 입 각하여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게 되고 산업 발전의 전략으로써 물질주의적행복을강조하면서부터시작되었다.즉,경제적인 부가 행복을 결정한다는 것으로 한나라의 총소득정도와 행복 정도를 가지고 각 나라의 발전정도에 대한 순위를 매기게 되 었다. 즉 경제발전정도가 행복을 결정한다는 것이 경제학적 입장의 행복이다(Bradshaw, 2009).

    최근 긍정심리학의 영향으로 인간의 행복은 심리학적 연구 의대상으로자리매김하고있다. Diener (1984)의주관적안녕 감(subjective well-being)은 삶의 만족, 긍정 정서·부정 정 서로, Ryff & Keyes (1995)의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은자아수용, 긍정적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대 한 지배력, 삶의 목적, 개인의 성장으로 행복을 설명하고 있 다. Veenhoven (2006)의 전반적 행복(overall happiness) 은 자신의 삶에 대해 안정적으로 갖게 되는 태도·느낌·신 념에대한 쾌락적정서수준(hedonic level of affect)과만족 (contentment)이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Seligman (2011)의진정한행복(authentic happiness)은의미있는활 동의 몰입을 통한 긍정적 정서의 경험을 행복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Choi와 Hyun (2011)은 전인적 행복으로서 인간의 외적(환경적관점) · 내적(주관적관점) · 영적(초월적관점)요 인의 통합적이고 균형적인 조화를 통하여 형성되는 안녕이라 고 하였다. Lee (2012)의 실존적 셋 포인트 행복(existential set-point happiness)은개인및 심적 차원이 아닌 내적 기준 점과 외적 상황과의 조화에서 느끼는 인간 삶의 실존감을 행 복으로 주장하고 있다.

    한편, 진화론적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행복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은 타고난 유전적 기질이나 성격적 특성 및 성향이행복의50%를설명한다는것이며,행복을포함한인간 의 감정은 뇌의 특정 부위의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어떤 경 험이라는 것이다. 최근 많은 철학자 및 심리학자들은 행복을 인지적측면(이성)의조절을통해성취되고도달할수있는것 으로 주장하고 있으나 행복에 대한 생물학적, 진화론적 입장 은인간행동의무의식적기전은생각(이성)의통제로불가능 한 측면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의식적 기전은 타고난 것이고 수백만 년 동안 진화를 통해 발전해 뿌리박혀 있는 뇌의 소리와 같은 것이라고 주장한다(Seo, 2014).

    행복과 관련된 이론으로는 기본적인 욕구 충족으로부터 쾌 락적 정서를 경험한다는 욕구 충족 이론(desire fulfillment theory), 목표의 설정과 성취가 주관적 안녕과 긍정 정서를 증가시킨다는 목표이론(goal theory), 자신의 현재 상태를 어떤 기준들과 비교하여 우월한 방향일 때 더 높은 행복감을 경험한다는 비교이론(discrepancy theory), 인간은 아무리 긍정적인 환경과 행복감 속에 살더라도 그러한 상태가 지속 되면 행복감은 저하된다는 적응과 대처 이론(adaptation & coping theory)이 있다(Kwon, 2010;Seo, 2014).

    (2)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 대상 연구에서의 행복개념 사용

    본연구에서 조사된 행복관련 연구는 5편으로간호대학생 또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행복에 대한 인식,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콜라지작업을통해구성해본행복의의미및병 원간호사의행복지수영향요인에대한것이다. 조사된모든 논문에서 행복은 신체적으로 강한 면역체계를 갖게 해주며, 사회적 상황과 환경에 긍정적으로 대처하여 적응력을 높여주 고, 더 나아가 우울과 자살 같은 정신병리적인 문제를 예방하 여 건강한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 다(Jo & Kim, 2010;Jo & Park, 2011;Kim & Kim, 2012).

    간호대학생의 행복에 대한 인식(Jo, 2011)에서는 부모, 형 제로부터 사랑받는다는 말을 듣고 경제적, 정서적 지지를 받 는것에행복의큰가치부여하는가족지지감성형이39.5%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집합주의 문화가 우세한 한국의 사회규 범이나 자기에 대한 타인의 평가가 개인의 가치와 행복감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간호학생의 소 그룹 콜라지 작업을 통해 구성한 행복의 의미(Jo & Kim, 2010)에서는 인간관계를 맺으며 인정과 지지를 받는데 큰 가 치를 부여하고 있었으며, 이 외에도 신체적 매력, 경제적 자 원, 삶의목적과개인적성장및일상의소소한것들에서행복 을 경험하고 의미를 찾고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Jo & Park, 2011)에서는감사성향, 자아존중감및몰입이간호대 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장 영향력이 있 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간호대학 여자 신입생의 행복에 영향을미치는요인(Kim& Kim, 2012)에서는간호대학여자 신입생의 행복에 자아 존중감, 낙관성, 대인관계, 전공적성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 대로감사성향, 자아존중감, 몰입, 낙관성, 대인관계및전공 적성 등을 포함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 기적 상황을 잘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마지막으로 병원 간호사의 행복 지수 영향 요인(Nam & Kwon, 2013)에서는 전문직관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을 수록 행복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의 이직률이 높은 현재 상황에서 간호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행복의 기준목록 및 속성

    앞에서 검토한 행복의 사전적 의미와 문헌고찰을 통해 본 행복 개념은 ‘우연히 발생하는 행운’이라는 어원적 의미와 ‘성 격적 특성의 산물’이라는 생물학적 관점 및 유전적 요인이 50% 이상의 행복을 결정한다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볼 때, 유전적으로 타고난 기준점과 주어진 상황에 대한 경험에 따라 상대적이라고 볼 수 있다. 행복을 ‘감정의 산물’로 보는 쾌락 적 관점(hedonism)과 Diener (1984), Veenhoven (2006), Seligman (2011)의행복개념에긍정적정서가모두포함되어 있음에 근거하여 볼 때 행복은 신체적으로 고통이 없으며 여러 가지 면에서 긍정적 정서가 수반되는 어떤 경험인 것이다. 또 한행복은여러가지상황및삶의영역에대한만족감,편안함, 안위 등을 포함하여 삶의 질의 향상을 가져온다(Han, et al, 2011). 다른한편으로행복은절대적인물질적부나사회·경 제적 지위 및 사회보장정도에 비례하여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으나 사회체제(자유 민주주의)나 사회 보장정도 및 경제적 수준에 따라 행복은 어느 정도 달라진다고 볼수 있다. 또한개인주의문화와집합주의문화특성에따라 행복을경험하는상황과기준은다르다. 간호학생의행복의의 미(Jo, 2011)에서도인간관계를맺으며인정과지지를받는것 이행복한경험인 것은 이를 뒷받침한다고볼 수있다. 대학생 을 대상으로 성격적 특성, 생활 경험 및 행복과의 관계 연구 (Koo & Kim, 2006)에서도 외향성, 자기 효능감과 성실성의 성격적 특성이 친구관계 및 부모와의 관계를 매개로 해서 행복 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볼 때 행복은 관계적 상 황안에서더촉진된다고볼 수있다. 인간은삶에서의만족감 을 통해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인 삶의 목표를 이 루게할 뿐만 아니라 자아실현을 이룬다. 그러므로 행복은‘마 음이 아닌 실천적 활동의 산물’이다. Diener (1984)Veenhoven (2006)Seligman (2011)의 행복에 대한 주 장을 종합해 볼 때도 행복은 의미 있는 일을 통해 삶의 목표를 성취하고 자아실현을 이루는 최고의 선이라 할 수 있다.

    1) 잠정적 기준 목록

    2) 행복의 속성 확인

    지금까지문헌고찰을통해본행복의개념,정의및이론들 을 토대로 행복의 속성은 안정된 사회경제 체제 안에서 주관 적 기준점에 따른 상대적 비교 우위이며, 신체적으로 고통이 없는 상태에서 어떤 내외적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와 정 서 경험이다. 또한 관계적 상황 안에서 만족감이 촉진되어 궁 극적인 삶의 목표를 성취하게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 확인된 행복 개념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

    • • 신체적 안위

    • • 사회경제적 안정성이 보장된 상태

    • • 주관적 기준에 따른 상대적 비교 우위

    • • 욕구 충족을 통한 긍정적인 정서

    • • 현재 상황에 대한 긍정적 인지

    • • 관계적 상황 내에서 만족감

    • • 몰입을 통해 삶의 목표 성취를 형성

    3. 행복 개념의 모델 사례(Model Case)

    모델 사례는 개념의 모든 속성은 포함하나 다른 개념의 속 성은 포함되지 않는 사례로서, 사람들이 정확하게 개념을 사 용할 수 있도록 개념의 필수적인 양상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Walker & Avant, 2008).

    아트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며 보컬이 전공인 A 양은6살때부터앞에나가서노래하는것을좋아했고아 버지도가수가꿈이었기때문에A양의꿈을위해고등학 교진학을아트고등학교로정하였다.주변사람들은대안 학교인 중학교와 예술 고등학교에 다니는 것에 대해 걱정 스러워하지만 본인은 한 번도 후회해 본 적이 없다. 왜냐 하면 삶은 자신의 것이고 자신이 생각하는 기준에 따라 결정한 일이기 때문이다. 이제 곧 있으면 3학년이 된다. 실용음악으로 인정받는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목표이다 (주관적 기준에 따른 상대적 비교 우위). 물론 부모님은 안정된 기획사에 들어가 지원을 받으면서 편하게 아이돌 가수가 되는 게 어떻겠느냐는 제안을 하기도 한다. 그러 나 A 양은 아이돌 가수가 되는 게 목표가 아니고 자신의 음악을 하는 가수가 되는 게 꿈이다. A 양의 하루일과는 학교 수업이 끝나면 보컬 레슨과 피아노 레슨을 받아야 하며, 체중관리도 해야 하기 때문에 2시간씩 헬스클럽에 서운동을하고귀가한다(현재상황에대한긍정적인지). 하루 수면시간이 5시간 정도라서 힘들기도 하지만 신체 적으로건강한몸을가지고있고(신체적안위), 부모님께 서적극적으로지지해주고지원해주고있으며(사회경제 적 안정성이 보장된 상태), 꿈이 있고 그 꿈은 진정 원하 는것이기때문에즐겁고뿌듯하다(욕구충족을통한긍정 적 정서). 학교 선생님들의 관심과 격려, 부모님의물심양 면의지지는다른생각을하지못하게한다(관계적상황내 에서만족).부모님이주시는용돈을다른친구들처럼웃고 떠들며 먹는 것에 쓰지 않고 자기관리를 잘하는 것이 자신 의목표를달성할수있는길이라생각한다(몰입을통해삶 의목표성취를형성). 세상은변했다. 사람들은모두각자 가가지고있는재능이다르다고생각한다.그것을빨리찾 는것이중요하다고생각한다. 물론사회적기준을무시할 수는 없다 그래서 실용음악으로 인정받는 대학에 가고 싶 다. 사람들은직업에대해편견을갖고있는것같다. 그러 나 본인이 원하지도 않는 일을 하면서 돈을 많이 버는 것보 다는 돈은 좀 적게 벌더라도 본인이 하고 싶고 해서 즐거운 일을하는것이더행복한일이라생각한다(주관적기준에 따른상대적비교우위).몇년뒤자신의음악을좋아해줄 매니아 층이 생길 것이고 점점 더 발전해 가는 자신의 모습 을 생각하면서 오늘도 똑 같은 매일 매일이지만 즐겁고 행 복하다(몰입을통해삶의목표성취를형성).

    4. 행복 개념의 부가 사례(Additional Case)

    1) 경계 사례(borderline case)

    경계사례(유사사례)는행복개념의속성이대부분포함되 어 있으나 전부 다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거나 지속시간 이나 발생의 강도 등이 본질적으로 다른 경우에 해당한다 (Walker & Avant, 2008).

    부부교사인 50대 후반의 중년 여성 B 는 최근 남편과 같이 명예퇴직을 하였다. 30년 이상 중학교에서 교사를 해 온 B 는 매일 출근해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없는 것은 섭섭했지만 이제부터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것 같아 기분이좋았다(주관적기준에따른상대적비교우위).그 리고 3년 전 아들을 결혼시키고 1년 전에는 손자도 생겨매일이즐거움의연속이었다(욕구충족을통한긍정적인 정서). 그동안 하고 싶었지만 시간이 없어못했던역사공 부, 옷감염색, 요리, 옷만들기등여러가지강습을받으 러 다니며 만든 옷을 선물하기도 하고 손자에게 맛있는 영 양식을 먹이는 기쁨도 있어 또 다른 성취의 만족감을 가질 수있었다(현재상황에대한긍정적인지). 이러한일들을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것은 남편과 살아가는데 충분한 교 원 연금의 해택이 있기 때문이므로 교사 초기에 느꼈던 박 봉의 고통이 오히려 지금은 전화위복이 된 거 같아 뿌듯하 기도하고안심이되기도하였다(주관적기준에따른상대 적비교우위). 그런데최근24시간을함께생활하는남편 과 갈등이 잦아지기 시작하였다(관계적 상황 내에서 갈 등). 잔소리가 많아진 남편을 견디기가 힘들어진 것이다. 대화로 풀어보려고 노력해보지만 자기 입장이 아닌 상대 방의 입장에 대한 배려가 없는 것 같아 섭섭한 마음만 늘 어가고있다(부정적정서경험).

    2) 반대 사례(contrary case)

    반대 사례는 모델 사례와는 달리 행복 개념의 중요한 속성 이 전혀 들어있지 않은 사례이다(Walker & Avant, 2008).

    대학 4학년을 휴학 중인 여학생 C 는 2학년 때 동아리 회장을하면서학업을거의할수없었으며3학년에진급 하는시점의교환학생시험에도실패하게되었다(성취의 실패). 절친한친구는 성적도잘 받았고교환학생 시험에 도 합격하여 3학년을 외국에서 공부하게 되었다(비교에 서상대적상실감). 이러한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엔자신 이너무초라한것같고기분도우울해(부정적정서경험) 1년 휴학을 하게 되었고 교환학생을 마치고 돌아온 친구 와 함께 3학년을 복학하게 되었다. 친구는 외국에서 1년 을공부하고와서C양보다외국어는물론학업에도자신 감이 넘쳐 있었으나 C 양은 1년을 휴학했기 때문에 교우 관계는 물론 학업에 대한 감각도 떨어져 위축되어 있었다 (관계적 상황 내에서 위축). 3학년 1학기 학업을 마친 C 양은 다시 휴학을 하게 되었고 자신감도 없고(부정적 인 지) 미래에 대한 비전도 없어(삶의 목표 상실) 우울한 마 음이다(부정적 정서 경험).

    3) 관련 사례(related case)

    분석하고 있는 행복 개념과 관련이 있기는 하나 행복 개념 의 중요한 속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비슷하거나 연 결되어 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Walker & Avant, 2008).

    아내와아들하나,딸하나를두고있는50대초반의가 장인중년남성D 는작년갑자기위암진단을받고입원 하게 되었다. 여러 가지 검사를 하고 수술을 결정하게 되 었으나회사에뭐라고얘기해야할지막막하였다.왜냐하 면 진급 대상자로 내정되어 있었는데 건강상의 문제가 생 기면진급대상에서보류가 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상급 자에게 사실대로 이야기하였더니 다행히 이해심 많은 상급자는 휴가로 처리하는 게 좋겠다고 하여 그렇게 하 기로 하고 회사문제는 일단락되었다(관계적 상황 내에 서 만족). 그러나 또 한 가지 문제는 수술비와 입원비를 어떻게해야 할지걱정이었다. 이러한 D 의마음을알았 는지 수술 전날 아내는 조용히 ‘여보! 수술비 걱정은 말 아요. 보험 들어놓은 게 있으니까요~’라고 말하는 것이 었다(사회경제적안정성이보장된상태). 그래서수술비 에 대한 걱정을 덜고 편안한 마음으로 다음 날 수술을 받 을 수 있었으며(욕구 충족을 통한 긍정적인 정서), 가족 과 회사 상사의 따뜻한 지지로 인해 심한 고통도 견디며 건강을 회복할 수 있었다.

    4) 창안 사례(invented case)

    분석하고자 하는 개념의 속성을 포함한 실제 경험 세계 밖 에서 상상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만들어 구성한 사례이다 (Walker & Avant, 2008).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대학병원에서 30년간 근무한 간 호사 E 는 동기들 중에 가장 먼저 수간호사가 되었다. E 간호사는30년근속소감으로 대학2학년 때나이팅게일 선서식을하며마음에새긴것과대학4년을다니면서교 육받고 다짐한 것을 바탕으로 늘 환자 입장에서 생각하고 간호에 임한 것이 오늘날을 있게 하였으며(몰입을 통해 삶의목표성취를형성),지금까지일할수있도록건강을 허락하고(신체적 안위), 가족들의 아낌없는 지원에 감사 한다(관계적상황내에서만족)고하였다.그동안그만둘 고비도많았으나사회적인식과경제적보상(사회경제적 안정성이 보장된 상태)은 마음을 다잡게 하는 계기가 되 었으며, 간호를 받고 건강해진 환자들을 보는 기쁨(욕구 충족을 통한 긍정적 정서)과 동료들의 배려와 격려가 있 었기때문(긍정적인지)에가능한일이었다.제시간에밥 을 먹지 못하는 날이 허다하였으나 생사의 기로에 있는 환자들이 우선이라는 사명감으로 일한 것이 빠른 승진의 밑거름이 되었다(주관적 기준에 따른 상대적 비교 우위) 고회고하였다.후배간호사들에게열악한간호환경이지 만점점나아지고있으니(현재상황에대한긍정적인지) 열심히 일해 달라는 당부의 말도 하였다. 앞으로 정년퇴 직을 할 때까지 초심을 잃지 않고 간호 발전에 임하겠다 는 다짐과 함께 오늘과 같은 시간이 주어진 것은 인생 최 대의 기쁨이고(욕구 충족을 통한 긍정적 정서) 보람이며 후배 간호사들의 모범과 귀감이 되도록 항상 모델로서 역 할을 다할 것을 다짐하였다.

    5. 행복의 선행요인과 결과

    선행요인은 개념의 발생 이전에 일어나는 사건이나 부수적 인 조건들이며 결과란 개념의 발생 결과로 나타나는 사건이나 부수적인 조건들을 의미한다(Walker & Avant, 2008). 따라 서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명확히 규명하는 것은 개념의 속성을 더 정확하게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상의 문헌고 찰과 여러 사례를 통해 분석된 행복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 는 다음과 같다(Table 1).

    1) 행복의 선행요인

    2) 결과

    6. 행복의 경험적 준거

    개념 분석의 마지막 단계는 분석된 개념의 속성에 대한 경 험적준거를결정하는것이다. 개념이실제로있거나발생했 다는 것을 설명하는 실제 현상에 대한 구분이나 범주이다. 분석하는 개념이 추상적일 때는 개념의 속성 역시 추상적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엔 반드시 경험적 준거가 필요하 다. 본 연구에서 다룬 행복 개념은 추상적인 개념으로 경험 적준거가필요한데, 현재행복관련연구에서사용하고있는 행복 측정도구가 경험적 준거가 될 수 있다.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행복 도구는 Ryff와 Keyes (1995)의 심리적 안녕 (psychological well-being) 도구이며, 이 도구의 구성 요인 을살펴보면, 긍정적정서와삶의만족과자아수용, 긍정적대 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 개인의 성장 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아동·청소년 대상의 행복 측정도구 인children well-being Index (CWI, 2002)는경제적안녕, 자신에 대한 만족, 안전, 학업성취, 사회적 관계, 정서적/정신 적안녕의6개영역으로구성되어있어본연구에서의행복개 념의 속성을 거의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논 의

    행복이란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으며,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개념이다. 각 학문분야가 관 심을 갖고 있는 영역에 따라서 행복 개념 정의의 초점이 달라 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심리학 분야에서 주장하고 있는 행복 개념이 가장 포괄적으로 합의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많은 연구 에서한계를지적하고있다. 또한각나라의사회문화적특성 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화시켜 사용하고 있는 행복 척도에 대 해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Kim, Jang, Cho, & Cha, 2008;Kim, Kim, Cha, Lim, & Han, 2003;Lee, 2012). 인간의 정 신적 활동은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것이다. 어떤 상황에 대한 이해는 감정을 유발시키고 그 감정은 인간 행동을 결정 한다.인간은동물과달리사고할수있는능력을가지고있다. 이러한 사고능력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한다. 즉 사 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인간 행동의 의미와 상징을 터득하고 타인과 구별된 행동을 하며, 이렇게 형성된 인간의 행동에는 정서가 수반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인간은 사회 구 성원으로서 합리적 행동을 하기도 하지만 비합리적 행동을 하 기도 한다. 따라서 행복이란 개념을 이해하는데 사회적 상황 을고려하지않을수없다. 본연구는행복에대한개념분석을 통해 행복 측정도구를 보다 포괄적으로 구성하는데 기초자료 를제시할뿐만아니라1차예방적측면에서의정신건강증진 을 도모하는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문헌 자료와 여러 사 례를통해행복개념의속성이7가지가분석되었다.도출된행 복속성은신체적안위, 사회경제적안정성이보장된상태, 주 관적기준에따른상대적비교우위, 욕구충족을통한긍정적 인 정서, 현재 상황에 대한 긍정적 인지, 관계적 상황 내에서 만족감, 몰입을 통한 삶의 목표 성취이다.

    신체적 안위는 신체적 건강이라는 측면에서 행복에서 간과 할수없는구성요소이며속성이다.좋은몸매,다이어트와같 은 개념을 통해 신체적인 건강상태가 행복정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Jo와 Kim (2010)의 연구와 일 치한다. 또한 Koo와 Kim (2006)의 연구에서도 질병이나 사 고와 같은 건강문제나 신체적 피로감은 행복하지 않았던 경험 으로 진술하고 있다.

    타인과 비교하여 자신이 못하다거나 우월하다는 판단에 의 한 상대 가치적 결과가 행복의 속성으로 도출된 것은 최종 학력 이나 가구소득이 행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및 감정의정도가대도시 거주, 학력, 가구소득 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Kim 등 (2003)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처럼 행복을 결정하게 되는 사회경제적 안정성이 보장된 상태와 주관적 기준에 따른 상대적 비교 우 위의 속성은 현대사회의 사회·경제·환경적 특성이 집단주 의 문화특성을 더 많이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욕구 충족을 통한 긍정적 정서의 속성은 Jo와 Park (2011) 의 연구에서도 행복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통한 욕구 충족일 때 긍정적 정서를 유 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개인적 경험이나 사회적 상황이 고려되어야함을알수있다(Han, Lee, Song, 2011).현재상 황에 대한 긍정적 인지는 정서적 측면의 관련성 때문에 행복 의 속성으로 도출된 행복의 인지적 측면이다. 이는 Kwon, Lee와Song (2012)의연구에서성취효능감, 긍정적정서 및 만족감을 매개로 자아실현을 이루는 것일 때 행복감을 경험 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같은 결과이다. 최근 몰입(flow)에 의한 행복을 주장하는 미국의 심리학자 칙센트미하이(M. Csikszentmihalyi, 1990)는행복을상태가아니라의식의문 제로 보고 있다. 따라서 1차 예방적 측면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행복의 인지적 측면은 고려되어야 할 속성이다.

    긍정적 대인관계는 Ryff와 Keyes (1995)의 심리적 안녕 (psychological well-being)의 하부요인이며, Veenhoven (2006)의전반적행복(overall happiness)의속성이다. CWI (2002)에서도 사회적 관계는 행복의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관계적 상황 내에서 만족감은 본 연구의 행복 개념 분 석의 속성에도 포함되었다. 몰입을 통한 삶의 목표 성취는 Seligman (2011)의 진정한 행복(authentic happiness)에서 의 의미 있는 활동의 몰입을 통한 긍정적 정서의 경험과 일부 일치된다.대인관계에서의만족과개인적목표달성은국내에 서 진행된 연구에서도 행복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Kim, Kim, Cha, Lim, & Han, 2003;Koo & Kim, 2006). 특히타인의관심이나인정은목표를설정하고성취하 는 개인의 능력을 확장시키고 새로운 시도를 하게끔 에너지를 발생시켜 행복감을 경험하게 한다고 분석된다.

    이상을종합해볼때,본연구에서도출된행복의속성은개 인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측면의 행복뿐만 아니라 사회문 화 및 경제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삶의 목표 성 취라는 영적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행복은 다양한 속성을 고려하여 포괄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2008)의 방법을 적용한 행복 의 개념분석 연구이다. 분석에 의해 나타난 행복의 속성은 신 체적 안위, 사회경제적 안정성이 보장된 상태, 주관적 기준에 따른상대적비교우위,욕구충족을통한긍정적인정서,현재 상황에대한긍정적인지, 관계적상황내에서만족감, 몰입을 통해 삶의 목표 성취이다. 결론적으로 행복은 개인이 속해 있 는 사회문화적 환경 내에서 신체적 안위와 개인의 욕구 충족 을 통한 정서적 기쁨이다. 또한 외적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황에 대한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인지적 평가에 따른 적응 과 만족감이며, 더 나아가 몰입하여 성취한 삶의 목표가 대인 관계적 상황 안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가져오는 궁극적인 자 아실현이다. 따라서개인의신체적, 심리적, 인지적특성과사 회 환경적 상황의 조절을 통하여 행복 정도를 증가시킨다면 개인이 속한 사회 환경 안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한 긍정적 대 처는 물론 1차 예방적 측면의 정신 건강 증진을 촉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행복 경험에대한후속연구수행을제언한다. 더나아가한국문화 적 특성에 맞는 행복 도구 개발은 물론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1차예방적측면에서의행복증진전략프로그램개발과적용 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Figures

    Tables

    Antecedents, attributes and consequences of happiness

    References

    1. Bradshaw, J. (2009). Book Review: Happiness and well-being, reinvestigated. Analyses of Social Issues and Public Policy, 9(1), 387-389.
    2. Chang, S. O. , & Lee, S. J. (1999). Concep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comfort.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5(2), 108-120.
    3. Choi, S. J. , & Hyun, J. S. (2011).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youth's happiness. Forum for Youth Culture, 27, 180-207.
    4.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Choi, E. S, trans. 2004) Seoul: Hanulim(Original work published 1990).
    5.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6. Han, J. , Kang, S. H. , Kim, S. H. , Seo, E. G. , Hong, J. H. , & Lee, H. G. (2011). Analytical framework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public life. Seoul: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7. Han, S. G. , Lee, Y. J. , & Song, K. Y. (2011). Meta-analysis of thesis involved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2(3), 13-20
    8. Helliwell, J. , Layard, R. , & Sachs, J. (2013). World happiness report 2013s. New York, NY: The institute colombia university.
    9. Inglehart, R. , Foa, R. , Peterson, C. , & Welzel, C. (2008). Development, freedom, and rising happiness: A global perspective (1981-2007).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3(4), 265-285.
    10. Jo, G. Y. , & Park, H. S. (2011).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 160-169.
    11. Jo, K. H. (2011). Percep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oward Happiness: A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al Nursing Education, 17(2), 178-189.
    12. Jo, K. H. , & Kim, Y. K. (2010).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happiness expressed by nursing students through collage art works: A conten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al Nursing Education, 16(1), 61-71.
    13. Kim, G. H. , & Kim, K. H. (2012). Factors related to Happiness in First year Wome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1(2), 149-157.
    14. Kim, M. S. , Kim, H. W. , Cha, K. H. , Lim, J. Y. , & Han, Y. S. (2003).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of happy life and development of the happy life scale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n J of Health Psychology, 8(2), 415-442.
    15. Kim, S. D. (2007). A new approach of happiness. Journal of the Daedong(Graet Unity) Philosophical Association, 41, 51-77.
    16. Kim, S. K. , Jang, Y. S. , Cho, H. S. , & Cha, M. S. (2008). A Study of Determinants and Indicators of Happiness among Korea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7. Koo, J. S. , & Kim, U. C. (2006).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students and adult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lssues, 12(2), 77-100.
    18. Kwon, S. M. (2010). The Relation between desire and happiness from the viewpoint of psychology. Thought of Philosophy, 36, 121-152.
    19. Kwon, S. W. , Lee, A. H. , & Song, I. H. (2012). A Study on Adolescent Happiness: Application of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Studies on Korean Youth, 23(2), 39-72.
    20. Lee, K. H. (2012) Happiness as existential feeling-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happiness. Journal of the Daedong (Graet Unity) Philosophical Association, 59, 219-244.
    21. Lu, L. , & Gilmour, L. (2006). Individual-oriented and socially oriented cultural conceptions of subjective well-being: Conceptual analysis and scale development.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9, 36-49.
    22. Nam, M. H. , & Kwon, Y. C. (2013).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index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19(3), 329-339.
    23. Oishi, S. , Graham J. , Kesebir, S. , & Galinha, I. C. (2013). Concepts of happiness across time and cultures. In pr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61.
    24. Ryff, C, D. , & Keyes, C.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4), 719-727.
    25. Schildhammer, G. (2009). Gluck (Liesmann, K. P. edited, Choi, S. W. trans. 2014). Seoul: Theory & Praxis Publishing Co. (Original work published 2009).
    26. Seligman, M. (2002). Authentic Happiness (Kim, I. J., & Woo, M. S. trans, 2011). Seoul: Mulpure(Original work published 2002).
    27. Seo, E. K. (2014). Origin of Happiness: Where comes happiness of human from? Seoul: Book21.
    28. Seo, E. K. , & Koo, J. S. (2011).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1), 95-113.
    29. Veenhoven, R. (2006). How do we assess how happy we are? Tenets, implications and tenability of three theories-Paper presented at conference on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happiness: United States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Notre Dame, USA. 22-24.
    30. Walker, L. O. , & Avant, K. C. (2008).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O G. S., Lee I. S., Lee J. E., Lim E. S., & Jo S. Y., trans).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NJ: Prentice-Hall(Original work published, 2005).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