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3 No. pp.31-39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18.3.31

Application of Mixed Method Research

Haeng-Mi Son
Department of Nursing,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Son, Haeng-Mi Department of Nursing, University of Ulsan, 93 Daehak-ro, Nam-gu, Ulsan 44610, Korea. Tel: +82-52-259-1239, Fax: +82-52-259-1236, E-mail: sonhm@mail.ulsan.ac.kr
March 11, 2018 ; April 24, 2018 ; May 18, 2018

Abstract

Purpose:

The research that comb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are recently received attention in nursing academia and the number of research on mixed method is increas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iscuss the application of mixed method research (MMR).


Methods:

This study provided the concept, research design, justification, and systematic issues of MMR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er’s analytical thinking.


Results:

MMR was generally accepted in the literature as a new and comprehensive methodology. MMR was developed from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n pragmatism. The designs of MMR and notation, mixing strategies, strategies for sampling and data analysis, and validity of MMR were examined. These were continued to be the issues including epistemology and pragmatic stances of MMR, primary point of interface for mixing,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metho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d more proper langue than ‘mixed’ etc. of MMR.


Conclusion:

In spite of those issues, MMR is solidified it’s position as multi-strategy research in the aspect of expans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ith triangulation. I recommended that the researcher should apply the MMR after considering of epistemological assumptions and possibility evaluation of the synergy effects to his or her research for the merits of extensive results of MMR.



혼합방법연구의 적용

손 행 미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980년대 후반부터 혼합방법연구가 사회과학과 같은 응용연 구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혼합방법연구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이외의 ‘제 3의 패러다임’이라고 여길 정도로 지난 30 년간 연구자의 관심이 증가하여 왔다(Johson, Onwuegbuzie, & Turner, 2007;Ritchie, Lewis, Nicholls, & Ormston, 2014;Tashakkori & Teddlie, 2010;Taylor, 2013).

    질적연구는 결과의 해석과 일반화에 제한점이 있고 양적연 구는 중요하지 않은 가설검증과 연구결과의 피상적인 기술에 제한점이 있어(Caruth, 2013) 이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혼 합방법연구가 수행되었다. 혼합방법연구는 하나의 연구 혹은 하나의 연구현상과 관련성을 가진 몇 개의 연구를 수행할 때 연 구설계를 혼합함으로써 양적자료와 질적자료의 수집과 분석, 그리고 해석을 혼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혼합방법연구에 대한 관심과 적용이 증가되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자들에게 상대적으로 혼합방법연 구가 잘 알려지지 않았고 방법의 적용에 혼동을 주기 때문에 여전히 생애주기로 비추어 봤을 때 청소년기에 머물러 있다 는(Leech & Onwuegbuzie, 2009) 견해도 있다. 그렇지만 혼 합방법과 전략은 특정 상황과 연구질문에 대한 창조적인 연 구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는(Patton, 2015) 점에서 유용성이 평가되고 있다. 혼합방법연구는 연구방법의 깊이와 범위를 확장시키고 방법상의 순서를 고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 구결과를 상세히 기술하고 명확히 하는 상호보완이 가능하 므로(Barber, 2014) 혼합방법연구를 적용하여 질적연구와 양 적연구의 강점에 집중하고 약점은 상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혼합방법연구 접근에 대한 기본개념은 한 가지 방법으로 연 구를 했을 때 보다 혼합방법연구가 연구문제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연구결과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Johnson & Onwuegbuzie, 2004).

    일반적으로 혼합방법연구의 필요성은 복잡한 연구질문이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어느 한 가지 연구방법에서 단순히 얻을 수 있는 결과 그 이상을 요구하는 복잡한 결과를 필요하게 된데 서 대두되었다고(Creswell & Plano Clark, 2011) 보나, 근거 이론가들이 다양한 방법과 혼합방법연구를 주장했던 후기실 증주의에서 그 출발점을 찾기도 한다(Taylor, 2013). 혼합방법 연구는 형성기, 패러다임 논쟁기, 연구과정 개발기, 방법의 확 장기를 거쳐 현재 반성기에 있다(Creswell & Plano Clark, 2011). 반성기는 혼합방법연구에 대한 비판과 논쟁을 반성하 면서 현재 혼합방법연구 영역과 미래에 대한 준비 등을 고민하 고 있는 시기라고 본다.

    본고에서는 혼합방법연구의 정의 및 혼합방법연구의 적용 과 질 관리, 혼합방법연구와 관련된 쟁점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 해 봄으로써 혼합방법연구를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이 방 법론적 오류를 최소화하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연구결과 를 얻을 수 있도록 유익한 안내를 하고자 한다.

    본 론

    1. 혼합방법연구의 개념

    혼합방법연구의 목적은 연구현상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검토하고 확인하면서 다양한 관점으로 사회현상을 설명함으 로써 이해를 풍부하게 하는 것이다. Bryman (2006)은 서로 다 른 연구방법들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는 잠재적인 자료들을 알 게 되는 과정에서 뜻밖의 것들을 찾아내는 기쁨을 얻을 수 있 고, 다양한 전략 연구(multi-strategy research)는 연구자들이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를 알 수 있게 해주는 풍부한 자료들을 제공해 준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응용사회과학에서 특정 유형 의 문제에 대한 측정과 동시에 그 문제의 성격과 기원에 대해 포괄적인 이해를 필요로 할 때 혼합방법연구의 수행에 의의가 있다.

    혼합방법연구는 다중방법연구(multimethod research), 혼 합방법(mixed methods), 혼합방법론(mixed methodology), 혼합연구(mixed research), 통합연구(integrated research) 등 다양하게 언급되고 있다. ‘혼합’이라는 용어는 다음에서 제 시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질적접근 혹은 양적접근에 서 활용되는데서 고려할 수 있다 : 연구질문(양적 혹은 질적), 연 구질문을 개발하는 방식(참여적 혹은 미리 계획된), 표집과정 (목적적 표집), 자료수집과정(설문조사, 포커스그룹), 자료의 유형(숫자 혹은 텍스트), 자료분석(통계 혹은 주제분석), 결론 (주관적 혹은 객관적/내부자 혹은 외부자 관점)(Tashakkori, & Creswell, 2007).

    혼합방법연구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양하나 1980년대 후반 이후 연구자들은 혼합방법연구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증 가하고 있는 비판에 대응해오면서 혼합방법연구가 방법론 (methodology)과 방법(method)의 측면을 모두 아우르는 포괄적인 정의를 보편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Tashakkori와 Teddlie (2010)은 혼합방법연구가 단지 양적/질적접근의 혼 합을 넘어 ‘혼합방법은 고유한 세계관, 용어, 그리고 기법을 가진 하나의 방법론적인 접근법이다’라고 정의함으로써 방법 론적 접근을 강조하였다. 가장 폭넓게 수용되고 있는 정의는 Johnson 등(2007)의 정의로 ‘혼합방법연구는 이해나 확증적 사실의 폭과 깊이를 얻기 위해 양적/질적연구 접근법(예, 질적 및 양적 관점, 자료수집, 분석, 해석 기법 사용)의 구성요소를 개인 연구자나 연구팀이 조합해내는 연구방식이다’고 정의하 였다. 이는 혼합방법연구를 철학적 관점에서부터 마지막 연구 결과의 해석과 참고문헌까지를 포함하여 방법론뿐만 아니라 방법까지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정의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므 로 방법론으로서 혼합방법연구는 연구의 모든 과정에서 자료 의 수집과 분석의 방향 및 양적/질적접근의 혼합을 안내할 수 있는 철학적 가정을 포함하고 있다. 방법으로서 혼합방법연구 는 연구에서 양적/질적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혼합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Creswell & Plano Clark, 2011).

    질적연구방법은 구성주의에 철학적 근간을 두고 있고 양 적연구방법은 실증주의에 철학적 근간을 두고 있는 반면, 혼합방법연구는 실용주의 철학적 가정이 지지되고 있다 (Creswell & Plano Clark, 2011;Johnson & Onwuegbuzie, 2004;Tashakkori & Teddlie, 2010).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양적연구, 질적연구, 그리고 혼합방법연구의 철학적 근간 이 되는 세계관의 특성을 Table 1에 제시하였다.

    혼합방법연구의 철학적 가정이 실용주의에서 출발하였다 는 점은 혼합방법연구가 특정 인식론을 기반으로 하는 철학 적 가정을 미리 명시하면서 시작하지 않고 오히려 단순히 혼 합시키는 방법에서 시작되었다는 견해로 설명되기도 한다. Brannen (2005)은 혼합방법연구가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과 독자를 위한 글쓰기에 대한 요구, 그리고 근거(evidence)를 강 화시켜줄 수 있는 실무와 사회과학의 체계적 분석과 같은 연구 경향 등에 편승되어 단순히 혼합시키는 방법에서 시작하였다 고 하였다. 혼합방법연구는 연구 질문이 될 수 있는 실제적 요 구에 기반을 두고 있어 실용주의의 패러다임은 이런 측면을 지 지하였다고 본다. 그러나 Leech와 Onwuegbuzie (2010)는 실 용주의자들은 존재론이나 인식론에 대해 아무것도 이야기 하 지 않는다고 하면서 실용주의가 연구의 철학적 세계관을 설명 하는데 충분하지 않음을 비판하였다. 이렇게 혼합방법연구가 인식론적 근거 부족을 비판받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실용주의적 가정을 만든 후 방법론적으로 적합한 토대를 찾는 것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Taylor, 2013). 따라서 서로 다르거나 혼합하는 연구방법 사용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는 것에는 이들 연구방법들이 어느 특정한 연구 내에서 어떻게 서로 관계를 맺 는지를 보여주는 실용적, 인식론적 함의에 대한 인식이 동반되 어야만(Barber, 2014) 방법론적 다원주의에 대한 폭넓은 수용 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원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실용주의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얻고자 할 때 연구자들의 의사소 통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풍부한 연구결과를 얻기 위 해 어떻게 연구접근을 해야 하는지를 안내할 수 있는(Johnson & Onwuegbuzie, 2004) 장점이 혼합방법연구에서 더 부각되고 있 다. 왜냐하면 실용주의는 방법론적 절충주의(methodological eclecticism)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패러다임의 다원주의가 장점으로 수용되면서 연구사업 전반에 걸친 다양성 수용, 반복 적이고 순환적인 연구접근의 가능성, 주어진 연구에서 사용할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연구 질문에 초점을 두며, ‘제 3의 방법론 적 공동체(third methodological community)’로서 방법론 적 균형과 타협이 가능할 수 있는 경향, 그림이나 도표를 활용 한 시각적 표현 및 일반적인 표기법에 의지한다는 점 등에서 혼 합방법연구가 실용주의에 적합하다(Tashakkori & Teddlie, 2010)고 할 수 있다. 이는 혼합방법연구가 연구질문에 대답하 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조합해 낼 수 있어 방법론적 혼합의 당 위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철학적 가정에 근거할 때 혼합방법연구의 패러다임 은 질적연구, 혼합방법연구, 그리고 양적연구의 연속선상에서 혼합방법연구가 정중앙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Figure 1). 이 연속선상에서 질적연구가 강조되는 혼합방법 연구는 QUAL+ quantitative research로, 양적연구가 강조되는 혼합방법연구는 QUAN+qualitative research로 표시한다(Johnson et al., 2007). 그러므로 여러가지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혼합방법연구가 완 전한 방법은 아니지만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는 서로 방법론적 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연구현상에 대한 보다 완벽한 설명과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Richie et al., 2014).

    2. 혼합방법연구의 적용

    혼합방법 연구는 지난 수년동안 다양한 연구설계가 개발되 었으나 혼합방법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박사과정학생 초보 연구자나 경험이 많은 연구자가 혼합방법연구를 새로운 영역 으로 수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 최적의 혼합방법 연구 설계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Leech & Onwuegbuzie, 2009).

    혼합방법연구는 연구질문에 근거하여 철학적 세계관과 이 론을 반영하여 구성된 연구설계에 따라 질적/양적자료를 모 두 설득력 있고 엄격하게 수집하고 분석하고, 이 자료들을 병합 하거나 혹은 다른 하나의 자료를 기반으로 새로운 자료로 만들 거나, 다른 자료 속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연구의 강조점에 따 라 양적/질적자료 어느 한쪽에 혹은 양적/질적자료 모두에 우 선순위를 둘 수 있고, 단독 연구 혹은 다단계 연구 프로그램 (multiple phase of a program of study)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Creswell & Plano Clark, 2011).

    혼합방법 연구설계는 수렴적 병행설계(convergent parallel design), 설명적 시차설계(explanatory sequential design), 탐색적 시차설계(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내재형 설 계(embedded design), 변형적 설계(transformative design), 다단계 설계(multiplephase design) 등이 있다. 혼합방법연구 의 정의, 설계목적, 근간이 되는 패러다임, 상호작용의 수준, 방 법의 우선순위와 적용시점, 혼합을 위한 두 방법 접속의 일차 포인트, 혼합 전략, 흔한 변이(common variants)의 항목을 중 심으로 위에서 제시된 연구설계의 차이점을 Table 2에 제시하 였다(Creswell & Plano Clark, 2011). 이러한 기준은 연구자 가 특정 혼합방법 연구설계를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하기 위해서 연구목적에 적합한 연구설계를 선정하고 연구방법을 혼합하는 이유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할 수 있는 준거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을 혼합할 때 두 방법 간의 상호작용 수준과 우선순위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양적연구방법 및 질적연구방법의 적용 시기가 결정될 수 있고 어느 시점에서 어떻게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을 혼합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고려가 필요하다.

    Leech와 Onwuegbuzie (2009)는 혼합방법 연구설계를 할 때 개념적으로 혼합의 수준(부분 혼합 혹은 전체 혼합), 시간에 대한 오리엔테이션(동시 수행 혹은 순차적 수행), 그리고 양적 접근과 질적접근의 강조정도(동등 혹은 강조)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Leech와 Onwuegbuzie (2009)는 세 가지 차원을 반영하여 혼합방법 연구설계의 표시체계를 여덟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Figure 2). 일반적으로 연구설계를 표시 할 때 연구자들은 부호를 사용하여 제시함으로써 연구설계와 관련한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모하고 있다. 시간 오리엔테이션 에서 ‘→’는 순차성을, ‘+’는 동시성을 표현하고, 앞에서도 언 급되었듯이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 중 동등하게 적용 하거나 강조하여 적용되는 방법은 대문자로 표시하고 강조되 지 않은 방법은 소문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소통되고 있으며 기 호 대신 문자로도 소통하고 있다. 문자 소통은 강조 정도에 따라 서 시차설계(QUAN to qual, quan to QUAL, QUAL to quan, qual to QUAN) 혹은 동일한 가중치를 주는 시차 설계(QUAL to QUAN, QUAN to QUAL)로 기술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진행하는 설계는 우세정도에 따라 ‘중첩’(QUAL plus QUAN, QUAN plus qual)되거나 동일한 무게를 두고 동시적 연구설 계로 ‘완전히 통합’(QUAL and QUAN)할 수 있다.

    한편 Teddlie와 Yu (2007)는 혼합방법연구의 표본추출은 제3의 표본추출 전략으로 양적연구방법과 혼합방법연구, 그리 고 질적연구방법의 연속선 상에서 표본추출을 할 때 다음과 같 은 내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 • 표본추출은 연구질문과 연구를 통해 제시할 가설로부터 논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 연구자는 사용할 확률표출과 목적적 표출의 가정에 따라 표본을 추출해야 함을 명심한다.

    • • 표본추출은 연구질문과 관련한 질적자료(QUAL)와 양적 자료(QUAN)를 통해 생성해야 한다.

    • • 표본추출은 질적자료(QUAL)와 양적자료(QUAN)로부 터 신뢰도와 타당도와 같은 명확한 추론을 끌어낼 수 있어 야 한다.

    • • 표본추출은 윤리적이어야 한다.

    • • 표본추출은 실행가능성이 있고 효율적이어야 한다.

    • • 표본추출은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해야 한다.

    • • 연구자는 추후연구를 위해 다른 연구자가 이해할 수 있도 록 표본추출을 상세히 기술해야 한다.

    또한 Teddlie와 Yu (2007)는 양적연구방법의 확률 표본추 출과 질적연구방법의 목적적 표본추출 사이에 혼합방법연 구의 표본추출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확률-혼합-목적적 표본추출 연속선(probability-mixed-purposive sampling continuum)상에서 표본추출의 전략을 제시하였다(Table 3).

    혼합방법 연구자들은 연구참여자에게 연구참여에 대한 위 험과 잠재적 결과에 대해 충분히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비밀 을 보장하고 참여자를 속이지 말아야 한다. 또한 언제든지 연 구참여자가 연구의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참여자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연구 계획과 수행, 그리고 연구결과를 보고할 때 연구참여자의 문화적, 종교적, 성별, 다른 유용한 자료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연구결과가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를 가 져올 연구 기법의 사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Onwuegbuzie & Collins, 2007).

    혼합방법연구 자료의 분석 전략은 자료 변형(data transformation), 유형 개발(typology development), 극단적인 사례 분석(extreme case analysis), 자료 합성(data consolidation or merging) 등이 있다. 자료의 변형은 두 개의 자료를 함께 분 석하기 위해 하나의 자료를 다른 자료로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즉, 양적자료를 코드화하거나 주제를 만드는 것, 혹은 질적자 료를 수량화하는 것이다. 유형 개발은 다양한 자료 유형을 분석 할 때 틀을 적용하기 위해 자료의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극 단적 사례 개발은 극단적 사례를 확인한 후 초기 극단적인 사례 에 대한 설명을 검증하고 정련화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자료와 함께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 합성은 새롭게 생성되거나 통합 한 자료와 추후 연구에서 사용할 자료세트 모두를 검토하는 것 이다. 앞에서 언급한 자료분석 전략을 성취하기 위해 아래 내 용과 같은 혼합방법 자료분석 과정을 적용한다(Creswell & Plano Clark, 2011).

    • • 자료 축소(data reduction): 양적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 하거나 질적자료를 요약한다.

    • • 자료 제시(data display): 축소된 자료를 테이블(양적자 료)이나 차트 혹은 루브릭(질적자료)으로 제시한다.

    • • 자료 변형(data transformation): 질적자료를 양적자료 로, 양적자료를 질적자료로 변형한다.

    • • 자료 연관성(data correlation): 양화된 질적자료와 양적 자료의 연관성을 확인한다.

    • • 자료 합병(data consolidation): 새롭게 생성되거나 병합 된 자료와 자료세트를 결합시킨다.

    • • 자료 비교(data comparison): 다른 자료로부터 나온 자료 를 비교한다.

    • • 자료 통합(data integration): 일관성 있는 전체로 모든 자 료를 통합한다.

    한편 Ivankova (2010)는 컴퓨터 프로그램(Web 2.0)을 활용 하게 되면 혼합방법 연구자들에게 일정 수준의 연구능력을 갖추 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Web 2.0을 이용하여 자료수집 과 분석을 하는 것은 포괄적이고 타당하고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료를 균형적이고 전체적으로 제시하고 해석해서 보여주는데(Leech & Onwuegbuzie, 2010) 도움이 된다.

    3. 혼합방법연구의 질 확보

    성공적인 연구설계의 핵심은 연구 질문과 목적, 그리고 연구 방법 선택 혹은 선택한 연구방법간의 혼합을 잘 연결시키는데 있음(Barber, 2014)을 강조한다. 혼합방법연구도 연구과정과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질 확보가 중요하다. 그러나 혼합방법 연구결과와 추론에 대한 질을 평가하는 기준이 제시되지 못하 고 있다(O’Cathain, Murphy, & Nicholl, 2008).

    Onwuegbuzie와 Collins (2007)가 혼합방법 연구의 위기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은 연구자가 연구의 질 확보를 위해 대안을 찾는 안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대표성(representation) 의 문제인데 이것은 혼합방법연구에서 양적연구 단계의 표본 이 너무 작아서 통계적 의미를 찾기 어렵고 무작위표본 추출이 안 되기 때문에 일반화의 문제가 있다는 점이다. 또한 질적연구 단계에서는 경험과 텍스트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에 문제가 있 어 생생한 경험을 포착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타당성 (validity/legitimation)의 문제는 양적연구 단계에서 연구결과 가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질적연구 단 계에서 연구의 진가입증(trustworthiness)의 문제로, 신뢰성 (credibility), 전이성(transferability), 의존성(dependability), 확증성(confirmability) 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혼합방 법연구에서는 양적요소와 질적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 에 대표성과 타당성이 서로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세 번째로 제시한 통합(integration)의 위기는 연구목적과 연구질 문을 적절하게 제시할 수 있는 양적/질적접근을 혼합한 결과 로 발생하는 방법론적 확장의 문제이다. 정치적 위기는 성격이 다른 두 가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서로 상반된 결과를 얻었을 때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의 적용이라는 역설을 연구 자나 독자에게 이해시키고 설득시키는데 긴장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긴장은 연구설계에서 윤리적 측면을 언급하지 않았을 때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혼합방법연구의 질 관리를 위한 준거는 Creswell 과 Plano Clark (2011)이 언급한 혼합방법 연구의 전반적인 점 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이것을 준거 틀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 성을 탐색해 보고자 소개한다.

    • • 연구의 주제를 사정한다.

    • • 철학적, 이론적 기초에 주목한다.

    • • 연구의 목적을 확인한다.

    • • 연구자가 양적연구 혹은 질적연구 중 사용할 방법을 결정 한다.

    • • 양적자료와 질적자료를 수집하는 이유를 사정한다.

    • •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강조정도, 시간에 따른 적용(동 시, 연속적, 다단계 조합) 등을 결정한다.

    • •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접속점을 결정한다.: 해석, 자료 분석, 자료수집, 연구수준

    • • 연구자가 어떻게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사용할 것인지 를 결정한다.: 병합, 연결, 삽입/매립(embedded), 이론적 틀 내에서, 프로그램-객관적 틀 내에서

    • • 전반적인 혼합방법 설계를 확인한다.

    • • 혼합방법 명명 체계를 사용하여 설계를 명명한다.

    • • 연구과정에서 발생한 활동들의 흐름을 도형으로 그린다.

    이상의 내용은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의 패러다임 의 차이, 연구 디자인에서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 중 주 도적인 연구방법의 선택과 적용의 투명성, 자료의 통합, 상반 된 연구결과에 대한 설명, 혼합방법 연구 추론의 질 측면에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실제 혼합방 법연구를 설계하고 적용할 때 혼합방법연구의 질 확보를 위한 대안들을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에서 찾아 혼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또한 혼합방법 연구의 질 확보를 위해 연구자는 혼합방법 연 구보고서를 잘 쓸 수 있어야 한다. 연구자는 혼합방법 연구보고 서에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질문에 대한 정당성을 제시하고, 연구의 목적, 방법 적용의 우선순위와 시간적 연계성을 고려 한 연구설계를 기술하고 연구 표본, 자료수집과 분석 등을 잘 기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통합을 한 시점이나 장소, 통합 방법, 통합에 참여한 사람 등을 제시하고, 적용한 방법 두 가지 중 한 가지 방법과 관련하여 다른 방법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혼합방법을 통해 연구자가 얻은 통찰력 등을 제시하는 것이 (O'Cathain et al, 2008) 바람직하다.

    4. 혼합방법연구의 쟁점

    혼합방법연구의 개념적 입장이나 용어의 문제, 추론의 유 도 등에 대한 문제는 지속되고 있으며, 혼합방법연구의 개념 적/방법론적/방법의 접점, 연구질문, 분석 관련 이슈, 다학제 적 적용과 횡문화 적용에 대한 이슈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Tashakkori & Teddlie, 2010).

    ‘Journal of Mixed Research’ 잡지의 편집위원 자격으로 Tashakkori와 Creswell (2007)은 혼합연구방법의 발전을 위해 앞으로 고려해야 할 점을 폭넓게 살펴보았다. 이들은 혼 합방법연구의 실용주의적 철학적 관점 이외에 다양한 세계 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고, 혼합방법 연구결과를 효과적으 로 제시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과 함께 ‘혼합(mixed)’과 ‘통합 (integration)’이라는 두 가지 용어 중 더 적절한 용어의 선택, 혼합방법연구 수행 시 표본추출의 문제, 질적자료분석에 활용 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사용, 그리고 혼합방법연구의 다양한 학문영역으로의 확산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연 구자들은 혼합방법연구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복잡한 이 슈를 고려하여 왔지만 지금도 적절한 답을 찾고 있는 중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혼합방법연구를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 의 사려깊은 방법론의 적용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연구의 철학적 세계관에 대한 완전한 설명이 안 될 때, 연구가정이 무엇인가? 연구결과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정책 개발을 위해 사용할 지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사회정의 의 의미와 결과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 등의 문제를 설명하 기가 어렵다(Leech & Onwuegbuzie, 2010)는 점에 주목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연구할 주제에 대한 다차원적인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희망으로 몇 가지 연구방법들을 단순히 적 용하기보다 특정한 혼합방식을 사용한 이론적 근거를 제대로 가져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Barber, 2014).

    결 론 및 제 언

    혼합방법연구는 장점과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논쟁 거리가 많고 체계화 중에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혼합방법 연구에 대한 여러 논쟁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점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인식론적 차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의 문제와 실용주의가 갖고 있는 한계라고 생각한다. 혼합방법연구의 인 식론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연구방법의 근간이 흔들릴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지속적으로 지식을 일반화시키고 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의 철학적 가정을 새롭게 하거나 확장 시키기 위한 재탐색을 통해 실제로 인식론적 차이가 있는 부분 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실용주의라는 미명하에 인식론적 차이를 상쇄시킨다고 하여 기본적인 인식론적 관점이 매우 다르다는 사실이 변하지 는 않는다(Talyor, 2013)는 사실을 연구자가 명심해야 함을 시 사한다.

    그리고 혼합방법연구의 질 확보와 관련하여 연구의 타당성 확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연구 자가 연구의 실용성 측면에서 혼합방법연구의 위치를 쉽게 결 정하는 것은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혼합방법연구는 연구현상 에 대한 풍부한 결과를 얻는데 의미있는 연구방법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연구현상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방법론적 필요성에 대한 확고한 인식이 필요하다. 또한 혼합방법연구가 하나의 연 구방법론으로 자리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 연구결과의 제한성 을 연구자의 해석적 관점에서 잘 극복하고 제시하는 것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철학적, 인식론적 관점에 대한 반성과 두 방법의 적절한 적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철저하게 평가하고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Figures

    JKAQR-3-1-31_F1.gif

    Graphic of the three major research paradigms, including subtypes of mixed methods research (Johnson, Onwuegbuzie, & Turner, 2007).

    JKAQR-3-1-31_F2.gif

    Notational system for mixed methods designs (Leech & Onwuegbuzie, 2009).

    Tables

    Basic Characteristics of Worldviews Used in Research (Creswell & Plano Clalrk, 2011)

    Proto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Mixed Methods Research (Creswell & Plano Clark, 2011)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Methods Sampling Strategies (Teddlie & Yu, 2007)

    References

    1. Barber, R. (2014). Introducing qualitative research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 Brannen, J. (2005). Mixing methods: The entry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into the research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8(3), 173-184.
    3. Bryman, A. (2006). Integr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how is it done? Qualitative Research, 6(1), 97-113.
    4. Caruth, G. D. (2013). Demystifying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vlana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3(2), 112-122.
    5. Creswell, J. W. , & Plano Clark, V. L. (2011).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6. Ivankova, N. V. (2010). Teaching and learning mixed methods research in computer-mediated environment: Educational gains and challenges. Journal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ple Research Approaches, 4(1), 49-65.
    7. Johnson, R. B. , & Onwuegbuzie, A. J. (2004). Mixed methods research: A research paradigm whose time has come. Educational Researcher, 33(78), 14-26.
    8. Johnson, R. B. , Onwuegbuzie, A. J. , & Turner, L. A. (2007). Toward a definition of mixed methods research. Journal of Mixed Methods Research, 1(2), 112-133.
    9. Leech, N. L. , & Onwuegbuzie, A. J. (2009). A typology of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s. Quality and Quantity, 43, 265-275.
    10. Leech, N. L. , & Onwuegbuzie, A. J. (2010). The journey: From where we started to where we hope to go.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ple Research Approaches, 4(1), 73-88.
    11. O’Cathain, A. , Murphy, E. , & Nicholl, J. (2008). The quality of mixed methods studies in health services research.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13(2), 92-98.
    12. Onwuegbuzie, A. J. , & Collins, K. M. T. (2007). A typology of mixed methods sampling designs in social science research. The Qualitative Report, 12(2), 281-316.
    13. Patton, M. Q. (2015).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14. Ritchie, J. , Lewis, J. , Nicholls C. M. , & Ormston, R. (2014).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15. Tashakkori, A. , & Creswell, J. W. (2007). The new era of mixed methods. Journal of Mixed Methods Research, 1(1), 1-5.
    16. Tashakkori, A. , & Teddlie, C. (Eds.) (2010). SAGE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 behavioral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17. Taylor, B. (2013). Mixed methods research. In B. Taylor & K. Francis, Qualitative research in the health sciences: methodologies, methods and processes (pp.162-176). New York: Routeledge.
    18. Teddlie, C. , & Yu, F. (2007). Mixed methods sampling: A typology with examples. Journal of Mixed Methods Research, 1(1), 77-100.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