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4 No. pp.40-50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19.4.40

Understanding of Hybrid Model by SchwartzBarcott & Kim

Gyeong-Hye Choi
Professor, Department Nursing, Songho University, Hoengseong, Korea
Corresponding author: Choi, Gyeong-Hye https://orcid.org / 0000-0002-6006-9814 Department Nursing, Songho University, 210 Namsan-ro, Hoengseong-eup, Hoengseong 25242, Korea. Tel: +82-2-2643-3552, Fax: +82-33-340-1089, E-mail: cmonika@songho.ac.kr
April 1, 2019 ; April 29, 2019 ; May 1, 2019

Abstract

Purpose:

The research that uses hybrid model by Schwartz-Barcott & Kim recently gained attention in nursing academies due to its usefulness in practice. The number of research about the concept analysis and concept development using this method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valuate the Hybrid Model by Schwartz-Barcott & Kim.


Methods:

This study provided the concept, research design, research trends of Hybrid model through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er’s analytical thinking.


Results:

Hybrid model was generally accepted in the literature as a new and comprehensive methodology. The design of Hybrid model, major components, strategies for sampling and data analysis, and usefulness of Hybrid model were examined. Also the research methodology in published articles in Korea were analysed.


Conclusion:

Hybrid model is very unique in terms as a method for concept analysis and development in the strength of combining theoretical analysis and empirical observation. Nursing researchers may take advantages of the Hybrid model in exploring nursing phenomena and concept in their research.



혼종모형의 이해

최 경 혜
송호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0세기 중반 이후에 간호지도자들은 자율성이 거의 없는 단 지 업무 중심 직업이 아닌, 전문직으로서의 간호를 명확히 확립 시키기 위해 이론개발을 하나의 도구로 생각했고, 간호의 지 식체를 정의하는 일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다(Walker & Avant, 2014). 간호이론은 간호현상을 보다 잘 이해하고 설 명할 뿐 아니라 통제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론 개발은 곧 간호실무와 간호학문의 발전과 직접 연결된다(Yi et al, 2006). 이론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을 확인하고 이것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Hardy (1974)는 개념이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기초 벽돌이라고 했다. 즉, 간호이론의 핵심요소는 개념으로서,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용을 통하여 간호현상에 적합한 이론이 구축될 수 있 다. 따라서 개념에 대한 연구는 이론 개발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되고 있다(Walker & Avant, 2014). 이와 같이 이 론 구축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개념으로 개념의 분석 은 이론개발에 필수적인 단계이다. 최근에 와서 간호학 분야에 서도 많은 간호과학자들이 간호와 관련된 개념을 분석하기 위 해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하였으나 근본적으로는 두 가지 접근 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나는 이론적 과정이고 하나는 실증적 과정이다(Schwartz-Barcott & Kim, 1986).

    Schwartz-Barcott와 Kim (1986)에 의해 제시된 혼종모형 (Hybrid model)(이하 ‘혼종모형’이라 함)은 이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한 방법이다. 이 접근은 특별히 임상실무에서 형성된 인식 에 기초하기 때문에 간호에서 의미 있고 중심이 되는 개념현상 을 연구하는데 유용하다(Yi et al., 2006). 간호학에서 현재까지 개념분석방법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Walker와 Avant의 개 념분석방법은 Wilson이 1963년 제시한 개념분석방법을 단순 화한 것으로, 이론적 정의 규명에 도움이 되며, 본래의 의미를 상실한 간호용어들을 명확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반면, 개념 분석 과정에서 도출해 내는 사례들이 간호 현상 이외의 다양한 현상에서 도출됨으로써 간호의 유일한 현상을 담아내기 어렵 다는 한계점이 있다(Yi et al., 2006). 또한 이론적 작업으로 국 한되어 있어 간호의 학문적 특성이 실천에 있다는 점에 서 볼 때 실무현장에서 확인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점 을 갖는다(Cho, 1996). 이와 비교하여 혼종모형은 정의와 측정 의 필수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고, 이론적 분석과 경험적 관찰 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단계 를 첫 단계로 하며, 이후 실질적인 간호현장의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현장작업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개념을 분석해 낸 다. 또한 하나의 개념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이 가능하고 간호 현장에서 그 개념의 중요성과 적절성을 검토할 수 있으며 현장 작업 결과 현상에 대한 보다 정확한 관찰이 가능하여 상호 관련 성 있는 개념 군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chwartz- Barcott & Kim, 2000). 국내에서 혼종모형을 이용한 개념분 석은 1996년 고통개념 분석(Kang, 1996)이후 현재까지 접촉 (Kim, 1997), 암묵적 간호지식(Kim & Kim, 2018) 등 약 60여 개의 개념이 분석되었고, 2011년 이후 혼종모형을 이용한 개 념분석에 따른 측정도구개발 연구(Yu, 2017)가 증가하고 있 는 추세이다. 그러나 동 논문들 중 Schwartz-Barcott와 Kim (1986)이 현장작업 단계에서 자료수집과 기록, 분석에 적합하 다고 제시한 Schatzman과 Strauss (1973)의 현장연구에 대 한 지침을 사용하지 않거나(Kim, 1997;Seo, Kang, & Kim, 2017;Yu, 2017), 참여관찰대신 심층면담만으로 진행(Kim, Kim, & Im, 2017;Choi & Jung, 2018;Kim & Kim, 2019)하 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혼종모형에 대한 관심과 적용이 증가되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자들에게 상대적으로 혼종모형에 대하여 잘 알려지지 않았고, 혼종모형에 대한 올바른 이해 부족으로 방 법의 적용에 혼동을 주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Schwartz-Barcott 와 Kim (1986, 2000)이 제시한 혼종모형(hybrid model)의 연 구방법과 적용, 국내 연구현황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국내 연 구자들의 연구에 도움이 되는 안내를 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Schwartz-Barcott와 Kim (1986, 2000)이 제시한 혼종모형(Hybrid model)의 내용과 적용을 체계적으로 고찰 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Schwartz-Barcott와 Kim이 제시한 혼종모형의 내용과 적용을 고찰 한다.

    • • Schwartz-Barcott와 Kim의 혼종모형이 적용된 국내 연 구현황을 분석 한다.

    • • 향후 Schwartz-Barcott와 Kim의 혼종모형 적용 연구의 방향을 제시 한다.

    본 론

    1. SchwartzBarcott와 Kim의 혼종모형(Hybrid Model)

    혼종모형은 Schwartz-Barcott와 Kim (1986)이 제시한 연 구방법으로, 질적연구방법(qualitative methods)과 양적 연 구방법(quantitive methods)를 혼합하는 간호연구방법론 의 또 다른 전략이다. Wilson (1963,1969)의 개념 분석전략 과 Schatzman과 Strauss (1973)의 근거이론접근(grounded theory approaches)을 기반으로 한다(Meleis, 1997).

    Schwartz-Barcott와 Kim은 1986년 ‘A Hybrid Model for Concept Development’라는 제목으로 혼종모형을 처음 소개 하였다. 이후 2000년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라는 제목으로 1986 년 소개한 혼종모형의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적용의 예를 들 면서 보완 ․ 제시하였고, DeNuccio와 Schwartz-Barcott (2000) 는 혼종모형을 적용한 위축(Withdrawl)에 대한 개념분석 연 구결과를 발표하였다.

    Schwartz-Barcott와 Kim이 제시한 혼종모형은 이론적 단 계(theoretical phase)와 현장작업단계(fieldwork phase), 최 종 분석단계(final analytic phase)로 구성된다(Figure 1). 초 기 단계는 실제로 임상 실무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대체로 이론적이다. 이 경험은 간호에 필수적인 개념 을 선택하고 잠정적 정의의 초안을 작성하는 데 사용된다. 일 단 개념이 선택되면, 문헌고찰을 시작하고, 기존의 정의와 잠 정적 정의를 비교대조, 현장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작업적 정의 (working definition)를 선택 또는 생성한다. 이 단계에서는 개념의 필수적인 본질을 개념의 속성, 선행요인, 또는 결과를 규명하는 것 보다 더 강조하는 Reynold (1971)의 접근법이 적 절하다. 두 번째 단계인 현장작업 단계는 선택된 개념의 추가 분석을 위하여 질적 자료(qualitative data)를 수집하는 단계이 다. 이론적 단계에서 시작된 문헌고찰은 현장작업 단계에서도 계속되며, 문헌고찰은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와의 비교를 위한 지속적인 기반으로 작용한다. 현장연구(field research)에 대한 Schatzman과 Strauss (1973)의 지침이 현장작업 단계의 전반 적인 구조화와 단계별 적용에 유용하다. Reynold의 분석적 접 근방식은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뒷받침하며, Wilson (1969)의 분석적 접근법은 현장작업 단계에서 사례를 선택하고, 자료를 수 집 분석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초기의 이론적 분 석과 현장작업 단계에서 경험적 관찰(empirical observation)에 서 얻은 통찰력을 연결하고, 결과를 작성하는 마지막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다시 Reynold (1971)Wilson (1969)의 분석적 접 근방법은 분석을 마무리하고 개념을 다듬으며, 가능한 변경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된다(Schwartz-Barcott & Kim, 2000).

    2. 혼종모형의 적용

    1) 이론적 단계(Theoretical phase)

    이론적 단계는 관심 있는 개념을 선택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정의와 측정을 위한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찾아 서로 연관을 지 어보고 정의를 내리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심도 깊은 분 석과 개념의 정련화가 이루어진다(Yi et al., 2006). 이 단계에 서 개념을 확인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행 해야 한다. 그리고 분야와 시대에 따라 사용된 개념을 이용하 여 개념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해야 한다. 다양한 개념 중에서 유사 개념과 대조 개념을 비교하여 의미의 공통점을 이해하고 개념의 유사점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불일치점과 일치점이 뚜렷해지면 정의를 내리거나 정 의를 선택한다. 이 단계의 주된 초점은 심층 분석 및 개념개 선의 후기단계를 위한 기초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단계의 초 기에는 매우 느슨한 정의를 선택하여 초안을 작성하고, 문헌 검토를 시작하며, 정의 및 측정의 필수요소를 계획한다. 이 단 계는 현장작업 단계에 대한 작업적 정의를 식별할 때 끝난다 (Schwartz-Barcott & Kim, 1986). 각각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개념선택(Selecting a concept)

    개념선택방법은 다른 분야의 기존 개념으로부터 직접 이끌 어 내거나, 간호문헌에서 확인된 개발되지 않은 개념들을 선택 하는 방법, 또는 간호실무나 연구로부터 직접적으로 새로운 개 념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접근방식이 무엇이든 간호에 적절 한 개념을 선택할 가능성을 증진하는 방법에 대한 초기단계에 서의 충분한 생각이 필요하다. 임상실무로부터 직접 이끌어 낸 만남(encounter)은 경험적 실재와 밀접하게 연결된 개념을 선 택하는 기초가 된다. 최고의 만남은 간호사에게 좌절감을 느끼 게 하거나, 충격 받게 하거나, 화를 내게 하거나, 난처하게 하거 나, 당황하게 하거나, 어리둥절하게 하는 예상하지 않는 것들 이다(Schwartz-Barcott & Kim, 1986).

    이러한 만남을 통한 개념 선택과정을 Schwartz-Barcott와 Kim (1986)은 아래와 같이 요양원(nursing home)을 처음 방 문한 대학원생의 ‘위축(withdrawl)’ 개념선택의 예를 들어 묘 사하였다.

    ‘새롭고 현대적인 요양원의 휴게실은 거주민들로 가득 했다. 언뜻 보기에는 방문객들에게 따뜻한 환영을 제공하기 위해 잠재 적인 주인들로 가득 차 있는 것 같았다. 그러나 그녀가 더 나아가 한 발을 내디뎠을 때... 중략 ...그녀는 멍한 시선(distant look), 공허한 미소(vacuous smiles) 및 목적 없는 중얼거림(aimless muttering)을 발견했다. 학생은 초기이미지가 단지 신기루임을 발견하고 놀랐다. 특히 혼란스럽고 슬픈 것은 상호작용이 필요 한 사람들 사이의 인간 상호작용의 부족 때문이었다.’

    국내에서 혼종모형을 이용한 개념분석을 시도한 Kang (1996) 은 고통개념분석과 개발연구과정에서 고통의 개념선택은 ‘임 상에서 극한 상황에 처해 있는, 백혈병을 앓고 있는 아동의 부 모행동을 관찰했을 때 간호사로서 그 현상을 인식하는데 모호 함을 느꼈다. 그리고 한국간호계에 이와 같은 상황에서 겪는 경 험을 정확히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 며,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임상에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Kim (1987)은 개념을 고객영역, 고객-간호사 영역, 간호실 무영역으로 구분하여(Table 1)과 같이 제시하였다. 고객영역 과 관련된 개념은 인간본질의 본질적인 특성과 과정으로서 고 객에게 나타나는 현상을 가리키는 본질적인 개념들과 인간에 게 정상적인 유형(patterning)과 병리학적 또는 비정상적인 편 차로 나타나는 현상을 가리키는 문제 있는 개념들, 보건의료체 계에서 사람들의 경험으로부터 비롯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보 건의료경험적 개념들로 구분된다. 고객-간호사 영역은 고객- 간호사 상호작용의 본질을 어떤 방식으로든 특징짓는 개념들 이며, 간호실무영역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에게 특 별한 현상을 포함한다. 고객의 문제를 해결할 때 간호사가 취 한 전문적 행동의 인지적, 행동적, 사회적 측면을 의미한다 (Schwartz-Barcott & Kim, 2000).

    (2) 문헌고찰(Searching the literature)

    문헌고찰은 이론적 단계에서 시작되어 현장작업 단계까지 계속 된다. 문헌고찰의 궁극적인 목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 러 학문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던 개념을 깊이 이해하는 것과 개 념을 다루는 문헌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을 얻는 것이다. 광범위 하고 체계적인, 범 학문적 문헌고찰이 먼저 개념의 의미에 관하 여 이루어지고, 그 다음은 그 개념이 측정되었거나 측정되어질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의 질문들은 이러한 문헌고찰을 위한 초기방향의 제공에 유용하다.

    • • 개념의 핵심이 되는 본질은 무엇인가?

    • • 개념의 본질은 어떻게 명확하게 정의 될 수 있는가?

    • • 개념의 측정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게 구체화 할 수 있나?

    이러한 질문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 문헌고찰은 개념 의 정의와 측정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Schwartz-Barcott & Kim, 1986).

    (3) 의미와 측정 다루기(Dealing with meaning and measurement)

    일단 개념에 관한 소수의 정의가 확보되면, 개념과 유사한 개념과 반대개념을 찾는 것이 도움이 된다. 연구에서 선택한 개념의 명백한 정의(explicit definition)가 거의 없는 경우 에 연구자는 저자의 글속에 내포된 정의를 찾아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종종 그것은 저자가 그 개념에 대하여 논의할 때 사용한 사례에서 드러난다. 개념에 관한 정의를 제시하 지 않고, 특정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사용하는 저자도 있다(Schwartz-Barcott & Kim, 1986). Schwartz-Barcott & Kim (2000)은 Table 2의 형식으로 개념을 제시하면 특정 개념 을 정의하고 측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문헌을 읽고 구조화하고 분석을 시작하는 데 유용하다고 하였다.

    (4) 작업정의 선택하기(Choosing a working definition)

    기존의 정의와 이론적 단계에서의 정의사이에 차이점과 불 일치점이 드러나면, 더 상세한 점검을 위하여 하나의 정의가 선택되거나 생성된다. 초기 생각과 일치하는 정의를 선택하면 간호 관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연구자가 개념을 다듬는 과정에서 열린 마음을 가지려면 선택된 정의와 관련하여 일시적인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Schwartz-Barcott & Kim, 1986).

    2) 현장작업 단계(Fieldwork phase)

    현장작업 단계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이론적 단계에서 분 석된 개념을 실증적으로 타당 화하는 것이다. 고전적인 참여관 찰은 1년 이상의 긴 시간을 두고 연구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 는데 중점을 두는 반면, 현장작업 단계의 관찰은 보다 짧은 시 간 내에 하나의 개념에 대한 정의와 측정에 초점을 둔다. 이 단 계에서는 현장을 설정하여 교섭한 후 사례를 선택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현장작업 기간은 현장 설정 시 주요한 질문인식에 초점을 두고 이끌어 가야 한다. 개 념이 의미가 있다고 잠재적으로 생각되는 집단의 현장과 범위 를 분류하여 개념의 핵심요소를 명확히 함으로써 일반화를 할 수 있다. 현장선택의 기준과 모집단의 선정은 참여관찰의 적절성, 참여관찰의 지속성, 연구 중인 현상을 자주 관찰할 수 있는 가능성에 의거하도록 한다. 현장에서 면접 ․ 관찰 대상자 에 대한 결정은 연구 분석 단위와 이론적 단계의 문헌고찰에 서 발견한 명확성과 상호주관성 정도에 따르도록 한다. 자료수 집과 분석은 기록단계에서부터 분석의 차이를 찾아낼 수 있도 록 Schatzman과 Strauss (1973)가 제시하는 지침에 따라 방 법론적 기록, 관찰기록, 이론적 기록으로 구분해서 진행하여야 한다. 방법론적 기록은 자료를 조직화, 체계화한다. 대상자의 진술을 조사자가 주관적으로 해석하지 말고 누가, 무엇을, 언 제,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한 것인지를 대상자가 말한 표현 그 대로 기록한다. 다만, 관찰기록에서 기술된 자료를 비교하고 대조하기 위해 관찰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 의식적으로 해 석, 추론, 추측한 기록, 즉 관찰기록을 넘어선 이론적 기술을 사 용할 수는 있다. 기록체계가 명확해지면 자료분석단계로 들어 가게 되며, 자료수집과 분석은 동시에 병행할 수 있다. 현장작 업단계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현장작업환경 설정(Setting the stage)

    이 단계의 초점은 현장 작업 단계를 안내하는 주요 질문을 규명하고, 현장작업환경을 선택하는 것이다. 현장 작업 단계 를 안내하는 질문들은 개념의 필수적인 규정 요소 증, 중심개 념을 유사개념들로부터 분리하는 차별화된 요소들, 개념을 위해 개발될 수 있는 측정기준들에 대해 역점을 두어야 한다 (Schwartz-Barcott & Kim, 2000).

    DeNuccio와 Schwartz-Barcott (2000)이 현장작업단계의 지침으로 사용한 질문은 아래와 같다.

    • • 이 작업환경에서 거주민들 사이에 위축(withdrawl)이 존 재한다는 증거가 있는 가?

    • • 그렇다면 기존의 정의가 이러한 현상의 본질을 어느 정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가?

    • • 위축(withdrawl)의 존재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는 무 엇인가?

    • • 위축(withdrawl)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증거가 있는가?

    • • 그렇다면 위축(withdrawl)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조건 은 무엇인가?

    Schwartz-Barcott와 Kim (2000)은 현장작업환경과 참여자 를 선택할 때 연구 중인 현상을 자주 관찰할 가능성과 경험적 자료수집방법으로서 참여관찰의 적정성, 연구자가 현장작업 환경에서 참여관찰 역할을 만들고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반 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DeNuccio와 Schwartz-Barcott (2000)은 위축(Withdrawl) 의 현장작업환경을 현상을 자주 접할 수 있는 장소를 정한다는 원칙하에 문헌고찰결과, 위축(Withdrawl)현상이 노인에게 분 명하게 관련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요양원(nursing home)으로 설정하였다. Kang (1996)은 참여자 관찰과 심층면담을 위하여 관찰대상자가 평소 머무르는 장소(직장 또는 가정 등)를 현장 작업환경으로 설정하였다.

    (2) 협상에 들어감(Negotiating entry)

    선택한 연구참여자 또는 작업현장의 요구에 정밀하게 접근 해야 한다. Schatzman과 Strauss (1973)은 협상에서 상호관계 (reciprocity)를 강조한다. 협상은 아주 미묘하거나 암묵적일 수 있고, 강경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두 경우 모두 협상은 참 여자와 연구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호 관계적 차원 에서 이루어진다. 각 자의 주된 관심은 행동의 자유와 각자의 지위의 완전성이다. 연구자에게 이것은 자기 자신의 상대적인 자유를 의미하며, 자신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듣고, 또한 생각 하며 자신의 지적 커뮤니티에 자신의 생각을 전할 수 있는 자유 를 의미한다. 참여자는 그와 그의 그룹이 방해받지 않고 두려워 하지 않는 자신의 일을 추구 할 자유를 의미한다. 연구자는 참 여자의 비밀유지와 익명성을 유지해야 하고, 자신의 요구 사항 을 명시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연구참여자가 연구자의 요구 사 항을 다르게 정의하거나 요구 사항을 협상하려고 시도하며 공 개할 것을 두려워하면 어떻게 될까? 연구자는 연구참여자가 항상 충분히 연구자의 요구 사항을 이해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 연구자는 할 것과 하지 않을 것에 관하여 자기결정을 내 린다. 연구자가 초기에 수락한 제한 사항은 나중에 더 호의적인 시간에 재협상될 수 있다. 연구자와 연구참여자가 서로 친숙해 지면 비밀스러운 이야기까지 공개하게 된다(Schatzman & Strauss, 1973).

    (3) 사례선택(Selecting cases)

    Schwartz-Barcott와 Kim (1986, 2000)은 혼종모형에서는 많은 사례가 불필요하고 바람직하지 않다고 하였다. 3명 내지 6명의 개인들, 3개 또는 4개의 양자 관계, 1개 또는 2개의 집단, 1개의 층(one floor) 또는 1개의 병동(one ward)이 보다 적합 하며, 이러한 규모가 빈번하고 반복되는 접촉의 가능성을 높 이기 때문이다. 단 한 번의 접촉은 충분히 생각하고 조사하는 데 충분하지 않으며, 어느 한 개인, 쌍, 집단 또는 층(層)의 선 택은 이론적 단계에서 획득된 정의의 명료성 정도에 달려있 다고 하였다. 만약 개념의 필수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명료하 다면 한 두 개의 지표(indicator)가 선택의 기초로 쓰일 수 있 다. 분석단위는 개념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노인들 사이의 위축(withdrawl)에 관한 연구는 개인적 수준이나, 라마즈 수 업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의 접촉(touch)에 관한 연구는 양자 관계 수준(dyad level)이다. 양자관계 수준(dyad level)에서 연구되는 또 다른 개념들은 공감(empathy), 매력(attraction), 분노(anger)를 포함한다. 공감과 분노는 또한 다수의 수준 (multiple level)에서 연구될 수 있는 개념의 예이다. 연구자가 구성원 사이의 공감적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다면, 소집단이 분 석단위가 될 수 있다.

    만약 개념의 필수적 특성이 명확하지 않고, 지표들이 명백하 지 않으면, Wilson (1969)의 개념분석을 위한 유형이 선택의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Wilson (1969)이 제시한 유 형은 개념의 실례를 절대적으로 반영하는 모델사례(model case)로 시작한다. 우리 자신이 “좋아, 만약 이러저러한 것이 실례가 아니라면 어떤 것도 실례가 아니야”라고 스스로 말하 는 사례이다. 두 번째는 분명히 개념의 실례가 아닌 사례를 나 타내는 반대사례(contrary case)이다. 우리 자신이 “좋아, 이 러저러한 것이 무엇이든지 그것은 명백하게 그것의 실례가 아 니다”라고 스스로 말하는 사례이다. 세 번째는 경계선 사례 (borderline case)이다. 이상하거나 별난(queer) 사례로 나타 난다. 이 사례는 ‘참된(true)’ 사례로 나아가는 요소를 강조하 는 것을 돕는다. 네 번째는 관련된 사례(related case)이다. 이 사례는 관련 개념의 기준을 규명함으로써 중심개념을 명확하 게 하는 것을 돕는다. 연구자가 현장에서 연구참여자와 관찰 에 중점을 두는 방법에 관한 결정은 연구 중인 분석단위와 초 기 이론적 단계에서 발견된 개념의 명확성과 간주관성(intersubjectivity) 의 정도에 달려있다(Schwartz-Barcott & Kim, 2000).

    (4) 자료수집 및 분석(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현장작업 자료를 수집, 기록, 분석하는 Schatzman과 Strauss (1973)의 표기법 체계(notation system)는 현장작업 자료를 분석하는 개념에 특히 적합하며, 개념의 분석과 정련 화에 적합 하다. 이 체계는 정기적인 심층면담으로 보강된 참여관찰을 함 께 활용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참여자와의 심층 대화뿐만 아 니라 여러 측면의 관찰과 깊은 생각을 촉진한다. 특히 단일 개 념을 정의하고 측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표기법 시스템은 관찰 기록, 이론적 기록 및 방법론적 기록을 포함하여 녹음 시점에서 연구자가 가능한 분석적 구분을 하도록 안내한다. 관찰기록은 주로 보고(watching) 듣기(listening)를 통해 경험한 사건에 관한 진술문이다. 그 기록들은 가능한 한 적은 해석만을 담고 있고, 관찰자가 작성 할 수 있을 만큼 신뢰할 만하다. 현상이 누 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일어났으며, 누가 어떤 상황 에서 무엇을 말했는지 또는 무엇을 했는지를 규명한다. 따옴표 는 한 대화에서 발생한 정확한 단어, 구 또는 문장을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덜 정확한 인용이나 단순한 인용에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론적 기록은 “사실 (facts)”을 넘어서는 데 사용된다. 연구자는 관찰한 내용의 가 능한 의미에 대해 의식적으로 해석, 추론 또는 추측 할 수 있다. 혼종모형에서는 관찰기록에서 설명한 자료와 비교 및 대조를 위하여 문헌으로부터 개념에 대한 정의와 측정을 가져오기 위 해 이론적 기록을 사용할 수 있다. 자신에 대한 연구자의 지시 는 방법론적 기록에 포함된다. 이 표기법 시스템은 자료의 체 계적 기록과 구성, 자유로운 흐름을 장려한다. 핵심이 되는 관 찰을 쉽게 검색 할 수 있으며 지속적 분석 및 반영에 도움이 된 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모든 단계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작업 단계에서 약 1/2에서 3/4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연구자는 개념에 가장 적절한 자료를 추출 하고 정리해야 한다. Wilson (1969)의 사례유형은 현장관찰내 용을 재강조하고, 현장작업단계의 후반부를 통과할 때 좀 더 집 중적이고 심층적인 조사를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Schwartz-Barcott & Kim, 2000).

    3) 최종분석 단계(Final analytic phase)

    이 단계는 이론적 단계를 수정하거나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 된 자료의 결과를 재검토하는 단계로, 개념을 명백히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론적 단계와 현장작업 단계에서 얻은 통찰력으 로 결과를 작성하는 마지막 단계이다. 현장작업 단계에서의 세 부 사항과 강도(intensity)로부터 한걸음 뒤로 물러나 초기의 관심에 집중하여 조사결과를 재검토한다. 이 단계에서 다음 질 문을 할 수 있다.

    • • 간호사에게 해당 개념이 얼마나 적용 가능하고 중요한가?

    • • 개념의 초기 선택이 정당화된 것으로 보이는가?

    • • 모집단에서 이 개념의 빈도와 존재 여부를 개념에 대한 문

    헌고찰, 이론적 분석, 실증적 결과가 얼마나 지지하는가? 때때로 초기 이론적 단계의 정의와 다른 새로운 개념이나 재 구성이 현장작업 단계의 관찰과 분석을 통해 나온다. 예를 들면 위축(withdrawl)의 개념은 이론적 단계에서는 주로 부정적인 과정으로 인식되었으나, 현장작업 단계에서 위축(withdrawl) 은 부정적인 과정만이 아닌 긍정적인 과정이 될 수도 있다는 것 을 발견했다. 즉, 위축을 통하여 잠시 쉬는 시간을 갖고, 재충 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최종분석 단 계에서는 이론적 단계의 정의와 현장작업 단계의 실증적 결 과를 비교하고 대조한다. 이때 실증적 결과는 기존 정의의 개 념을 개선하거나 재(再)정의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실증적 결과는 또한 이론적 단계의 문헌에서 추출한 의미를 더욱 명 시적으로 밝히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개념을 측 정하는 새로운 방법이나 기존 방법의 개선을 위한 제안으로 이 어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지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할 수도 있다(Schwartz-Barcott & Kim, 2000).

    3. 혼종모형의 평가

    Schwartz-Barcott와 Kim이 제시한 혼종모형은 임상실무 에서 형성된 인식에 기초하기 때문에 간호에서 의미 있고 중심 이 되는 개념현상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다. 그리고 Walker와 Avant 의 방법에서 결여된 광범위한 문헌 검토, 실제 간호나 환자 상황으로부터 나온 사례, 질적 분석의 일부 기법 사용, 지 적 엄격성과 단계들 사이의 전후 탐구 등의 질적 부분을 많이 보완하고 있다(Yi et al., 2006). Walker와 Avant의 개념개발 전략은 이론적 작업으로 국한되어 있어 간호의 학문적 특성이 실천에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실무현장에서 확인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는 데 대해 나름대로 한계점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 러한 측면에서 볼 때 Schwartz-Barcott와 Kim (1986)의 혼종 모형은 진일보한 방법으로서 실무에서의 귀납적 방법을 병용 함으로써 현상에 대해 잘 알려진 것이 없고 실체가 무엇인지에 대해 규명되지 않은 개념을 다룰 때 특히 유용한 방법이다. 이 론적 분석과 경험적 관찰을 결합함으로써 간호 관점에서 정련 되거나 타당화하지 않은 개념을 간호개념으로 재구축하는 적 절한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Cho, 1996).

    Schwartz-Barcott와 Kim (2000)은 혼종모형은 다음 5가지 측면에서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첫째, 간호환경에서 개념의 존재, 빈도, 잠재적 중요성에 관한 초기 생각을 제공하는 데 도 움이 된다. 둘째, 짧은 기간 내에 하나의 개념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multiple analysis)이 용이하다. 셋째, 다차원적 분석은 간호사가 실수로 하나의 개념을 사용하는 상황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면 위축(withdrawl)은 개념분석과정에 서 뚜렷하게 신체적 위축과 심리사회적 위축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개념분석과정에서의 예상하지 않았던 결과는 상호 관련 이 있는 개념의 군집(문제해결, 의사결정과 준수, 고립, 외로움 과 사회적 지원)을 식별하도록 한다. 이러한 유용성은 현재 개 발 중인 개념차별화모델(the concept differentiation model) 에 대한 연구를 촉발시켰다. 다섯째, 혼종모형은 임상실무의 현실을 이론개발과 밀접하게 연결하여 학위논문과 프로그램 구축 연구를 위한 초기단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혼종 모형 역시 단점이 있는데, 예를 들면 한 가지의 간호 상 황 내에서 몇 개의 사례만을 이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적 절한 데이터베이스와 일반성, 그리고 유용성이 부족하기 때문 에 간호 지식의 진보를 위한 사용에는 제한이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Yi et al., 2006연구에 인용됨).

    4. 혼종모형이 적용된 국내 연구현황

    Schwartz-Barcott와 Kim의 혼종모형을 적용한 국내 연구 현황을 한국학술정보(KISS), 국가전자도서관(NDSL), 한국교 육학술정보원(RISS)을 통해 검색한 결과, 박사논문 41편, 석사 논문 4편, 학술지논문 24편으로 총 69편의 논문이 확인되었다 (Table 3). 연도별 연구현황을 보면, 1996년 처음으로 국내에서 혼종모형을 적용한 개념분석이 이루어졌고(Kang, 1996, Cho, 1996, Chang & Lee, 1996), 그 후 5년 단위로 8~10편의 연구가 이루어지다가 2011년에서 2015년까지 12편, 2016년 이후 28 편의 연구를 실시,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증가는 그 동안 개념분석에만 국한되던 연구에서 개념분석과 함께 측정도구 개발연구로 확대되었고, 학술지논문의 증가에 따른 결과이다. 개념분석과 함께 측정도구 개발논문은 2011년 이후 박사논문 27편중 18편으로,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개념 분석에 혼종모형이 유용하게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혼종모형이 정의와 측정의 필수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 고, 이론적 과정과 실증적 과정을 연결함에 따른 결과로 사료 된다. 혼종모형을 적용한 학술지논문은 1996년에서 2019년 현 재까지 24편중 2016년 이후 게재된 논문이 12편으로, 2016년 이후 급격히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Table 3).

    국내에서는 혼종모형에 의한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60여 개의 개념이 조사되어 왔다(Table 4). 동 논문 중 Schwartz-Barcott 와 Kim (1986, 2000)이 현장작업 단계에서 자료수집과 기록, 분석에 적합하다고 제시한 Schatzman과 Strauss (1973)의 현 장연구에 대한 지침(notation system)을 사용한 개념은 고통 (Kang, 1996), 무기력(Kim, Seo, Son, Kim, & Hwang, 1999) 등으로 전체 논문의 약 40% 미만이었다. 즉, 전체 혼종모형을 적용한 연구의 60% 이상이 현장작업 단계에서 참여관찰대신 심층면담만으로 진행하였다(Table 3). 참여관찰은 현장에서 의 개념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방법이나, 개념에 따라 참여관찰로 파악하기 어려운 현상인 경우 심층면담으로 대신하였다(Lee, 2019, Kim & Kim, 2018). 참여관찰 없이 심 층면담만 진행한 이유에 대하여 Lee (2019)는 ‘환자중심 간호 개념이 관찰을 통해 쉽게 발견될 수 없는 복잡한 개념이며, 간호 사의 행위와 함께 의도파악과 환자의 인식 및 생각을 확인해야 알 수 있는 부분이 있어 심층면담으로 대체하여 진행하였다’고 하였다. 참여관찰을 실시한 논문도 현장에 대한 서술적 묘사보 다는 심층면담내용 서술이 대부분이거나, 면담 시 기록한 현장 노트를 활용하여 관찰한 내용을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참여관찰 없이 심층면담만 진행한 논문은 1996년부터 2010 년까지 혼종모형 적용연구 29편중 5편이었으나, 2011년부터 현재까지 혼종모형 적용연구 40편중 37편으로 급격히 증가하 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2016년 양산된 혼종모형 적용 학 술지논문 12편중 11편은 심층면담으로만 진행하였고, 이 중 대 다수는 참여관찰에 대한 언급도 없이 바로 심층면담을 진행하 였다. Schwartz-Barcott와 Kim (1986, 2000)의 혼종모형의 주 된 특징인 경험적 관찰부분이 제외된 상태에서 선택된 개념과 상관없이 심층면담만으로 진행되는 특이한 양상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Schwartz-Barcott와 Kim이 초기 개념선택에 있어서 ‘만남 (encounter)’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장연구단계에서 참여관 찰내용을 구체적으로 묘사해가면서 개념을 정련화해 나가는 과정을 개념분석의 예로 제시한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혼종 모형은 Wilson의 개념 분석전략과 Schatzman과 Strauss의 근거이론접근을 기반으로 하는 점(Meleis, 1997)을 감안할 때, Schwartz-Barcott와 Kim (1986, 2000)이 제시한 혼종모형에 충실하게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연구사례는 참여관찰을 실시한 논문은 최소 3명(Kim, 1997) 부터 최대 20명(Yu, 2017), 참여관찰대신 심층면담으로만 진 행된 논문은 최소 4명(Kim, Kim, & Im, 2017)부터 최대 25명 (Lee, 2019)이었다(Table 2). Schwartz-Barcott와 Kim (2000) 은 혼종모형에서는 많은 사례가 불필요하고 바람직하지 않다 고 하였고, 3명 내지 6명의 개인들이 적합하다고 한 점을 감안 할 때 적정 연구사례수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Schwartz-Barcott와 Kim (2000)은 분석단위를 관심 현상의 특성에 따라 3명 내지 6명의 개인들, 3개 또는 4개의 양자 관계, 1개 또는 2개의 집단, 1개의 층(one floor) 또는 1개의 병동 (one ward)으로 제시하였고, 특히 사람들 간의 접촉(touch), 공 감(empathy), 매력(attraction), 분노(anger)를 양자관계 수준 에서 연구될 수 있는 예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Kim (1997)이 수 행한 ‘접촉(touch)’의 개념분석연구에서는 3명의 연구참여자 를 심층면담 후 사례별로 면담자료분석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Kim (1997)의 연구 외에도 국내에서 혼종모형을 적용한 연구들 대부분의 분석단위는 개인들로 국한된 바, 개념 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분석단위 적용을 통한 보다 실증적 연구 가 필요하다.

    연구결과 제시내용을 보면, 개념을 최종 정의하고 개념의 속 성만 제시(Kim, 2018), 사례, 선행요인과 속성, 결과 제시(Kim et al, 1999), 선행요인, 속성, 결과, 지표 제시(Choi, 2018) 등 다 양하다.

    국내 혼종모형을 적용한 연구들은 Schwartz-Barcott와 Kim (1986)이 제시한 이론적 단계와 현장 작업 단계, 최종분석 단계를 거치면서 개념을 정련 화하고, 이에 따른 개념분석결 과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나, 자료수집분석방 법과 연구결과 제시의 틀이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양 상은 Walker와 Avant (1995)의 방법에 의한 연구들이 정형 화된 틀(속성, 모델사례, 반대사례, 유사사례, 선행요인과 결 과 등)로 제시되는 것과 대조적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 상은 Schwartz-Barcott와 Kim (1986, 2000)Schatzman과 Strauss (1973)의 현장연구에 대한 지침, Reynold (1971)Wilson (1969)의 분석적 접근방법 등을 연구에 도움이 되는 방 법으로 예를 들어 제시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된다.

    Schwartz-Barcott와 Kim (2000)은 혼종모형이 상호 관련 이 있는 개념의 군집(문제해결, 의사결정과 준수, 고립, 외로움 과 사회적 지원)을 식별하는데 유용하다고 하였으나, 국내 연구 에서는 개념분석만 주로 이루어지고, 개념의 군집을 식별하는 연구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1996년부터 국내에서 혼종모형 을 적용하여 다양한 개념에 대한 개념분석연구가 실시되었으 나, 개념분석에 따른 이론개발이 이루어진 연구는 Yoo (2007) 의 체질간호 이론개발연구 1편만 확인되었다. 개념분석은 간 호이론 개발의 토대이다. 혼종모형을 적용한 개념분석과 개념 차별화 연구를 통하여 좀 더 명확한 개념에 기초한 한국적 간호 이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 론 및 제 언

    Schwartz-Barcott와 Kim의 혼종모형(Hybrid Model)은 이론적 과정과 실증적 과정을 모두 사용한 방법으로 정의와 측 정의 필수적인 면에 중점을 두면서 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 하므로 간호 관점에서 정련되거나 타당화 되지 않은 개념을 연 구하는 데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간호학은 응용과학이므로 간 호이론과 연구는 실무를 통하여 확인되고 검증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이론적 분석과 경험적 관찰을 연결하는 혼종모형은 간호실무의 발전에 매우 적절한 개념분석방법으 로 판단된다. 이러한 혼종모형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연구방 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 부족으로 좋은 자료와 통찰력을 가지고 도 외형적 형식만 갖춘 연구결과들이 도출되는 문제가 발생되 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에서 제시한 혼종모형의 내용과 적용이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의 질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될 것 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 자 한다.

    첫째,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연구결과 도출을 위하여 탐구 하고자 하는 현상에 가장 적합한 현장작업환경과 분석단위(개 인별 또는 집단 등), 자료수집분석방법을 선택하도록 한다.

    둘째, 혼종모형을 적용한 개념분석과 개념차별화 연구를 통 하여 한국 현실에 적합한 실증적인 간호이론 개발연구가 필요 하다.

    셋째, 국내 혼종모형 적용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지침 마련 이 필요하다.

    Figures

    JKAQR-4-1-40_F1.gif

    Major components of the hybrid model by Schwartz-Barcott & Kim (2000).

    Tables

    Examples of Client and Client-Nurse, Practice Domains by Kim (1987)

    Sample Format for Organizing and Analyzing Definitions by Schwartz-Barcott & Kim (2000)

    Types of Research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s and Data Collection Method, No of Case

    Research Concept of Hybrid Model by Schwartz-Barcott & Kim in Korea

    References

    1. Chang, S. O. , & Lee, S. J. (1996). Concep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comf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5(2), 108-120.
    2. Cho, K. C. (1996). Concept development of client advocacy using hybrid model. The Korean Nurse, 35(5), 90-93.
    3. Choi, H. J. , & Jung, K. I. (2018), A concept analysis of job-esteem of nursing students. Crisisonomy, 14(5), 105-118.
    4. DeNuccio, G. , & Schwarztz-Barcott, D. (2000). A concept analysis of withdrawal: application of the hybrid model.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Saunders, 161-192.
    5. Hardy, M. E. (1974). Theories: Components, development, evaluation. Nursing Research, 23, 100-107.
    6. Kang, K. A. (1996). Concep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suffering - Application of hybrid model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2), 290-303.
    7. Kim, E. J. , Kim, J. H. , & Im, J. H. (2017). Concept analysis of nurse dose: Using the hybrid model.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7), 417- 428.
    8. Kim, H. J. , & Kim, J. H. (2018). Concept analysis of tactic nursing knowled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6), 637- 655.
    9. Kim, H. S. (1987). Structuring the nursing knowledge system: A typology of four domains.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An International Journal, 1(2), 99-110.
    10. Kim, H. S. (1997). An analysis of the concept touch - Application of hybrid model method -. Kyungki Junior College, 51-60.
    11. Kim, I. J. , Seo, M. J. , Son, H. M. , Kim, E. M. , & Hwang, J. I. (1999). Concept analysis of helplessness: Application of the hybrid model.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3(2), 119-136.
    12. Kim, K. O. , & Kim, J. A. (2019). Concept analysis of fighting spirit in Korean patients with canc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1(1), 50-60.
    13. Lee, M. H. (2019). Patient-centered nursing: A concept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4. Meleis, A. I. (1997). Theoretical nursing: Development and progress (3rd ed.). Philadelphia, PA: J.B. Lippincott.
    15. Morse, J. M. , Hupcey, J. E. , & Lenz, E. R. (1997). Choosing a strategy for concep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Moving beyond Wilson. In Gift, A. G. (1997). Clarifying concepts in nursing research (pp. 73-96).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6. Reynolds, P. D. (1971). Primer in theory construction. Indianapolis: Bobbs-Merrill.
    17. Schatzman, L. , & Strauss, A. L. (1973). Field research: Strategies for a natural sociology. New Jersey: Prentice Hall.
    18. Schwartz-Barcott, D. , & Kim, H. S. (1986). A hybrid model for concept development. Nursing Research Methodorogy. Issues and Implement, 91-101. Maryland: Aspen Publication.
    19. Schwartz-Barcott, D. , & Kim, H. S. (2000).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129-159. Philadelphia: Saunders Company.
    20. Seo, N. S. , Kang, S. J. , & Kim, J. H. (2017). Concept analysis of fatigue in hemodialysis patients based on hybrid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7), 688- 698.
    21. Walker, L. O. , & Avant, K. C. (2014).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5th ed)(Oh, K.S., Lee, I.S.,& Joe, S.Y. Trans.). Seoul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Jung Dam Media.
    22. Wilson, J. (1963/1969). Thinking with concepts, New York: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23. Yi, M. S. , Lee, S. W. , Kim, K. J. , Kim, M. G. , Kim, J. H. , Lee, K. H. , et al. (2006). A review study on the strategies for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3), 493-502.
    24. Yoo, J. H. (2007). Develop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nursing (SCN) theory using hybrid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5. Yu, J. Y. (2017).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siblings of childhood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