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6 No.1 pp.56-66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21.6.56

Analysis of Nursing Theories in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for the Last 10 Years

Young Ran Chae1, Yeon Jeong Heo2, Joo Hyun Kim3, Ho Jong Kwak2, Myeung Nam Kim2, Moon Sook Lee2, In Sun Cheon2
1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Graduate Student,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3Professor Emeritus,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Heo, Yeon Jeong https://orcid.org / 0000-0002-5328-7194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 Ganwondaehak-gil, Chuncheon 24341, Korea. Tel: +82-33-250-8880, Fax: +82-33-259-5636, E-mail:
far1555@naver.com
January 23, 2021 ; March 17, 2021 ; March 23, 202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by investigating the nursing theories used in research articles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for the last 10 years.


Methods:

Amo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for the past 10 years from 2010 to 2019, the research trends was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nursing theories used in the studies.


Results:

As the results of a survey of 847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from 2010 to 2019, 139 studies applied to the theory were extracted. As for the theory, one Grand Theory, Roy’s adaptation model, and 6 Middle Range Theories including Kolcaba’s comfort theory,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ing's goal attainment theory, Watson's human caring theory, Reed's self-transcendence theory,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Conclusion:

In nursing, more use of nursing theories in research is necessary in the future, not only i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but also in qualitative research.



최근 10년간의 대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된 간호이론 적용 논문 분석

채 영란1, 허 연 정2, 김 주 현3, 곽 호 종2, 김 명남2, 이 문 숙2, 천 인 선2
1강원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2강원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생
3강원대학교 간호대학 명예교수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이론은 어떠한 현상을 설명하여 기술하고 예측하며 통제하 려고 하는 목적을 갖고 있는 상징적인 서술이다. 이론은 현상을 서술하고, 설명하며 예측, 통제의 기능을 표현하는 검증 가능 한 가설의 기반이 되는 특성이 있다. 간호이론은 간호영역에서 의 현상을 규명하고 간호학에서 이론적 영역과 간호실무의 연 관성을 보여주는 개념체계이다. 간호영역에서의 주요 메타패 러다임으로 인간, 환경, 간호, 건강에 대해 이론이 어디에 초점 을 두었는지에 따라 욕구 및 문제중심이론, 상호작용중심이론, 체계중심이론, 에너지장중심이론, 인간중심이론등과 같이 분 류할 수 있다[1]. 국내에서 간호이론을 연구에 활용한 논문은 1982년 국내 첫 간호학 박사 논문[2]에서 로이의 이론인 환자 의 생리적 욕구, 자아개념, 역할기능, 상호의존관계의 4가지 적 응모형을 사용하였다. 논문에 간호이론을 활용한 첫 사례 이후 1990년도에 들어가면서 점차 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면서 존 슨, 킹, 뉴만, 파시, 바나드, 팬터 이론을 적용하거나 오렘과 반 두라 이론을 합성하여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검증한 연구 [3]에 이르기까지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는 연구자의 관심이나 연구개념에 따라 한 가지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하기보다 다양 하게 연구가 되어 왔다[1]. 간호이론은 간호의 현상을 설명하 거나 기술하고, 중재방법을 제시하거나 결과를 예측할 수 있으 며, 간호가 분과 학문으로 발전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전 국에 있는 간호학과에서 간호이론에 관한 교육을 모두 실시하 고 있을 정도로 간호이론은 매우 중요하다. 간호이론은 간호의 방향과 목적을 알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지만 간호 상황 에 적절한 이론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4].

    한국간호과학회는 1970년에 창설된 이후 간호학 연구를 통 해 간호학문을 발전시키고 간호교육의 발전을 위한 활발한 학 술활동을 하고 있으며, 대한간호학회지에 실리는 논문의 수 는 연간 평균 95건이고 총 1,800건으로 양적인 성장을 하고 있 다. 그러므로 연구의 질적인 부분에 대한 발전을 위해 간호 이 론이 간호 연구와 간호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 는지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간호 상황에 적절한 이론을 찾도록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연구논문 분석 은 연구 유형, 연구설계, 연구방법, 이론적 기틀 유무, 연구 내 용, 간호학의 메타파라다임 4 영역에 대한 주제어 등 다양한 방 법으로 분석할 수 있다[5-12]. Walker와 Avant는 이론의 범위 에 따라 간호이론과 관련된 광범위한 문제에 초점을 맞춘 메타 이론과 간호실무에 대한 광범위한 관점을 명확하게 해주는 거 대이론, 그리고 메타이론과 거대이론 사이를 연결해주는 덜 추 상적인 중범위이론, 마지막으로 실무 중심으로 이론처방 수준 인 실무이론까지 4가지 수준의 이론으로 분류하였고, 이론의 접 근방식으로 이론개발, 이론유도, 이론합성, 이론분석 등으로 분 류하였다[4].

    간호이론을 활용한 연구에서 Walker와 Avant에 맞춰 이론 을 분석하는 방법, 이론 합성이나 유도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 현황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대한간호학회지에 간호이론이 활용된 연구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간호연구의 학문적 토대를 이 루는 간호 이론이 논문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동향을 파 악하여 간호연구에서 간호이론 적용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한다. 또한, 간호이론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간호이론과 관련된 연구 분석은 간호이론교육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목적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의 대한 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Raile Alligood과 Marriner Tomey [13]의 Nursing theorists and their work 책에 제시된 간 호이론을 적용한 논문들에 대해 조사하여 연구의 흐름을 분석 하고 간호지식체의 발전과 학회지의 연구방향성을 제시하고 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대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간호이론의 적용 정도를 파악한다.

    • • 대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간호이론을 적용 한 연구의 특성을 파악한다.

    • • 대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간호이론을 적용 한 연구에 Walker와 Avant는 이론의 접근방법에 맞추어 이론개발, 이론유도, 이론합성, 이론분석 등으로 분류하 여 간호이론 활용 방식에 대해 확인한다.

    • •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의 주요어를 간호 메타파라다임 에 따라 분석한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의 대한간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간호이론을 적용한 논문을 통합적 고 찰방법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2. 연구진행

    본 연구는 Whittemore와 Knafl [14]의 통합적 고찰방법에 따라 1단계 문제규명, 2단계 문헌검색 및 자료수집, 3단계 자료 평가, 4단계 자료분석, 5단계 자료제시 순으로 진행하였다.

    1) 문제규명

    문제규명 단계에서는 Raile Alligood과 Marriner Tomey [13]의 책에 제시된 간호이론을 근거로 문제를 단계적으로 규 명하였다. 첫째, 대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무엇인가? 둘째, 대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 문 중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의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대한 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어떻 게 간호이론을 활용하였는가? 등 세 가지 문제를 도출하였다.

    Raile Alligood과 Marriner Tomey [13]의 책에 제시된 간 호이론은 크게 4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간호철학부분에서 진 왓슨(Jean Watson)의 개인초월적 돌봄의 철학과 이론 외 3개의 이론이 소개되었고, 간호개념모델부분에서 칼리스타 로 이(Sister Calister Roy)의 적응 모델 외에 6종류의 이론이 제시 되었다. 간호이론부분에서는 놀라 펜더(Nola J. Pender)의 건 강증진 모델 외에 8개 이론, 중범위이론부분에서는 메를 미쉘 (Merie H. Mishel)의 질병 불확실성 이론 외에 11개 이론을 소 개하고 있었다.

    2) 문헌검색 및 자료수집

    (1) 문헌검색 방법

    문헌검색을 위해 7명의 연구자들이 한국간호과학회 홈페이 지에서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최근 10년간 대한간 호학회지에 게재된 모든 논문을 검색하여 문헌을 확인하였다.

    논문의 선정기준은 1)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대 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연구, 2) Raile Alligood과 Marriner Tomey [13]의 책에 제시된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였다. 논문 의 제외기준은 이론을 정의하지 않고 개념적 틀만 사용한 연구, 이론을 적용하지 않고 선행연구에 기초한 모델 생성 연구, 이론 을 적용하였다고 명시하였으나 이론적 기틀이 어떻게 적용되 었는지 파악할 수 없는 연구는 제외하였다.

    (2) 문헌선정

    본 연구의 연구자 7명이 한국간호과학회 홈페이지에서 학 술지를 검색한 결과 총 848편의 문헌이 검색되었다. 연구자들 이 848개 문헌을 각각 검토하여 Raile Alligood과 Marriner Tomey [13]의 책에 제시된 간호이론이 적용된 13편의 문헌을 추출하였다(Figure 1).

    3) 자료평가

    자료평가 단계에서 최종 선택된 13편의 문헌을 Hawker 등 [15]이 제시한 문헌평가지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자료분석 을 시행할 논문을 정하였다. Hawker 등[15]의 문헌평가지는 9개의 항목으로 Likert 4점 척도로 good=4점, fair=3점, poor =2점, very poor=1점으로 평가하며 합산 점수는 최소 9점에 서 최대 36점이다. 9개 평가항목은 (1) 제목과 초록, (2) 서론 및 연구목적, (3) 연구방법, (4) 연구대상, (5) 자료분석, (6) 윤리적 고려, (7) 연구결과, (8) 전이 및 일반화의 가능성, (9) 연구의 의 의이다. 최종 선택된 13편 논문은 연구자들이 2명씩 조를 이루 어 평가하였다. 평가점수는 평균 35점으로 32점에서 36점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평가자 간 일치도는 급내상관계수(Intra- Class Correlation, ICC) .918로 분석 논문 모두를 자료분석 단 계에 포함하였다.

    4) 자료분석

    최종 분석에 포함된 자료는 선정기준에 충족하는 논문 총 13 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분석기준들을 바탕으로 선별하여 자료분석 틀을 만들고 간호이론을 적절하 게 활용하였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문제규명단계에서 제시 된 내용들이 모두 포함되도록 자료분석 틀에 들어갈 항목을 연 구자 7인이 합의하여 결정하였다. 자료분석 틀에는 논문의 게 재 년도, 연구자 직위, 연구목적, 대상자, 표본추출방법, 주요 어, 이론명, 이론가, 이론활용방식, 연구 유형, 연구설계, 자료 수집방법,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 여부, 검증방법, 연구결과에 대해 분류하여 표로 정리하 였다.

    5) 자료제시

    문헌고찰의 마지막 과정인 자료제시 단계에서는 자료분석 단계에서 연구자들이 합의하여 도출한 자료분석틀에 맞게 정 리하고 연구결과에 간호이론 적용 연구의 연도별 분포, 연구의 일반적 특성,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 연구에 적용된 간호이론 현황, 주요어 분석을 제시하였다.

    연 구 결 과

    1. 간호이론 적용 연구의 연도별 분포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간호과학회에 게재된 논문 847편을 조사한 결과 이론적용 연구는 139편으로 추출되었다. 그 중 간호이론 적용 연구는 13편으로 게재 연도 별로 살펴보 면 2010년 4편(30.8%), 2011년 1편(7.7%), 2012년 2편(15.4%), 2013년 3편(23.1%), 2014년 0편(0.0%), 2015년 1편(7.7%), 2016 년 0편(0.0%), 2017년 1편(7.7%), 2018년 0편(0.0%), 2019년 1편(7.7%)이었다.

    2. 연구의 일반적 특성

    간호이론 적용 연구의 특성은 제1저자, 연구목적, 대상자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자는 대학원생이 9편(69.2%)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교수 3편(23.1%), 전임강사 1편(7.7%) 순이었다. 연구목적은 간호중재 개발 및 효과를 측정한 연구 가 8편(61.5%),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가 2편(15.4%), 그 외 변수를 확인하고 기술하는 연구가 3편(23.1%)이었다. 대 상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53.8%)으로 가장 많 았으며, 일반인 이외의 대상자로 환자 4편(30.8%), 학생 2편 (15.4%)이었다(Table 1).

    3.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

    논문의 연구방법을 연구의 표본수, 표본추출방법, 연구유 형, 연구설계,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학적 방법, IRB승인 여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연구의 표본수는 평균 149명으로, 최솟값은 39명이었고, 최댓값은 400명이었다. 연 구유형별로 보면 실험연구에서 표본수는 대조군까지 포함하 여 평균 54명이었고, 비실험연구는 평균 208명이었다.

    연구의 유형은 양적연구가 13편(100%), 질적연구가 0편 (0.0%)이었다. 연구설계는 조사연구가 5편(38.5%), 실험연구 가 4편(30.8%), 방법론적 연구 3편(23.0%), 모형구축 연구 1편 (7.7%)이었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1편의 연구는 설문지법, 생 리적 측정법, 의무기록 정보 활용의 3종류의 자료수집방법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12편의 연구는 설문지법만으로 자료를 수 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학적 방법으로 차이 검증법인 t-검정(t-test) 9편(26.5%), 분산분석(ANOVA) 6편(17.6%), 교차분석(x2 test)이 4편(11.8%), Fisher의 정확한 검정(Fisher's exact test) 3편(8.8%)이었고, 상관성 분석방법 중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4편(11.8%),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5편(14.7%)이었으며, 그 외 3편(8.8%)이 다른 분 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윤리를 위해 IRB승인을 받은 연구 는 13편(100%)이었다(Table 2).

    4. 연구에 적용된 간호이론 현황

    이론은 거대이론(grand theory) 1편, 6개의 중범위 이론 (middle range theory)이 12편의 논문에 적용되어 있었다. 간 호이론을 적용한 연구 13편을 분석해보았을 때, 거대이론인 Roy의 적응모델(adaptation model)이 1편의 연구에 적용되었 으며 중범위이론은 Kolcaba의 안위이론(comfort theory)이 1 편에, Pender의 건강증진모델(health promotion model)이 5 편, King의 목표달성이론(goal attainment theory)이 3편, Watson의 돌봄이론(human caring theory)이 1편, Reed의 자 기 초월이론(self-transcendence theory)이 1편, Mishel의 불 확실성이론(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1편의 연구에 적용 되었다.

    간호이론을 사용하는 목적으로 이론 검증을 위한 연구가 7 편으로 가장 많았고, 모형 구축을 위한 연구가 2편, 중재 프로그 램 개발 연구 2편, 도구 개발 연구 1편, 도구 검증 연구 1편이 있 었다. 간호이론을 연구에 활용한 방법으로 기존 이론을 그대로 적용한 연구가 11편으로 가장 많았고, 이론을 합성하여 적용한 연구는 2편이었으며, 그 외에 이론을 유도한 연구는 없었다. 거 대이론 중 Roy의 적응 모델을 검증한 연구는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어머니의 연관자극과 잔여자극이 모유수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였다[16]. 중범위이론 중 Kolcaba 의 안위이론은 편안한 상태를 제공하고, 불편감의 완화, 격려, 회 복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전신마취 하에서 개복수술을 실시하 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forced airwarming system을 통해 가온을 적용한 후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한 연 구에 적용되었다[17]. Pender의 건강증진모델을 활용한 연 구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모형 구축을 위한 연구에서는 기존 Pender의 건강증진모델의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다른 이 론을 합성하였다. Pender의 건강증진모델의 개념을 그대로 적용한 연구는 학령기 비만아동의 건강증진행위를 통합적으 로 설명하기 위한 예측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 한 연구로 Pender의 건강증진모델을 수정하여 모형을 구축하 였다[18]. 이론을 합성한 연구는 Pender의 건강증진모델과 Bandura의 자기효능모델(사회인지이론) 이론을 합성하여 개 념적 기틀로 설정하고, 여성결혼 이민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고 예측 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19]. 이론 검증을 위한 연구는 기존 Pender의 건강증진모델의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였고, 노인의 개인적 특성인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 행위와 관련된 자기효능감이 양생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기틀에 따 라 진행한 연구[20], 중국출신 이민 여성의 신체활동 정도를 파 악하고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행동 특이적 인지 요인을 규명한 연구[21], 중년기 성인의 노화에 대한 기대 수준을 파악하고, 노화에 대한 기대를 포함한 개인적, 행동 특 이적 인지 요인들이 신체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 [22]가 있었다. King의 목표달성이론을 활용한 연구들의 특성 을 살펴보면, 3개 모두 이론 검증을 위한 연구였다. King의 목 표달성이론을 적극적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간 호사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을 통한 목표설정과 목표달성방법 모색, 합의가 교류작용을 통해 학령기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 레스, 양육 행동의 강화로 부모역할만족도를 증진키는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23], King의 목표달성이론을 근거로 대상자의 성 문제 확인과 해결을 위한 목표설정, 정확한 성 정보, 골반저 근 운동과 신체활동, 초점자극훈련과 의사소통 향상법을 내용 으로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요소를 통합하여 부인암 여성 부 부를 위한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24], 문제사정, 요구도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정서 행동 관심군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을 향상시 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여 King의 목표달성이론을 기반으로 집단 교류작용과 개별교류작용으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실시한 연구[25]가 있었다. Watson의 돌봄이론은 부위 마취로 수술 받는 환자가 수술실에서 지각한 간호사의 돌봄행 위정도를 측정하는 도구 개발 연구에 적용되었고, 이 연구에서 간호사의 돌봄행위를 구성하는 핵심요인은 전인적 욕구 충족, 배려, 보호적 환경조성, 신중함, 관심기울임, 정보제공, 신체적 안위도모이었다[26]. Reed의 자기 초월이론은 한국어판 성공 적 노화 측정도구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도구 검증 연 구[27]에 적용되었고, 삶의 만족, 문제해결 능력을 포함한 창의 성, 정신 및 신체 기능적 대처, 초월감의 요인이 규명되었다. Mishel의 불확실성이론을 적용한 연구[28]는 대장암 수술 환 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대처전략을 강화하기 위해 Fillion의 내비게이션 개념틀을 합성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Table 3).

    5. 주요어 분석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의 주요어들을 간호학의 4가지 메 타패러다임에 맞춰 분석하였다. 각각의 연구에서 주요어들을 복수 제시하고 있어 13편의 연구에서 총 41개의 주요어를 도출 하였다. ‘인간’ 관련 주요어는 8개로 ‘노화’가 3회, ‘이민자’가 2 회였고, 그 외에 항목은 1회씩 제시하였다. ‘건강’ 관련 주요어 는 14개로 ‘자기효능감’이 3회였고, 그 외에 항목은 1회씩 제시 하였다. ‘환경’ 관련 주요어는 7개로 ‘요인 분석’, ‘신뢰성 및 타 당성’ 등 각 항목은 1회씩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간호’ 관련 주요어는 17개로 ‘건강 증진’이 4회, ‘목표’ 2회, ‘육아’ 2회 제시 되었고 그 외에 항목은 1회씩 제시되었다(Table 4).

    논 의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 한국간호과 학회에 게재된 연구 중 Raile Alligood과 Marriner Tomey [13]의 책에 제시된 간호이론을 적용한 총 13편의 연구를 분석 하여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고 학회지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자 시행되었다. 연도별 간호이론 적용 연구 분포도를 살펴본 결과 2010년에는 간호이론이 적용된 연구가 4편이었으나 2019년에는 1편으로 간호이론이 적용된 연구가 점차 줄어들 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간호학은 실용 학문으로 최근 임상연구 의 중요성이 높아져 과거에 비해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가 감 소한 것으로 보인다. Rosa [29]등은 간호이론이 간호사에게 필 수적인 지식 개발과 이론 유도를 수행하도록 안내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현재와 미래의 인류와 세계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이론이 필수적이라고 하였 다. 따라서 앞으로는 간호학문의 토대가 되는 간호이론을 간호 상황에 적절하게 활용한 연구를 격려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일반적 특성에서 9편이 박사학위 논문으로 대부분 을 차지하였다. 학위논문 이외는 간호이론을 잘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간호 현장에서 실무에 간호이론을 적용 한 연구를 격려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목적은 간호중재 개발 및 효과를 측정한 연구가 8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외 에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하거나 변수를 확인하고 기술하는 연 구로 앞으로는 이론 검증을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대상자는 일 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으로 가장 많아, 좀 더 건강 문제 가 있는 환자에게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로 대상자의 범위를 넓혀야 하겠다.

    연구방법에서는 총 13편의 연구 모두 양적연구방법을 이용 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을 이용한 논문은 한 편도 없었다. 지 금까지 간호학문은 주로 양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간호학문 을 발전시켜 왔으나 양적연구방법만으로는 간호 현상에 대해 충분하게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간 호 현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해 시행하기도 하 며, 질적연구방법 중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이론 개발을 위 해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도구개발을 위한 연구는 양적연구 방법과 질적연구방법이 동시에 적용되기도 한다[30]. 질적연 구는 이론의 근거를 개발하며, 양적연구의 결과를 검증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간호이론을 적용한 질적연구를 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연구설계는 조사연구가 5편으로 가장 많았고, 모형구축 연구는 1편으로 나타나 앞으로는 실험 연구, 이론 검증 연구를 많이 시행할 필요가 있겠다. 총 13편의 연구 모두 연구윤리를 위해 IRB 승인을 받았으며, 이는 생명윤 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2004년 1월 29일 제정되고 2005년 1 월 1일 시행되어 IRB 승인이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에 적용된 간호이론은 6개의 중범위 이론이 12편에 적 용되었고, 1개의 거대이론은 Roy의 적응모델로 1편의 연구에 적용되었다. 다른 연구동향 논문에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간호행정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이론을 적용한 논문 을 분석한 연구[8]에서는 중범위 이론이 2편, 실무이론이 7편 에 적용되었다. 2011년부터 2017년에 종양간호학회지에 게 재된 이론 적용 논문을 분석한 연구[9]에서는 거대이론 중 Orem의 자가간호이론(Self-Care theory) 1편, 중범위 이론 중 Mishel의 불확실성 이론 2편, Lenz 등의 불쾌증상이론(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1편으로, 중범위 이론이 3편에 적용 되어 본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거대이론 보다 중범위 이론이 더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나 중범위 이론이 거대이론보다 구 체적이어서 많이 적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중범위 이론 뿐 아니라 거대이론도 간호연구에 적극 적용해 볼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학회지에 따라 적용된 이론이 다르게 나타난 이유는 학회지의 발간목적과 특성이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된 다. 간호행정학회지의 경우 주로 간호사의 역량을 분석하고 개 선하기 위한 연구가 많아 간호역량모델을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종양간호학회지의 경우 Mishel의 불확실성이론이 가장 많이 적용되었는데 Mishel이 개발한 불확실성평가 도구 를 이용하여 암 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거나 질병 관련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 서 중범위 이론에서는 Pender의 건강증진모델이 5편, King의 목표달성이론이 3편에 적용되었다. Pender의 건강증진모델 의 경우 5편의 연구 중 4편의 연구가 그대로 연구에 적용되었 고, King의 목표달성이론의 경우 3편 연구 모두가 기존 이론을 그대로 적용하여 간호학 연구에서 직접 적용되는 이론이었다. Pender의 건강증진모델은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이론으로 보여지며, 앞으로도 영양, 환경과의 상호작용 등 다양한 측면 을 고려한 연구를 수행할 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이론을 활용한 방식으로 기존 이론을 그대로 적용한 연 구가 11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론 합성의 경우 2편이 었으며, 이론 유도는 없었다. Rosa [30]등은 간호이론이 모든 영역과 모든 국가에서 일하는 간호사에게 필수적인 지식 개 발과 이론 유도를 수행하도록 알려주며, 모든 환경에서 일하 는 간호사들이 현재와 미래의 인류와 세계의 요구를 충족시 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간호이론이 필수적이 이론 유도는 관심 있는 두 분야에서 현상에 대한 유추를 하여 새로운 분야 의 이론 개발을 위한 창조적이고 중요한 방법으로 추후 이론 유도를 사용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Raile Alligood과 Marriner Tomey [13]의 책에 제시된 간호이론 중 중범위 이론 (middle range theory)에는 Mercer의 모성역할획득-어머니 되기(becoming a mother theory), Wiener의 질병궤도이론 (theory of illness trajectory), Ruland와 Moore의 평화로운 생의 임종이론(a proposed theory of the peaceful end of life) 등과 같이 다양한 중범위 이론(middle range theory)이 있는데 거의 연구에 적용되고 있지 않아 국내 간호 현장에서 다 양하게 적용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는 보통 3-5개를 제시하게 되어 있어 본 연구에서 간 호학의 4가지 메타패러다임에 맞춰 분석한 결과 ‘간호’ 관련 주 요어가 17개로 가장 많았고, ‘건강’ 관련 주요어가 14개, 그리고 ‘인간’과 ‘환경’ 관련 주요어가 각 7개로 ‘인간’과 ‘환경’ 관련 주 요어가 적은 편이었다. 다른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11년부터 2017년에 종양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이론 적용 논문을 분석한 연구[9], 2004년부터 2006년 성인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한 연구[10], 1989년부터 2000년까지 성인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한 연구[11]의 경우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 게 ‘건강’ 관련 주요어가 가장 많았고, ‘환경’ 관련 주요어가 적 었다. 반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간호행정학회지 에 게재된 논문 중 이론을 적용한 논문을 분석한 연구[8]의 경 우 본 연구결과와는 반대로 ‘인간’ 관련 주요어가 가장 많았고, ‘건강’ 관련 주요어가 적었다. 앞으로 ‘환경’ 뿐만 아니라 건강 관련 문제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간’ 관련 연구를 활 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일개 논문집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 며, 모든 논문이 간호이론을 적용한 논문으로 이루어져 있어 논 문의 수가 적고, 간호이론의 흐름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운 한계 가 있다. 비론 제한점이 있지만 간호이론을 기반으로 연구에 대해 분석하여 간호학문에서 간호이론의 활용방안에 대해 모 색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는 대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연구 중 간호이론을 적 용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간호이론을 적용한 간호학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였다. 분석 대 상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 한국간호과학회에 게재된 논문은 총 848편 중 Raile Alligood과 Marriner Tomey [13]의 책에 제시된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총 13편으로 간 호이론을 적용한 연구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를 통 해서 간호이론을 활용하고 개발하여 간호지식을 발달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간호현장은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어 간호 이론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향후 간호현장에서 다양한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가 증가해야 하 며, 양적연구방법 뿐만 아니라 질적연구방법을 이용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한국간호과학회지만을 고찰 하였으므로 다른 간호학 관련 학술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간호학 분야에서 향후 간호이론을 적용한 연구가 증가 되어야 할 것이며, 양적연구방법 뿐만 아니라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세째, ‘인간’, ‘환경’ 관련 분야에서 간호이론을 적용하여 간 호연구의 범위를 넓혀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간호교육에서 간호이론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고 간호 이론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Figures

    JKAQR-6-1-56_F1.gif

    Flow diagram of study selection.

    T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ublished in JKAN for Last 10 Years (N=13)

    Trends in the Types of Research and Research Designs in JKAN for Last 10 Years (N=13)

    Descriptive Summary of Researches Guided by Theories (N=13)

    Keyword Classification by Nursing Meta-paradigm (N=13)

    References

    1. Lee SW, Kim JH, Lee BS, Jeong MS, Yu M, Lee DS, et al. Understanding nursing theory. Paju: Soomoonsa; 2017. p. 16-88.
    2. Lee SW. The effect of structured information on the sleep amount of patients undergoing open heart surgery.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82;12(2):1-26.
    3. Park YI, Hong YS. An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s-synthesis & testing of Orem and Bandura's the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94;5(2):109-129.
    4. An GJ, Ham EM, Park KH, Kang JY, Park SH, Lee HJ, et al. Prospective of nursing research based on analysis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nurs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04;1(1):85-102.
    5. Choi GS, Song MS, Hwang AR, Jeong MS, Sin SR, Kim NC.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 30(5):1207-1218.
    6. Choe M, Hong KJ, Han KJ, Park YS, Park S, Hah YS, et al. Trends of doctoral dissertations of one college of nursing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9;15(1):32-43.
    7. Han NK, Kim SH, Kim MS, Kim JG, Kim CH, Choi SH. Trend analysis of research in th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for 5 years (2010~2014): focused on usage of nursing theor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5):527-536.
    8. Ji H, Hong S, Jeong YR, Lee KH. Analysis of theory-applied research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201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2):130-138.
    9. Lee HY, Kim MK, Seo WJ, Lee MJ, Heo YR, Kim S. Trend analysis of theory-based research published in Asian Oncology Nursing. Asian Oncology Nursing. 2019;19(1):1-8.
    10. Park YH, Lee YW, Kim OS, Cho MO.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8;20(1):176-186.
    11. Suh MJ, Kim SS, Song MS, Yee MS, Oh EG, Shin KR, et al. An analysis on the contents and the trend of nursing research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89 -2000).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1;13(4):571-580.
    12. Walker LO, Avant KC.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ng in nursing. 5th ed. Oh GS, Lee IS, Joe SY, translator. Seoul: Jungdam media; 2005. p. 281-301.
    13. Raile Alligood MR, Marriner Tomey AM. Nursing theorists and their work. St: Louis: Mosby; 2014. p. 3-1112.
    14.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5):546-553.
    15. Hawker S, Payne S, Kerr C, Hardey M, Powell J. Appraising the evidence: reviewing disparate data systematically.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2;12(9):1284-1299.
    16. Kim SH. Factors affecting mother's adaptation to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2):225-235.
    17. Park OB, Choi H. The effect of pre-warming for patients under abdominal surgery on body temperature, anxiety, pain, and thermal comf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3):317-325.
    18. Jeon MS. Kim HO. A predictive M\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2).
    19. Jeong, N, Lee MH. A predictive model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women who immigrate for marri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5).
    20. Park YS, Sun SD, Yunhee K. Factors influencing yangsaeng in elders (yangsaeng; traditional oriental health promo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1):72-79.
    21. Cho SH, Lee H.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among Chinese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6):760-769.
    22. Cho SH, Choi M, Lee J, Cho H.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and physical activity among middle aged adults in urban areas: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 45(1):14-24.
    23. Park KI, Oh S. Effects of active parenting today based on goal attainment theory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atisfaction in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5):659-670.
    24. Nho JH. Effect of PLISSIT model sexual health enhancement program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and their husban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5):681-689.
    25. Jeong IJ, Kim SJ.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goal attainment the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2):199-210.
    26. Kim MJ, Lee EN.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intra-operative caring behaviors perceived by regional anesthes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 42(5):749-758.
    27. Kim EJ. Accessing factor structure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uccessful aging invent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4):568-578.
    28. Kim K, Park W. Effects of mobile navigation program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based on uncertainty the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9;49(3):274-285.
    29. Rosa WE, Dossey BM, Koithan M, Kreitzer MJ, Manjrekar P, Meleis AI, et al. Nursing theory in the ques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Nursing Science Quarterly. 2020;33(2):178- 182.
    30. Lee MS, Ko MH, Son HM, Kim JY, Kang SR, Oh SE, et al. Qualitative research. Paju: Soomoonsa; 2018. p. 137-238.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