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6 No.2 pp.110-121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21.6.110

Forest Healing Instructor's Experiences of Providing a Forest Healing Program

Hui Gyeong Im1, Hyung Jin Choi2, Ji Hye Kwon3, Joo Hyun Kim4, Sook Hyeon Nam3, Young Sik Yoon3, Shin Myun Jang3, Seong Rae Hong3
1Forest Healing Instructor, Querencia Forest Healing Business, Chuncheon
2Graduate Student, Colla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3Forest Healing instructor, Association for Forest Welfare Research at Chuncheon
4Emeritus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Choi, Hyung Jin https://orcid.org/0000-0003-0920-5881 Colla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nyang University, 222 Wangsimni-ro, Seongdong-gu, Seoul 04763, Korea. Tel: +82-2-6021-1192, Fax: +82-2-6021-1487, E-mail:
choikkl@nate.com
October 24, 2021 ; November 3, 2021 ; November 5, 202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orest healing instructor's experiences of providing a forest healing program.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forest healing instructors who experienced managing a forest healing program at B mountain in C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 depth interview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5 themes and 18 sub-themes were derived. The derived 5 themes were as follows; 1. Choosing a new path as a turning point in life 2. Ambiguity as a new forest healing instructor, 3. Feeling a reward as a forest healing instructor and feeling self-healing. 4. Facing difficulties in operating forest healing programs, 5. Having on-going tasks for the establishment of forest healing programs.


Conclusion:

In order to provide good forest healing program, we need to develop addi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professionality as a forest healing instructor and continous long term economical supports and investment for forest healing instructors by the Korea Forest Service.



산림치유지도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경험

임 희 경1, 최 형진2, 권 지 혜3, 김 주 현4, 남 숙 현3, 윤 영 식3, 장 신면3, 홍 성래3
1퀘렌시아 산림복지 전문업 산림치유지도사
2한양대학교 경영대학 대학원생
3강원 산림복지연구회 산림치유지도사
4강원대학교 간호학과 명예교수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 도시의 발달과 기술 발전은 생활의 편리함과 경제적 기 회, 안락함을 제공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복잡하고 세분화된 도 시 환경은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다양한 만성적인 건강문제 를 발생시킨다[1,2]. 사람들은 건강과 웰빙에 많은 관심을 가지 고 건강을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주변의 산과 숲 및 공원 등을 이용하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산림치유에 대한 사회적 요구 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림청에서는 2007년부터 산림치유 활성 화를 위해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치유의 숲을 조성하기 시작하 여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3,4], 또한 지자체들도 이 런 요구들을 반영하기 위해 공원이나 둘레길, 숲길 등을 조성하 고 있다[5]. 산림문화 ․ 휴양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산림치유 란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 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 시키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6]. 이것은 산림을 이용하여 심신의 건강을 회복시키는 활동이 산 림치유이며, 숲이 가지고 있는 피톤치드와 같은 휘발성 유기 화 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등 다양한 치유 인자를 활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7]. 산림치유는 임상적 효능 이 입증된 스트레스 이완 및 관리활동으로 각광받고 있다[8].

    또한 산림의 효과를 근거로 하여 산림치유의 영역을 분류하 였는데 그 영역은 식물요법, 물요법, 식이요법, 정신요법, 기후 요법, 운동요법 등 6가지로 구분하고 있다[9]. 이에 따라 6가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활용하는 프로그램들을 비롯하여 산림을 이용한 다양한 산림치유요법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9-11]. 이렇게 다양한 산림치유요법들이 전국적으로 실행되 다보니 이와 관련된 많은 인력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산림 휴양과 치유를 숲 해설사나 숲길 체 험지도사가 담당하였으나, 산림치유지도사 과정이 제도화되 고 법적 기초가 정비되어 1급, 2급 두 단계의 산림치유지도사 가 2013년 처음 배출되었다[13]. 산림치유지도사는 치유의 숲, 자연휴양림 등에서 산림을 활용한 대상별 맞춤형 산림치유 프 로그램을 기획 ․ 개발하여 숲을 찾는 사람들이 산림치유 효과를 효율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문가로 산림청장이 자격을 부여하며[14], 2019년 기준 총 1,286명(1급 199명, 2급 1,087명)이 자격을 취득하였다[15].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은 산 림치유지도사 양성기관에서 교육을 이수 한 후 한국산림복지 진흥원에서 시행하는 검증평가에 합격하여야 취득할 수 있다. K대는 2017년부터 1급 산림치유지도사 자격과정을 개설하고 매년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격시험을 거쳐 산림치유지도 사를 배출하고 있다. 이에 K대 산림치유지도사 과정을 이수하 고 산림치유지도사 1급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모여 강원 산림복지연구회를 창설하고 2021년 3월부터 10월까지 산림치 유 프로그램을 B산에서 진행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상 자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수행되었으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산림치유지도사의 경험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또 한 산림치유지도사를 대상으로 한 산림치유지도사 직업선택 과 산림치유지도사 양성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양적연구들 [7,16]과는 달리 질적연구는 프로그램 운영 상황과 맥락 속에 서 산림치유지도사의 프로그램 경험을 확인함으로서 보다 깊 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프로그램 진행자로서의 경험을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서 앞으로의 산림치유지도사 활 동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던 산림치유지도 사의 프로그램 운영경험은 어떤 것인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함 으로써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운영 경험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 산림치유지도사들은 어떻게 산림치유지도사가 되었는가?

    • • 그들이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동안 어떤 어려움 을 겪었는가?

    • •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그들이 느낀 것들은 무 엇인가?

    • •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잘 운영되기 위해 산림치유지도사 들이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산림치유지도사들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경 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위해 포커스 그룹과 일대일 심층면 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핵심주제를 규 명한 서술적 연구이다.

    2. 연구참여자

    연구참여자는 모두 1급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을 취득하고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1회 이상 운영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다. 이 중 7명은 여성이고 5명은 남성이며 연령은 최소34세, 최대 67세이며 평균 연령은 56.2세이고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경험 은 최소 2회에서 최대 120회이고 평균 41.4회이었다(Table 1). 연구참여자는 K대 산림치유지도사 과정을 이수하고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통해 소개받아 눈덩이 표집으로 모집하였다.

    3. 연구자 준비

    교신 연구자는 여러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학술지에 발표한 바 있으며 연구책임자는 1급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을 취득하고 10회 이상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한 바 있기에 참여자 들의 경험에 대해 인터뷰를 하면서 이론적 민감성을 높일 수 있 었다. 또한 연구책임자는 질적연구에 대한 강의를 수강하였으 나 질적연구참여는 처음이다.

    4. 윤리적 고려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 및 방법을 대상자에게 설명하였으며 참여자에게 자발적인 연구의 참여에 대해 구두로 동의를 받았 다. 참여자는 면담 중간에 언제든지 참여를 중단하거나 거절할 수 있고, 연구자는 연구결과 보고 시에 참여자의 개인적 비밀을 보장하기 위하여 고유명사를 모두 익명 처리하여 참여자의 신 분이 노출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면담 시 녹화와 녹음이 된 면담내용은 대상자의 익명성과 비밀 유지를 할 것을 설명하였 다. 본 연구의 자료로만 사용되고 폐기될 것이라 알려주었으며 수집된 면담 자료는 노출되지 않도록 교신연구자의 개인 PC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저장하였고, 연구종료 후 수집된 자료는 폐기하였다.

    5. 자료수집

    일반적으로 포커스 면담은 그룹의 주제와 관련하여 공통된 특성을 가지고 선택된 6~10명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당하여 [17],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역의 산림에서 수행된 산림치유 프 로그램에 프로그램진행자로서 참여했던 경험이 있고 질적 자 료수집에 동의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1개 그룹 7명으로 2회 진 행하였고 5명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심층면담은 총 6회 이루어 졌다. 면담은 반 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사용하여 수행하였 다. 주요 면담질문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프로그램진행자로 서 참여했던 경험은 어떠하였는가?”이었다. 코로나 상황을 고 려하여 대면 면담이 어려워 줌을 이용하여 7명에 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개별적으로 심층면담을 5명에게 실시하였는데 개인 심층 면담은 참여자의 편의와 구술 내용의 녹취를 고려하여 주로 조용한 카페에서 진행하였다, 1회 면담 에는 약 40분에서 1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 면담 내용의 확인 등 추가 질문이 있을 때는 전화로 추가 면담을 하였다. 면담과 함께 중요한 내용이나 초점을 메모하고, 모든 면담 자료는 녹 음하였으며, 필사하여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인 터뷰의 내용에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지 않고 비슷한 내용이 반 복되어 연구자에 의해 자료의 포화가 판단되는 시점에서 종료 하였다.

    6. 자료분석

    질적 내용분석은 방대한 양의 텍스트로부터 유사한 범주의 단어를 분리하여 의미 있는 주제로 구성해내는 것으로 구체적 인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사된 모든 텍스트를 반복 적으로 읽으며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였다. 둘째, 산림치유 프로그램 진행자의 경험과 관련된 내용이나 개념, 맥락이나 상 황을 나타내는 단어와 문장을 포착하여 표시하고 이를 대표할 수 있는 언어로 명명하였다. 셋째, 두 명의 분석자가 각자 분류 해낸 내용을 비교한 후, 산림치유 프로그램 진행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주제를 찾아내고 범주화하여 묶어내었으며 마지막 으로 주제들 간의 연결성과 관련성을 바탕으로 좀 더 함축성 있 는 추상적 언어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진행자의 경험을 구성하 는 요소들을 파악하려 노력하였다.

    7. 연구의 엄격성

    본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Lincoln과 Guba [18]가 제시한 4가지 항목인 신빙성(creditability), 전이 가능 성(transferability), 감사 가능성(auditability), 확인 가능성 (confirmability)의 평가 기준을 적용하였다. 첫째, 신빙성을 확보하기 위해 산림치유지도사로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 경험이 풍부한 연구참여자를 확보하고 이로부터 생생한 자료 를 수집하였다. 둘째, 전이가능성을 위해 연구자는 맥락의 유 사성에 대한 경험적 자료들을 풍부하게 제시해야함으로 본 연 구에서는 참여자 7명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하고 5명에 대해 개 인 심층 면담을 하면서 필요시 마다 추가로 면담을 수행하였다. 셋째, 감사가능성을 위해 참여자에 대한 정보와 자료수집과정 등을 자세히 기술하려고 노력하였으며 해석이나 분석을 검증 할 수 있도록 참여자의 말을 인용하였다. 모든 자료는 면담 후 확인하고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경우 참여자에게 의미를 재확인하였다. 넷째, 면담과정 중 연구자가 지닌 편견이나 선 입견을 없애기 위해 괄호 치기 상태를 유지하며 중립성을 확보 를 위하여 참여자들과 연구자들이 여러 차례 줌 회의를 통해 진 술문을 확인하고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들은 질적연구 경험이 풍부한 K대 교수의 지도를 받아 이루어졌다.

    연 구 결 과

    본 연구결과 다음의 5개의 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 되었다. 여기에는 삶의 변환 점에서 선택한 새로운 길, 신규 산 림치유지도사로서 느끼는 양가감정, 산림치유지도사로서의 보람과 스스로도 치유됨을 느낌,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의 복 합적 어려움에 직면함, 산림치유 프로그램 정착을 위해 남겨진 과제 등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Table 2).

    주제 1. 삶의 변환 점에서 선택한 새로운 길

    연구참여자들은 산림치유지도사로 활동하게 된 계기로 숲 을 좋아하다보니, 건강문제로 전공을 바꾸게 되어, 퇴직 이후 에 삶의 의미를 찾으려고, 그리고 주변의 권유로 하게 되었다고 진술하였다.

    하위주제 1. 숲을 좋아해서 선택한 길

    연구참여자들은 숲을 좋아하다가 산림치유지도사 과정을 이수하고 이어서 산림치유 프로그램운영을 하게 되었다고 진 술하였다.

    갱년기 우울증이 왔어요. 그래서 숲을 자연스럽게 산을 다니다가 어 숲이 너무 좋더라고요 마음이 편해지고 그래 서 숲 해설가를 알게 돼 가지고 숲 해설가를 처음 시작했 고요... 산림 치유지도사 2급을 했구요 그다음에는 산림 치유지도사 1 급을 했는데...(참여자 7)

    하위주제 2. 건강문제로 전공을 바꾸게 됨

    산림치유지도사들은 자신의 건강문제로 인하여 숲이 주는 혜택을 실감하고 전공을 바꾸어 산림치유지도사 과정을 이수 하게 되었다고 진술하였다.

    일이 너무 많았고 몸이 뭐 한 두세 달 동안 감기가 낫질 않고 계속 살이 빠지고 막 그랬었거든요. 그러면서 숲에 한 번 숲에 가는 계기가 있었는데 숲에 가서 좀 숨통이 트 이는 느낌이 들어서 배울 수 있는 거부터 배운다 해서 유 아 숲 지도사 하고 산림치유지도사 2 급 따고 1급 따고 이 런 식으로 진로를 아예 바꿔야겠다. 생각하고 공부를 해 서 여기까지 온 거였고요(참여자 5)

    공무원을 하면서 좀 안 좋은 고비도 많이 넘기고 이러 다가 뭐 제 명에 못 죽겠다 싶어 가지고... 그냥 등산하는 그런 취미생활로... 제가 또 전공이 뭘 바꾼 게 좀 조경학입 니다... 갑자기 어 지금 취득하는데 별로 무리가 없겠는 데...(참여자 3)

    하위주제 3. 퇴직 후에 삶의 의미를 찾으려 함

    퇴직 후의 제2의 인생을 꾸려가기에 산림치유지도사가 의 미도 있고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하고 나서 제 이의 인생을 어디서 즐겁게 살까 이 렇게 하다가 맨 처음에 숲 해설가 했습니다. 하다 보니까 아예 산림치유지도사도 훨씬 낫더라고요... 치유는 남들 스스로 어떤 것도 고쳐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치료가 훨씬 고급지다 그리고 더 나을 것 같아서 산림치유 쪽으로 다시 공부를 했어요.(참여자 4)

    4년 전에 이제 산림치유지도사의 자료들을 보고 이쪽 으로 결정을 했는데 방향성 이쪽으로 잡았는데 어 결국 그 당시에는 뭐 주요 농업서도 없었고 산림치유지도사 하면 그때는 몰랐어요.(중략) 산림치유지도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참여자 8)

    하위주제 4. 주변의 권유로 시작하게 됨

    연구참여자들은 숲과 관련된 일을 하다가 주변의 권유로 산 림치유지도사 과정을 시작하게 되었다.

    애들 어렸을 때 광릉 수목원을 한 번 간 적이 있어요. 거 기 가서 숲 해설을 한 번 받은 적이 있었거든요. 숲 해설사 선생님이 참 좋아 보였어요... 사람들끼리 모여 있을 때 나 는 나이 들면 숲 해설사 할래 했더니 숲 해설사하지 말고 산림 치유를 공부를 해보래요.(참여자 6)

    OO 박사님 우연히 알게 됐고 전공을 했으니 한번 해보 셔라 OO대에도 이 과정이 생겼다 해서 들어왔습니다. 그 냥 정말 그냥 뭐지 재밌는 거 있으면 저는 좀 호기심이 많 아서 해보는 거고 제가 이렇게 오래 할지 몰랐습니다. 그때 는 그냥 한번 해보지 뭐 이렇게 해서 한 거구요.(참여자 2)

    원예치료사로 일하고 있었는데 산림청 주관으로 산림 치유지도사를 국가자격증으로 만들어, 일자리를 법제화 로 추진한다는 이야기를 듣고...(참여자 12)

    주제 2. 신규 산림치유지도사로서 느끼는 양가감정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을 취득하고 현장에서 처음으로 산림 치유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연구참여자들은 서툴고 불안한 마음, 그래도 자연과 더불어 행복하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자 신을 경험하였다.

    하위주제 1. 신규 산림치유지도사로서 서툴고 불안함을 느낌

    신규 산림치유지도사로서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경험부 족으로 인해 서툴러서 불안함을 느꼈었다.

    경험이 많지 않죠 그래서 지금 당장 여기서 프로그램을 하겠다고 하는 데... 처음 하면서 생각을 해봐야 되는데요. 어 모든 것들이 아주 많이 서툽니다.(참여자 8)

    하위주제 2. 산림치유지도사라서 자연을 누리면서 행복함을 느낌

    산림치유지도사로서 프로그램을 산과 숲의 자연 속에서 하 다 보니 그 자체로 행복함을 느끼기도 하였다.

    처음이니까 어떻게 해야 되나 막 배우는 입장에서 편안 하지가 않았는데 이제는 좀 즐기게 되더라고요 그리고 하 고 나면은 내가 행복한 느낌이라는 게 힐링이라는 게...수 업도 맑은 공기도 거기서 내가 이 자연을 누릴 수 있는 그 런 자유 같은 거 막 이런 거를 막 느껴서 되게 행복해요.(참 여자 6)

    주제 3. 산림치유지도사로서의 보람과 스스로도 치유 됨을 느낌

    연구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만족하거나 감사해 할 때 그리고 자신도 치유가 될 때 보람을 느낀다고 하였다.

    하위주제 1.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를 통해 얻는 내재적 보상

    산림치유지도사들이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프 로그램 참여자들에게 최선을 다하는 만큼 그들이 행복해하고 감사하며 치유되는 모습에 기쁘고 보람을 느꼈다.

    가정폭력 이러한 상담 받고 법률 이렇게 조언을 해주는 분들이 오셨어요. 그날이 비 오는 날이었는데 비옷을 입 으면서 맨발 걷기도 하고 또 싱잉볼을 준비해 가가지고 이 렇게 눈을 이렇게 비옷을 입었으니까 눈만 이렇게 얼굴만 가리고 싱잉볼 소리를 들으면서... 그분들이 너무 이렇게 그냥 하느님이 아침에 무슨 기도를 했는데 잘 응답을 들어 주었다 그러면서 저한테 이렇게 자기가 치유하려고 오늘 그랬나 보다 그러면서 감사하드라고요.(참여자 6)

    돌봄 종사자로써 너무 힘들게 살았대요. 힘든 줄 알았 다고 생각했고요. (나도) 어렵게 살아왔다 생각했는데 오 늘 와서 산림치유 들어보니까 너무 내가 잘 살아왔고 지금 현재 이렇게 숨을 쉬고 있다는 이 자체만으로도 너무 행복 하다는 거를 몰랐는데 여기 와서 깨달았다 이러면서... 그 리고 이 치유에서 명상, 맨발 걷기 거기다가 웃음치료 이 런 걸을 통해서 아 내가 참 지금까지 잘 살아왔구나! 지금 현재 지금이 너무 소중하구나! 그리고 앞으론 나를 위해 서 살아가야 되겠다. 이런 말씀을 해주실 때가 제일 보람 된 것 같아요.(참여자 7)

    사람들 앞에서 내 이야기를 툭툭 털어놓기도 쉽지 않은 데 라포가 형성되면서 여러 가지 뭐 유언도 써보고 자기소 개를 하니까 어떤 분들이 자기의 아팠던 이력부터 지금까 지 살아온 거 막 이렇게 짧게 지만 자기들의 이야기를 진 술하게 하는 걸 보면서 정서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이게 굉 장한 치유를 얻어가는구나 그러면서 자기 푸념처럼 늘어 놓는 걸 누군가가 진정 있게 들어주면서 그 사람들이 다시 삶의 어떤 회복을 얻는구나! 이런 걸 많이 보게 됩니다.(참 여자 2)

    하위주제 2. 산림치유지도자 자신의 치유도 함께 일어남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하면 늘 숲에서 생활하는 것 자체가 재 미있고 자신도 힐링되는 느낌이 든다고 하였다.

    숲에서 계속 생활을 하면서 완전 내가 치료를 받는 느 낌이 들어그런 게 제일 보람인 것 같아요. 자기 치유, 자기 만족이 제일 좋아요...(참여자 3)

    산림치유지도사를 하면서 오히려 제가 상대방한테, 상 대방 대상자들한테 치료를 해주고 있지만 제 자신이 더 편 안해지고 힐링 해주는 만큼 제 자신이 너무나 힐링되고 편 안해지고 마음이 편안해지고 하면 할수록 음 내 자신의 무 게를 점점 내려놓고 제가 이거 산림치유지도사를 하면서 느끼는 게 제가 빼기 작업을 하고...(참여자 7)

    할 일이 많아서 치어 죽게 생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림치유라는 쪽의 할 일이 참 많고 개척할 분야가 너무나 많아서 재미있고요. 그게 저는 행복합니다.(참여자 2)

    주제 4.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의 복합적 어려움에 직면함

    연구참여자들은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전 연령대가 섞인 참여자들로 인해 어디에 중점을 두어야 할지 난감해하고, 시간 을 잘 조율해야 하고, 숲 환경에 적합한 도구 사용의 문제와 의 학적 도구사용과 대상자에게 원리 설명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 아서 그리고 산림치유지도사 자신의 건강문제나 전문적인 부 분의 부족 등으로 어려움이 있었다고 진술하였다.

    하위주제 1. 전 연령대가 섞인 참여자로 인해 중심 잡기 어려움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연령대, 직업, 질병 유무 등등으로 구 분되지 않고 모두 섞여서 한 집단으로 활동을 하다 보니 어디에 초점을 두고 진행해야 할지를 몰라서 난감한 경우가 많았다고 하였다.

    대상자가 막 섞여 있을 때인데요 뭐 가족 그건 뭐 엄마 아빠 할머니 막 세 살 네 살 이렇게 막 섞여 있을 때는 처음 에는 조금 난감하더라고요. 아이들한테 좀 맞춰서 온 가 족이 즐겁게 하는 게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거를 몇 번 하다 보니까 조금 느꼈습니다.(참여자 6)

    요양 보호사들이 토요일 날 올 때는 그 아이들하고 부 모님을 모시고 와요. 그 휠체어 타고 오시는 분도 있고 손 주 손녀를 데리고 오는 사람도 있고 잘 걷지 못하시는 여 든아홉 살 노모를 모시고 오시는 분도 있어요. 그분들을 같이 다 맞춰주려고 하다 보니까 그게 좀 어려웠고요.(참 여자 7)

    하위주제 2. 시간 조율의 어려움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상자들이 프로그램을 하러 와서도 시 간에 쫓기듯 정해진 일정을 완수하거나 너무 빡빡한 일정으로 하면 프로그램 대상자들이 싫어하기에 모두에게 좋게 시간 관 리하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가장 아쉽고 어려운 것이 시간 조율입니다. 그러니까 뭐 시간에 맞춰주세요. 하면 할 수는 있으나 마치 관광처 럼 왔다 가는 것 같은 그건 치유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그 다음을 진행해야 되니까 막 빡빡하게...(참여자 2)

    일정이 짜여져 있으면 그거를 그 안에서 다 소화해내야 되는 그런 게 버거운 것 같다는 느낌이 좀 들더라고요.(참 여자 6)

    (참여자들이) 왔는데 거기 와서 제대로 (프로그램을 빡 빡하게) 뺑뺑이 돌렸더니 그렇게 좋아하지 않더라고요.. (참여자 3)

    하위주제 3. 숲 환경에 적합한 의사전달 도구 선택에 어려움을 느낌

    숲에서 프로그램 활동을 하다 보니 숲에 적합한 도구를 선택 해야 하는데 어떤 도구들이 적합한지를 몰라서 어려움을 겪기 도 하였다.

    숲에 있을 때 다른 사람들한테 다 이렇게 골고루 소리 가 전달돼야 되는데 내가 목소리를 많이 쓸수록 내부적으 로는 엄청 이렇게 좀 피곤하더라고요. (숲에서) 음원을 사 용하기가 굉장히 힘들더라고요. 그 소리가 작아서. 기계 를 사용하니까 이게 조금 편안함을 제가 느꼈어요.(참여 자 6)

    하위주제 4. 의학적 도구사용과 원리 설명이 익숙하지 않음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특성 상 건강 관련 기구들을 사용해야 하고 측정하기도 하고 그 결과를 해석해 주고 설명을 해주어야 하는데 이것이 익숙하지 않아서 어려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산소 포화도 재고 혈압 재고 이런 거 해야 되는 건 다 아 는데 그 기구 명을 사실 과정 때는 별로 못 들어봤어요. 하 는 방법은 아는데 구체적으로 이 혈압계를 어떻게 돼야 되 고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이라든가 디테일한 부분이 있잖 아요. 그거를 실제로 그 현장에 갔을 때 해보면서 알게 됐 거든요.(참여자 13)

    인체 생리학 부분이 그냥 간단하게는 이해가 되지만 사 람들한테 실제로 프로그램 진행할 때는 설명을 해줘야 되 잖아요. 근데 그거를 말로 설명하는 게 생각보다 어렵더 라고요.(참여자 3)

    하위주제 5. 산림치유지도사 자신의 건강문제 및 전문성 부족 으로 인한 어려움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진행 할 때 산림치유지도사가 먼저 시 범을 보여주고 따라하게 해야 하는데 산림치유지도사 본인이 시범을 보이기 어려운 상태이거나 전문적인 부분이 부족할 때 진행상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운동요법 들어갈 때 그 왜 요가나 이렇게 그 요가 학 원 같은 데 가면은 전문가분이 이렇게 소리 내서 쉬어주는 타이밍이나 이런 걸 부분 부분 계속 넣으시면서 이끌어 가 시잖아요. 프로그램을 저는 계속 제가 체험자의 입장으로 있다가 그거를 가르쳐드리는 입장으로 할 때 좀 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런 모습 숫자를 샌다거나 숨 쉬는 타이 밍 알려드린다거나 뭐 이런 걸 할 때 잘 못하겠더라고요 그 부분이 좀 어려웠어요.(참여자 11)

    운동 프로그램을 운영을 해야 되는데 제가 좀 어깨가 문제가 좀 있어가지고 하면서 진행하기가 굉장히 어려웠 어요.(참여자 1)

    제가 갑자기 살이 많이 찌면서 이렇게 신체 활동을 할 때 숨이 많이 차더라고요. 그래서 내 몸이 더 건강해져서 대상자한테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좀 더 전문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어야 된다고 생각이 들고요.(참여자 5)

    주제 5. 산림치유 프로그램 정착을 위해 남겨진 과제

    연구참여자들은 앞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잘 정착되기 위해서는 장기적 프로그램이 되어야 하고 산림치유지도사의 전문성 강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산림청의 보수 교육 실시와 지원이 필요하고 대 국민적으로 산림치유요법의 장점을 잘 어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진술하였다.

    하위주제 1.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선의 필요성을 체감함

    어떤 활동을 하던지 꾸준히 규칙적으로 장기적으로 해야 효 과가 발생하는데 너무 단 시간이거나 1회성인 산림치유 프로 그램을 운영하는 것은 산림치유 효과를 확인하기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개) 두 시간짜리 단발성 프로그램 밖에 없거든. 1박2 일이라든가 뭐 일주일이라든가 이렇게 연속 장기적으로 이어지는 프로그램 같은 경우를 좀 체계적으로 진행을 해 봤으면 좋겠는데 저도 그걸 할 여건이 안 되어 그걸 좀 답 답하게 생각하고 있어요.(참여자 3)

    선진지 답사가 보면 다 그 밥에 그 나물이더라 하는 얘 기입니다 그게 바로 인제 잠깐 단기로 두 시간 코스 세 시 간 코스이기 때문에 생기는 게 아닐까 거기에 특별함을 담 기가 쉽지는 않겠구나! (중략) 신체 활동과 정서 활동을 나 누어서 꾸준하게 진행함으로서 생활 속에 자기들이 습관 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참여자 2)

    하위주제 2. 개인적인 준비와 전문성 강화

    산림치유 프로그램 속의 활동은 운동, 명상, 미술, 글쓰기 등 다양한 작업들이 들어가는데 산림치유지도사가 프로그램 모 두를 다 잘 할 수 없기에 분야별 전문성을 살리고 서로 서로 협 동하는 작업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지도사가 모든 분야의 전문가일 수는 없어요. 그래서 결국은 어쨌거나 그래도 내가 조금 공부한 지식으 로 전달을 하게 마련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 하지 않은 것으로 특히 신체 활동 같은 경우는요 그냥 놀 이라면 상관이 없는데 뭐 예를 들면 스쿼트를 가르친다고 할 때 그걸 잘 못 가르치면 무릎이 나가거든요. 그러한 것 들에 있어서 만약에 정말 어떤 그 치명적인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부분들은 좀 더 전문적인 공부를 해서 지도를... 주 력해야 될 분야를 좀 정해서... 분야별 전문성을 가지게끔 역량을 키워가는 게 우선 중요하겠다. 역량을 좀 전문 분 야별로 강화해 가야 되지 않겠나.(참여자 2)

    지금 9 개월 10 개월 단위로 계속 계약을 하잖아요. 그 러니까 프로그램 개발할 필요도 없고 내년에 우리가 다시 된다는 보장도 없고 이러니까 자연히 있는 사람 전문성도 떨어진단 말이죠.(참여자 4)

    내가 운영을 하면서 느낀 건데 내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알고 있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참여자 12)

    하위주제 3. 산림치유지도사의 처우개선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수익창출

    산림치유지도사의 현재 처우가 열악하고 직업으로서 수익 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상황이 안 되어 있음을 안타깝게 생각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OO에 갔을 때도 컨테이너 박스 안에 사무실을 하나 두고 그런 공간 안에서 선생님들이 어떻게 프로그램을 구 성하고 고안을 할까 싶을 만큼 그래서 일단은 산림치유지 도사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해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참여자 2)

    원가 계산 적용 안 되는 데가 산림 치유 같아요. 그러니 까는 이런 인건비 측정 같은 게 아주 터무니없이 낮게 돼 있어요. 산림치유지도사는 특급 기술자에 준하는 대접을 받아야 됨에도 불구하고 거의 3 분의 1밖에 안 돼. 아 이런 경우가 어디 있어요.(참여자 3)

    장기적으로는 그 수익 창출이 인건비를 어떻게 할 것인 가? 산림청에서 업체들을 대상으로 수익 창출 모델을 만 들라는 건데 체험비를 만약에 1인당 2만원 예를 들어 우 리 산림치유를 1회에 만 원씩 해서 한 달에 네 번 참여하면 4만 원을 내라고 하면 사람들이 올까요? 그런 딜레마가 있 는 거예요. 무료면 막 서로 오겠다고 하는데 이걸 유료화 시켜서 수익을 창출하라고 산림청이...(참여자 8)

    일 년 단위로 경쟁을 통한 업체선정, 산림치유지도사를 선정하여 계약하는 제도는 직업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위 협하는 요소라고 생각되며, 산림치유를 하는 곳이 대부분 오지에 위치에 있으므로, 산림공무원들처럼 거주와 식사 제공 등의 복지적인 면이 불편함 없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봅니다.(참여자 12)

    하위주제 4. 산림청의 보수교육과 지속적인 지원

    산림치유지도사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산림청은 정책적으 로 교육을 실시해주고 고유한 특색이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지도사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인 산림 청과 산림복지 진흥원에서 시스템을 마련해서 교육을 정 기적으로... 분야별로 골라 할 수 있게끔 월별로 쫙 그런 (보수) 프로그램이 시스템화 돼야...(참여자 2)

    업체들이 경쟁하는 시스템 때문에 결국은 치유지도사 들이 서로 눈치 보기를 하는 거예요. 어디에 오래 있지를 못해요. 단기간 10 개월밖에 있지 못하니까 진정성 있는 프 로그램 개발이 안 되는 거예요 업체별 경쟁보다는 그 한 곳 에 치유지도사들이 적어도 2~3 년은 그 숲을 파악하고 거 기서만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이 돼야...(참여자 2)

    하위주제 5. 산림치유요법의 장점을 살리려는 노력이 필요함

    우리나라는 도시근교에 산이 많고 방문하기가 용이하며 자 연 자체가 힐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기에 산림치유요법이 프로 그램 대상자에게 어필 할 수 있도록 하려면 이런 장점을 살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단은 비용적인 면에서 심리 상담은 되게 비싸거든요. 치유가 필요한데 전 범국민적으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저렴하죠. 개인 상담은 아닐지라도 힐링을 하기 위해 찾 아오는 방법 중에 가장 편안한 방법이 아닌가 부담이 적은 방법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비용이 적기 때문에 접근 성이 쉽고...(참여자 2)

    숲에 들어가면 그냥 일단 긴장감이나 좀 무장해제가 되 는 부분이 있어서 좋다, 좋다, 편안함을 느끼는 거 같애 요.(참여자 6)

    인간과 자연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산림에서 몸과 마음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일상의 스 트레스를 회복할 수 있는 대처방안으로 산림을 찾을 수 있 을 것이라 생각합니다.(참여자 12)

    논 의

    본 연구는 C시 산림치유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 운영자로 서 운영경험이 있는 산림치유지도사들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경험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본질을 탐색해 보 고자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 5개의 주제와 관련된 1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인 ‘삶의 변환점에서 선택한 새로운 길’에서는 숲을 좋아해서 선택한 길, 건강문제로 전공을 바꾸게 됨, 퇴직 이후에 삶의 의미를 찾으려 함, 주변의 권유로 시작하게 됨 등 의 하위 주제가 나타났다. Kim 등[7]은 산림치유지도사의 직 업선택 동기 특성으로 ‘산림치유 활동이 즐겁고 매력적이기 때 문에’ 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의 ‘숲을 좋아해서 선 택한 길’과 일치하는 결과라고 생각되며 그리고 개인적 가치추 구, 발전 가능성, 사회적 인식의 3개 하위요인 중 개인적 가치추 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결과에 서의 ‘건강문제’같은 하위주제와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또 한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과정에 40대 이상의 수강생들이 81 % 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제2의 미래직업으로 산림치유지 도사를 선호하고 있었다는 연구결과[16]는 본 연구결과의 하 위주제인 ‘퇴직 이후에 삶의 의미를 찾으려 함’과 동일한 맥락 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 밖에 우연한 기회에 주변의 권유로 산 림치유지도사를 시작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주제로는‘신규 산림치유지도사로서 느끼는 양가감 정’이라는 주제에서는 신규 산림치유지도사로서 서툴고 불안 함을 느낌과 산림치유지도사라서 자연을 누리면서 행복함을 느낌 등의 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는데 서툴고 불안한 느 낌은 산림치유지도사로서 처음 시작함에 따라 아직은 자신이 없는 불안함을 나타내 주는 주제라고 하겠다. 산림치유지도사 라서 자연을 누리면서 행복함을 느낌이라는 하위주제는 개인 적 가치 추구가 높게 보고된 연구결과[15]와도 일치되는 결과 로 생각된다.

    세 번째 주제로는 ‘산림치유지도사로서의 보람과 스스로도 치유됨을 느낌’이 도출되었는데 여기에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를 통해 얻는 내재적 보상과 산림치유지도자 자신의 치 유도 함께 일어남 등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사회적 지지, 정서적인 지지가 높을수록 참여 지속성과 동기유발 수준이 증가한다는 연구보고[19]와 산림치유 프로그램 동안 긴장 불안이 유의하게 낮아지고 활기 는 유의하게 증가하여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보고[20]와 일치 하게 산림치유지도사들이 사회적 및 정서적 지지를 통해 산림 치유 프로그램 만족을 이끌어내고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 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산림치유지도사들이 산림치유 프로그 램을 운영하면서 스스로도 치유됨을 느끼는 것은 산림치유지 도사들이 개인적 가치추구와 내재적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 므로 산림치유지도사 개인의 만족감,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정 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연구보고[7]를 지지하는 결과라고 하 겠다.

    네 번째 주제로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의 복합적 어려 움에 직면함’이 도출되었고 여기에는 전 연령대가 섞인 참여자 로 인해 중심잡기 어려움, 시간조율의 어려움, 숲 환경에 적합 한 의사전달 도구 선택에 어려움을 느낌, 의학적 도구사용과 원리설명이 익숙하지 않음, 산림치유지도사 자신의 건강문제 및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등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대부분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연령제한을 두지 않고 모집하 여 운영하다보니 연령 차이로 인한 제한점으로 인해 프로그램 운영 시 어느 연령에 중점을 두고 운영해야 할지 난감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아로마 테라피, 숲속 요가, 숲 미술활동은 여성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숲 트레킹, 임업체험, 숲속 올림픽은 남성 의 선호도가 높았고 숲속호흡, 이완 호흡, 숲 경관 감상, 풍욕, 계곡 음이온 느끼기, 계곡물 족욕, 숲 탐방은 70대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숲길 걷기는 60대, 숲 해설은 50대가 선호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는 연구보고[21]를 고려한다면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는 여성, 남성, 성인, 아동, 청소년, 임산부, 장애인 등으 로 세분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생각된 다. 또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함에 있어 시간배분을 잘하지 못하면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불만이 표출되기 때문에 시간 배 분을 잘 해야 한다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였다. 그 밖에 숲 환경 에 적합한 도구의 사용과 의학적 도구사용과 원리설명에서 어 려움을 느꼈고, 본인의 건강문제나 전문적인 부분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느꼈는데 이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 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산림치유지도사의 세분 화된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연구결과[22]를 지지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다섯 번째 주제로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정착을 위해 남겨 진 과제’가 도출되었고 여기에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선의 필 요성을 체감함, 개인적인 준비와 전문성의 강화, 산림치유지도 사의 처우개선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수익창출, 산 림청의 보수교육과 지속적인 지원, 산림치유요법의 장점을 살 리려는 노력이 필요함 등의 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산 림치유지도사들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운영되 기 위해서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기간은 1박 2일과 당일이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결과[21]처럼 단시간보다는 보다 장기적 인 프로그램이 되어야 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 었다. 또한 ‘개인적인 준비와 전문성이 강화되어야’한다는 하 위주제는 Hong과 Lee [22]의 연구에서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 그램의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 상을 위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산림치유지도사 의 세분화된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보고와 일치하는 것 이다. 이는 또한 산림치유대상자들을 세분화하여 예를 들면 질 환별 산림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를 선행되어야 입증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도 한 보고[22]와도 일 치하는 것이라 하겠다. 산림치유지도사의 처우개선과 산림치 유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수익창출이라는 하위주제는 산림치 유지도사 자격을 취득한 약 38.5%는 산림치유와 연관된 경제 적 활동을 하고 있어 산림치유지도사가 전문 직업으로 자리 잡 고 있음을 알 수 있다는 보고[23]와 일치하는 결과로 산림치유 지도사가 직업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들이 직 업으로 할 수 있을 만큼의 처우 개선과 수익이 보장되어야 한다 는 것이다. 산림청의 보수교육과 지속적인 지원이라는 하위주 제는 산림치유의 의과학적 효과, 산림치유사업의 채산성, 산림 치유사업의 경제적 효과를 입증하는 노력을 기울이면서 비용 부담자의 이해나 동의도 구해야 하고 여기에는 많은 투자와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정책당국이 산림치 유사업을 장기과제로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는 연구보고 [24]와 중 ․ 대규모 숲에서 숙박형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자 체의 사용료 보조가 필요하며,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을 연계 시키고 산림치유시설의 조성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연구보고[12]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산림치유요법의 장점을 살리려는 노력이 필요함이 라는 하위주제는 도시환경이 생리적 및 정신건강에 부정적 효 과를 갖고 있으며[25]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본은 이미 2005년 부터 삼림욕이라고 하는 면역 증강 프로그램[26]을 실시 해온 반면에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늦게 출발하였으나 도시 근교 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산이 많다는 우리나라 숲이 주는 장점이 많은 만큼 치유 숲길의 확장, 치유센터 내 시설확대 및 숲속 치유공간의 다양화를 통해 노인, 임산부, 장애우 등 특수 계층 대상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한 보 고[12]를 지지하는 것이라 하겠다.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에서는 C시 산림치유지도사들을 대상으로 산림치 유 프로그램 운영경험을 내용 분석한 결과 5개의 주제와 관련된 1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산림치유지도사들은 삶의 변환 점에서 선택한 새로운 길로 들어서서 산림치유지도사가 되었고, 이제 막 시작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이 불안하기도 했지만 행복하기도 하면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쁨과 보람 을 느끼게 되었다. 한편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낯선 도구의 사 용, 전문성 부족 등의 어려움을 느끼고 이를 역량강화로 극복하 려고 노력하였으며 앞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잘 운영되려면 무엇보다도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 자 한다.

    첫째,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보다 성공적이 되려면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을 지원하는 등의 제도적 보완이 있어야 한다. 둘 째, 산림치유지도사의 처우 개선과 수익보장을 위한 정부 차원 에서의 지원이 있어야 안정적인 신림치유지도사 활동이 이루 어질 것이다. 셋째, 산림치유지도사의 역량강화와 전문성 강화 를 위해 보수교육이나 역량강화를 위한 전문 교육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산림치유지도사의 역량강화와 제도적 직업안정성 강화를 위한 추후 연구도 필요 하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Figures

    T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Themes and Sub-themes of This Study

    References

    1. Lederbogen F, Kirsch P, Haddad L, Streit L, Tosh H, Schich P, et al. City living and urban upbringing effect neural social stress processing in humans. Nature. 2011;474(7352):498-501.
    2. Song C, Lkei H, Tsunetsugu Y, Lee J, Kagawa T, Miyazaki Y.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impacts of walking stress in an urban environment on young males. Journal of Geography & Natural Disasters. 2013;3(2):1-5.
    3. Lee Y, Kim SM, Li N.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on medical expense reduction. The Journal of Women and Economics. 2015;12(2):23-44.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9659
    4. Bae SJ, Kim DS, Kim SJ, Kim SP, Lee WR, Ryu JS, et al. Recognition and demand analysis of agro-healing services by supply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19; 25(4):1-11.
    5. Chae YR, Kim JH, Kang HW. Literature review of forest healing therapy on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8;20(2):122-131.
    6.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Forestry culture and recreation act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0 [cited 2021 Oct. 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main.html
    7. Kim JY, Shin WS, Park SH.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 healing instructor' job choice motivation and their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21;25 (1):39-49.
    8. Oh B, Lee KJ, Zaslawski C, Yeung A, Rosenthal D, Larkey L, et al. Health and well-being benefits of spending time in forest: systematic review.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2017;22(71):1-11.
    9. Shin CS, Yeon PS, Jo MN, Kim JY. Effects of forest healing activity on women's menopausal symptoms and mental health recovery.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015;18 (4):319-325.
    10. Lee JH, Yoo RH, Lee JW. Analysis on visitors of healing forest for improvement of forest healing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6;20(4):73-80.
    11. Park HS, Shin CS, Yeon PS, Kim JY.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ess recovery effect of forest 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4;18(1):13-24.
    12. Woo JM, Park SM, Lim SK, Kim W. Synergic effect of forest environment and therapeutic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2012; 101(4):677-685.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219069152 075.page
    13. Park CB, Choi JS.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healing programmes for forest therap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1;22(2):468-474.
    14. Korea Forest Service, 2018, Forestry Culture and recreation Act(2018.8.22), http://www.forest.go.kr
    15. Korea Forest Welfare Institute, 2020, Forest Welfare Expert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https://jobs.fowi.or.kr (in Korean)
    16. Kim SY, Kim MN, Kim GR, Choi JK. A study 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about forest healing instructor training program using ISA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2019;108(1):109-115.
    17. Kim HJ, Kim CN. Review of literatures on focus group method in qualitative study.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1;5(1):1-21. https://kmbase.medric.or.kr/Main.aspx?menu=01&d=KMB ASE&m=VIEW&i=0948220010050010001
    18.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Thousand Oaks CA: Sage; 1985.
    19. Lee JE.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the forest therapy in forest therapy instructor -Q methodological approach- [master's thesis] Ceou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2020. http://www.riss.kr/link?id=T15661096
    20. Ochiai H, Ikei H, Song C, Kobayashi M, Miura T, Kagawa T, et al.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a forest therapy program on middle-aged fem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 Public Health. 2015;12(12):15222-15232.
    21. Lee GS, Yeon PS. A Study to understand preferences of retirees for forest healing program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021;30(8):693-702.
    22. Hong JY, Lee JH. Analysis on activities of forest healing program in healing fores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8;22(4):1-9.
    23. Korea Forest Welfare Institute. Report on forest welfare facility ‧ service status statistics. 2019. 99 p. (in Korean)
    24. Bae YM, Lee YH, Kim SM, Piao YH.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est therapy policies of Japan and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2014;103(2):299-306.
    25. Rajoo KS, Karam DS, Abdullah MZ. The physiological and psychosocial effects of forest therapy: A systematic review.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2020;54:126744.
    26. Li Q.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on human immune function.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2010;15:9-17.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