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7 No.2 pp.138-151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22.7.138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Classes Condu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Soo Jung Chang1, So Yeon Yoon2, Ji Woo Kim3, Min Jin Lee4, Hye Min Jo5, Ji Woo Choi6, Chunghun Lee7
1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2Nurse, Ajou University Hospital, Suwon, Korea
3Nurse, Wonju Severance Cristian Hospital, Wonju, Korea
4Nurse, Cha University Ilsan Medical Center, Goyang, Korea
5Nurse, GangNeung Asan Hospital, Gangneung, Korea
6Nurse,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Nurs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7Nurse, Bumin Hospital Seoul,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Chang, Soo Jung https://orcid.org/0000-0003-1457-6185
Department of Nurs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150 Namwon-ro, Heungeup-myon, Wonju 26403, Korea.
Tel: +82-33-760-8645, Fax: +82-33-760-8641, E-mail: sjchang@gwnu.ac.kr
October 24, 2022 ; November 1, 2022 ; November 2, 2022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9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at five universities in W City from May 5 to 22, 2021 through an online survey platform.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3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at five universities in the same area through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between May 22 and 25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experience of online classes was rated in the following order: live lectures (92.9%) and recorded lectures (73.4%).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was rated for recorded lectures, which were scored 3.54±1.05 (out of five), and live lectures, which were scored 3.32±1.02. Lack of interaction with faculty (37.9%) and lack of participating practicum (30.8%) were cited as dissatisfaction factors in online classes. From the qualitative data, five sub-themes were identified: “not being respected in one’s learning”, “increased burden of learning in a situation of poor communication,” “it's not that I hate online classes”, “efforts to improve the loose will and attitude toward classes”, “reduced quality of experience and uncertain future”. These sub-themes were abstracted under the theme of “everyday life of learning alone toward an uncertain future”.


Conclusion:

To ensure more effective onlin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teractio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apply online teaching strategies suitable for class objectives, and support various programs to motivate stude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대학생의 COVID-19 유행시기에 시행된 온라인수업과 학습에 대한 경험

장 수 정1, 윤 소 연2, 김 지 우3, 이 민 진4, 조 혜 민5, 최 지 우6, 이 충 훈7
1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2아주대학교병원 간호사
3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간호사
4일산차병원 간호사
5강릉아산병원 간호사
6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졸업생, 간호사
7서울부민병원 간호사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의 정보통신 기술 발달은 우리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 다주고 있으며, 대학교육과 대학생 학습문화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회관계망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빅데이터기술,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의 활용으로 온라인학습 환경이 새로운 교육 패 러다임으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1,2]. 이에, 온라인상에서 다 른 사람과 지식을 공유하고 의견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는 역량을 기 르는 것이 대학교육에서 중요한 화두로 떠오게 되었다[2]. 또 한, 현 대학생들은 유년기부터 디지털 기술을 자연스럽게 접한 Z세대(Generation Z)로서, 이들의 대학교육에 대한 기대는 이 전 세대와는 확연히 구분된다. 즉, 교육에의 학생 참여, 짧고 명 쾌한 강의, 취업역량 증진을 위한 커리큘럼에 대한 기대가 높 고,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피드백을 요구하는 특징이 있다[3]. 따라서, Z세대 대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육전략 의 모색도 대학교육의 중요한 이슈로 다뤄지고 있다[3].

    그러나 이러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학의 수업의 상당한 부분이 면대면 수업으로 이루어지 고 있었던 상황에서, COVID-19의 확산은 사회의 모든 분야에 혼란과 불편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그 영향은 교육 분야에서 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내 거의 모든 대학에서 전격적인 온라인 수업 방식이 충분한 준비 없이 갑작스럽게 도입되면서 온라인 학습과 수업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들 즉, 강의의 질 저하, 원활 하지 못한 온라인학습기술 시스템, 교수-학습도구,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활동의 부재 문제들이 발생하였다[4].

    COVID-19의 장기 유행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 두기와 비대 면 접촉방식이 일상화되면서 대학에서도 온라인을 활용한 수 업방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5]. 현재 대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비대면 온라인수업의 방식은 크게 실시간 쌍방향 수업, 강의형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강의 및 활동형 콘텐츠 활용 수업, 과제 수행 중심 수업 등이 있다[6]. 그러나 각 대학마다 운영하는 온 라인수업 지원환경과 체계가 다양하고, 교수자별 온라인수업 에 대한 역량과 준비 정도의 차이로 인해 수업 방식이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교수자와 교과목에 따라 학 생들이 인지하는 수업의 질과 만족도의 편차가 이전에 비해 더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5].

    이렇듯, COVID-19가 대학의 수업 운영 변화에 큰 영향을 주게 됨에 따라 대학생의 학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COVID-19 유행 이전에는 대학생들이 대면강의를 한 번 듣고 복습하는 차원이었다면, 현재는 강의형 콘텐츠를 여러 번 반복 해서 시청하고, 대면 강의에서 자유롭게 토론하지 못했던 내용 들을 실시간 비대면 강의에서 학생들이 교수가 던진 문제를 유 추하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경험을 하고 있다[7]. 또한, 비대 면 온라인수업에 맞추어 컴퓨터, 온라인학습 플랫폼, 소프트웨 어 프로그램, e러닝 학습관리시스템, 교육용 앱 등을 통해 학습 하는데, COVID-19 사태 이전과 비교했을 때 사용 건수가 3배 넘게 증가한 것이 COVID-19 유행 이후 변화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7].

    COVID-19 감염병의 대유행으로 인해 대학교육 환경이 빠 르게 변화된 측면이 있기는 하나, COVID-19 이후 뉴노멀 중 하나인 언택트(Untact) 문화의 일상화로 새로운 교육 패러다 임인 온라인교육과 4차 산업혁명이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 상하고 있다[8]. 즉,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의 변화가 가속 화되면서 대학에서의 온라인학습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지 속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4].

    따라서, 온라인수업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고 대학생들의 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경험을 우선 파악할 필 요가 있다. 이를 위해 양적연구와 함께 경험에 대한 풍부한 자 료수집에 도움이 되는 질적연구방법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 다. 질적연구방법 중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그룹 상호작용을 통 하여 연구자가 정한 주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9]. 즉, 참여자들끼리 자신들의 관심사에 관하여 서로 대화를 이끌어가고, 주제에 대해 다양한 사람들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 게 해주며, 비교적 덜 구조화되고 개방적 토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문제의 발견과 탐색에 유용한 방법이다[9].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간호학생들[10], 치위생학생들[11] 을 대상으로 COVID-19 유행 시기 수업 만족도를 조사했거나, 간호학생들[12,13] 의과대학생들[14]을 대상으로 COVID-19 유 행 시기에 전공수업의 적응 경험을 파악하는 등, 주로 특정 전 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교내외 실험 ․ 실습 비중이 높은 전공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연 구결과를 해석해야 하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대학생들의 온 라인수업에 대한 전반적 실태를 파악한 연구들[4,5]도 있었지 만, 이들의 경험을 심도 있게 파악하는 데는 제한이 있었다. 따 라서, 대학 차원에서 전공의 특수성을 넘어 좀 더 포괄적인 학 습지원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대학생 들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방법인 설문조사와 질적연구방법인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적용하여 COVID-19 유행 속에서의 온 라인수업 실태와 학습경험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향후 새로운 교육패러다임 속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활성화하 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온라인수업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 하고 대학생들의 학습역량 향상 전략 마련을 위해 COVID-19 유행 상황에서 이들에게 시행된 온라인수업의 실태, 인식 및 학습경험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 음과 같다.

    • COVID-19 유행 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온라인수 업 실태를 파악한다.

    • COVID-19 유행 시 대학생들의 학습현황을 파악한다.

    • 대학생들의 전공과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에 따른 온라 인수업 유형별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한다.

    • COVID-19 유행 상황에서 시행된 온라인수업과 학습에 대한 대학생들의 경험을 탐색한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COVID-19 유행 상황에서 시행된 온라인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양적연구방법인 설문조사기법을 적용하 고, 온라인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학습경험을 탐색하 기 위해 질적연구방법인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한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methodological triangulation)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유행 시기인 2021년 4월 기준 W 시 소재 4년제 대학 5곳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들로서, 본 연 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연구대상을 3, 4학년으로 선정한 이유는 COVID-19 감 염병 유행 이전에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로서 COVID-19 감염 병 유행 이전과 이후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경험의 변화를 파악하기가 쉽고, 1, 2학년에 비해 대학 생활을 오래 하여 좀 더 풍부한 학습경험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설문조사의 최소 필요한 표본 수는 G*Power 3.1.9.4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는 .05, 검정력 .80, 일원분산분석의 중간 효과 크기인 .25, 집단 3개를 투입하였을 때, 159명으로 산 출되었으며, 이에 탈락률 10%(16명)을 고려한 175명이 자료수 집 대상이 되었다. 설문조사를 위해 W시 소재 4년제 대학 5곳 의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에브리타임)에 참여자 모집 공고 를 내고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여 175부의 설문자료가 수집되었 으나, 이 중 부실한 응답 또는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지 않은 6부 를 제외한 169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포커스그룹 인터뷰의 대상자 수는 그룹의 주제와 관련하여 공통의 특성을 가지고 선택된 6~10명의 참여자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3개 정도의 그룹으로 구성한다는 것[9]을 근거로 삼았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위해 설문조사 때와 동일한 온라 인 커뮤니티에 참여자 모집 공고를 냈고, 추가로 눈덩이 표집 방식으로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다. 모집된 연구참여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3학년 1그룹 6명, 4학년 2그룹 각각 6명으로 구성하였으나, 인터뷰 당일 그룹별로 1~2명씩 참여 의사를 철 회하여 3학년 1그룹 5명, 4학년 2그룹 각각 4명씩, 총 13명이 최 종적으로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3. 자료수집

    1) 설문조사

    COVID-19 유행 상황에서의 온라인수업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2021년 5월 5일부터 22일까지 네이버폼 설문양식을 이용 하여 온라인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설문을 위해 Lee와 Shin [5] 의 연구에서 3개 지역 대학생들의 온라인교육 실태를 파악하 기 위해 사용한 문항들을 문항개발자로부터 사용 승인(e-mail communication, 2021. 04. 04)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설문 문항들은 연령, 성별, 학년, 전공 및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과 함께 ‘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수업형태’, ‘온라인수업 에 대한 만족도’, ‘온라인수업에 대한 불만족 이유’, ‘온라인수 업의 질 차이와 그 원인’, ‘온라인수업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 으로 구성되었다. 문항들 중, ‘온라인수업 형태’, ‘온라인수업 에 대한 불만족 이유’, ‘온라인수업의 질 차이의 원인’, ‘온라인 수업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은 중복응답이 가능하도록 하였 다. 또한,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은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활용능력’, ‘구글 클래스룸, 줌 등의 플랫폼 활용 능력’,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등의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교내 e-learning LMS 활용 능력’, ‘기타 교육 애플리케이션 활용 능 력’의 5가지 문항이며, ‘매우 만족하지 않는다’를 1점, ‘매우 만 족한다’를 5점으로 하는 Likert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 에서 정보통기술 활용능력 5개 문항의 신뢰도 Cronbach’s ⍺ 는 .85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경험한 수업유형별 만족도는 ‘매우 만족하지 않는다’를 1점, ‘매우 만족한다’를 5점으로 하 는 Likert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COVID-19 유행 상황 에서 대학생들의 학습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COVID-19 이전 과 COVID-19 유행 동안의 학습장소와 학습방법에 관한 문항 들을 설문에 추가하였다.

    2) 포커스그룹 인터뷰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기 전, 모임 일정을 참여자들로 하여금 선택하게 하여 자율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였고, 참여자 들에게 각 모임 3일 전과 하루 전에 일정을 상기시켰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2021년 5월 22일부터 25일 사이에 실시되었고 3 개 모임 모두 Zoom 플랫폼을 이용하였으며, 모임마다 주 진행 자 1인과 보조진행자 1인이 참여하여 인터뷰 시작 전에 연구목 적, 연구방법을 설명하고,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주 진행자가 참여자들에게 인터뷰의 기본 원칙을 설명하고 질문을 담당하였으며, 보조진행자는 인터뷰 과정에서의 참여자 몸짓, 어 조, 현장 분위기 등을 현장노트에 기록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의 질문은 참여자들이 경험한 온라인수 업에 대한 인식과 자신이 수행한 학습경험을 중심으로 구성하 였다. “본인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주세요.”로 인터뷰를 시작 하였고, 도입질문은 “요즘 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내는지요?”로 하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의 주요질문으로는 “COVID-19 유 행 이후 어떻게 수업에 참여하고 학습하고 있나요?”, “대학 입 학 후 COVID-19 유행 이전 기간의 수업 참여와 학습은 어떻게 하였는지 말씀해주십시오.”, “현재 수강하고 있는 온라인수업 의 좋은 점은 무엇인지요?”, “현재 수강하고 있는 온라인수업에 서의 어려움은 무엇인지요?”, “온라인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필 요한 점이나 개선방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COVID-19 유 행 이전과 비교하여 자신의 학습 측면에서 달라진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십시오.”, “현재 학습하고 있는 방법의 좋은 점은 무 엇인지요?”, “현재 학습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나 장 애 요인은 무엇인지요?”, “COVID-19로 인한 학습의 변화가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다고(줄 것으로) 생각하나 요?”로 구성하였다. 마무리 질문으로는 “혹시 보충하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말씀해주십시오.”로 하였다.

    인터뷰의 녹음은 Zoom의 녹화기능을 활용하였고, 인터뷰 시간은 그룹당 70분에서 90분이 소요되었다. 그룹별로 인터뷰 가 끝난 즉시, 주 진행자와 보조진행자가 인터뷰 내용, 참여자 들의 상호작용과 분위기, 다음 인터뷰에서 고려할 사항 등을 점 검하고 성찰하는 시간을 가졌다. 녹음된 인터뷰 내용은 보조진 행자가 필사하였고, 주 진행자가 필사된 내용을 녹음 파일과 대 조해가면서 기록의 완전성과 정확성을 검토하였다.

    4.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자 소속 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수행되었다(No. GWNUIRB-2021-20). 연구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사전 동의를 구한 후 자료수집 을 진행하였다. 사전동의서에는 연구목적과 방법, 위험성이 최 소라는 것과 참여함으로써 얻는 직접적인 이득은 없다는 것, 참 여 도중 언제든지 중단 또는 철회할 수 있다는 것과 그로 인해 어떠한 불이익도 없다는 것, 수집된 자료는 고유식별번호를 부 여하여 무기명으로 관리하며, 수집자료와 동의서는 분리하여 이중 잠금장치가 된 보관함과 비밀번호가 설정된 컴퓨터에 보 안파일로 보관하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종료 후 만 3년간 보관 후 안전하게 폐기한다는 것을 포함하였다.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대상자들에게 음료쿠폰을 제공하였다.

    설문조사 자료와 포커스그룹 인터뷰 자료는 인적 사항을 제 거하고 고유식별번호로 처리한 후 통계처리 및 필사 작업을 수 행하였다. 이때, 필사를 담당한 연구자들은 연구책임자로부터 비밀 보장과 필사 시 주의 사항을 사전교육 받은 후 필사 작업 을 수행하였으며, 녹음 원본과 필사본은 연구책임자의 연구실 내 보안파일로 관리하여 자료유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5. 자료분석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별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COVID-19 유행 전과 유행동안의 학습방 법과 장소의 차이 분석을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전 공과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에 따른 온라인수업 만족도는 일 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 검정은 Scheffé test로 하였다. 독립변수들 중 5점 Liket 척도로 측정된 정보통신기술 활용능 력의 경우, 5개 문항의 합의 평균을 산출하였고, 4점 이상을 ‘높 은’ 역량군, 3점 이상 4점 미만을 ‘중간’ 역량군, 3점 미만을 ‘낮 은’ 역량군으로 나눈 후 분석하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 자료는 질적 내용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 하였다. 질적 내용 분석방법은 특정 현상을 경험한 참여자의 관 점을 이해한다는 질적 접근의 포괄적인 철학적 배경과 면담과 관찰을 통해 나온 자료는 연구자와 참여자간 상호작용에서 형 성된다는 의사소통 이론에 바탕을 둔 귀납적 분석방법이다 [15]. 또한, 이 방법은 탐구하고자 하는 현상을 연구 질문을 중 심으로 자료가 지니는 의미에 주의를 기울여 어떤 현상을 반영 하는 고유한 주제를 추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구조화 해간다[16]. 본 연구에서는 Graneheim과 Lundman [16]의 분 석 절차에 따라, 연구 주제에 부합하는 의미 있는 문장을 표시 하여 의미단위를 추출하고 코드로 명명한 후, 핵심은 유지하고 내용을 압축해가면서 하위주제와 주제로 추상화하였다.

    6. 연구결과의 타당성과 연구자 준비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Lincoln과 Guba [17] 의 지침을 따랐다. 자료수집의 신뢰성(credibility)을 위해 포 커스그룹 인터뷰 참여자 선정 시 연구책임자의 소속학과 학생 이 가능한 포함되지 않도록 하였고, 인터뷰 시 개방형 질문을 함으로써 참여자들의 생각과 경험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허 용하고 중도 개입을 최소화하였다. 그룹별로 인터뷰에 참여한 보조진행자들이 녹음자료를 필사하였고, 주 진행자가 이를 녹 음파일과 대조하여 필사 자료가 녹음 그대로 필사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인터뷰의 주 진행자가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보조 진행을 맡은 연구자들과 분석단계 별로 코드와 하위주제에 속하는 자료들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검토하고 논의하여 명명을 수정해나갔으며, 질적연구 경험이 풍부한 교수 1인에게 분석 내용과 명명에 대한 검토를 받았다. 적용성(applicability)을 확보하고자, 유사한 경험을 가지고 있 으면서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대학생 1인에게 분석결과 를 보여주고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의미 있고 적용 가능함을 확 인받았다. 감사가능성(auditability)을 확보하기 위해 인터뷰 질문, 진행 및 분석과정을 가능한 상세히 기술하였고, 중립성 (neutrality) 유지를 위해 인터뷰에서 연구책임자가 주 진행자 로서의 역할만을 충실히 이행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교수자-학 생 관계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객관화하고자 노력하였다. 인터 뷰를 진행하고 분석한 연구책임자는 질적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질적연구학회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노인, 간호대 학생, 간호사, 환자와 환자 가족 등 다양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연구를 비롯한 다수의 질적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연 구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참여자는 총 169명으로, 평균 연령은 22.25±1.58 세였고, 여학생이 115명(68.0%), 3학년 78명(46.2%), 4학년 91 명(53.8%)이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전공은 보건계열(간 호학, 한의학, 치위생학, 작업치료학, 임상병리학 등)이 74명 (43.8%)으로 가장 많았고, 기초학문계열(인문, 자연과학, 예술 등) 35명(20.7%), 공학계열 33명(19.5%), 사회과학계열(경영 학, 경제학, 통계학 등) 27명(16.0%)이었다. 연구대상자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은 중간 수준 81명(47.9%), 높은 수준 56 명(33.1%)이었고, 평균 3.52±0.74점으로 나타났다(Table 1).

    포커스그룹 인터뷰 참여자는 총 13명으로, 3학년 1개 그룹, 4학년 2개 그룹으로 나뉘어 참여하였고, 참여자들의 연령은 23 세부터 29세까지 분포하였으며, 평균 24.38±1.66세였다. 남학 생이 8명이었고, 3학년 5명, 4학년 8명이 참여하였다. 전공은 공학계열 8명, 보건계열 4명, 기초학문계열 1명으로 구성되었 다(Table 1).

    2. 설문조사

    1) COVID-19 유행 시 대학생들의 온라인수업 실태

    COVID-19 유행 이전 온라인수업 경험자는 59.2%였으며, COVID-19 유행 시 경험한 수업유형은 실시간 화상수업이 92.9%, 녹화된 동영상 수업이 72.8% 순이었다. 온라인수업 유형별 만족도는 녹화된 동영상 수업(3.52±1.04점), 실시간 화상수업(3.27±1.02점), 기타 동영상 또는 과제물 중심의 수 업(2.73±1.16점) 순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수업의 불만족 사 유로는 ‘교수와의 상호작용 부족’ 37.9%, ‘실험 ․ 실습의 부재’ 30.8%, ‘증가된 학습량’ 29.6% 순이었다. 교수(교과목)에 따른 온라인수업의 질 차이는 ‘매우 크다’와 ‘크다’의 비율이 각각 20.7%와 44.4%를 차지하였고, 온라인수업의 질 차이에 대한 원인으로 ‘교수자의 수업준비’와 ‘교수자의 정보통신기기 활 용능력’이 각각 28.4%와 27.8%를 차지하였다. 향후 온라인수 업 운영 시,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안정적인 서버 구 축’(52.1%), ‘교수자의 온라인수업역량 증진’(40.2%)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2) COVID-19 유행 시 대학생들의 학습현황

    COVID-19 유행 동안 연구대상자들의 학습현황을 COVID- 19 유행 전 현황과 함께 Table 3에 제시하였다. COVID-19 유 행 전에는 자기주도학습 장소로 대학 도서관이 가장 많았으 나(31.4%), COVID-19 유행 동안에는 집이 가장 많았으며 (71.6%), 이러한 학습장소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x2=82.62, p<.001). COVID-19 유행 전에는 혼자 공부한 경 우가 66.3%였고, 집단형 학습경험이 있는 학생(57명)의 경우, 주된 학습모임 장소로 대학 내 시설이 가장 많았다(73.7%). COVID-19 유행 동안에는 혼자 공부한 경우가 71.6%였고, 집 단형 학습경험이 있는 학생(48명)의 경우, 주된 학습모임 장소 로 실시간 온라인 플랫폼(72.9%)이 가장 많았다. COVID-19 유행 전과 유행 동안 학습방법의 변화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 었다(x2=41.30, p<.001).

    3) 전공과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에 따른 온라인수업 유형별 만족도의 차이

    전공에 따른 온라인수업 유형별 만족도는 기타 동영상 또는 과 제물 중심의 수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6.68, p<.001), 공학계열이 기초학문계열과 사회과학계열에 비해 만족도가 높 았다. 전공에 따른 실시간 화상수업과 녹화된 동영상수업의 만 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에 따른 온라인수업 유형별 만족도 는 녹화된 동영상 수업(F=3.75, p=.026)과 기타 동영상 또는 과제물 중심의 수업(F=3.68, p=.03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이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녹화된 동영상 수업 만족도가 높았고,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이 높은 군이 중간 군에 비해 기타 동영상 또는 과제물 중심의 수업 만 족도가 높았다(Table 4).

    3. 포커스그룹 인터뷰

    COVID-19 유행동안 시행된 온라인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학습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수집하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3개의 코 드(codes), 5개의 하위 주제, 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Table 5). 즉, COVID-19 유행 시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은 ‘불확실한 미래를 향해 홀로 헤쳐 나가는 학습의 일상’이라는 주제로 추상 화되었으며, 하위 주제들과 주제별 코드는 다음과 같다.

    하위 주제 1. 배려받지 못한 수업권

    본 주제에는 ‘준비와 성의 없는 수업에 대한 아쉬움’, ‘학생 을 고려하지 않은 일 방향 수업에 힘듦’이라는 2개의 코드가 포 함되었다. 참여자들은 일부 교수자들이 COVID-19 유행으로 갑작스레 진행해야 했던 온라인수업에 충분한 준비가 안 된 채 로 수업을 운영하는 것에 아쉬움을 느꼈다. 또한, 교과서에 있 는 최소한의 지식만 다룬 채 성의 없이 금방 끝나버리거나, 글 씨만 가득한 단조로운 수업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교수님들이 기계를 잘 못 다루시는 분들 같은 경우는 약간 무리하게 실시간 강의를 무조건 하시겠다고 하시다 보니까 수업 중간에 차질이 생기기도 하기도 하고, 중간 에 진행되다가 꺼지기도 한다던지 통신오류가 막 생겼을 때 교수님들께서도 당황하셔서 수업이 원활하게 진행이 안 될 때가 간혹 있었거든요.(참여자 M)

    만약에 동영상 강의에 있어서도 PPT에 글씨만 가득한 데. 거기에 판서만 쭉 진행하는 교수님도 계세요. 근데 거 기서 글씨 모양을 마우스로 그냥 하는 분도 계셔서 그 글 씨가 무슨 글씨인지 알아보기 힘들 때도 있었고, 그 글들 만으로 진행되다 보니 온라인 강의의 특성상 여러가지 다 양한 자료를 끌어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큰 노력이 보이 지 않았던 분도 계셨다고 생각을 합니다.(참여자 B)

    참여자들은 교수자들이 수업에서 학생들의 집중도나 피로 도를 고려해주지 않거나, 피드백 없이 강의를 계속 진행하는 등 의 일 방향적 수업방식에 힘들어하였다.

    학교 다니면서는 등록금이 아깝다는 생각은 안 했는데 지금은 아깝다는 생각을 하고, 피드백 없이 일방적인 강 의 형식의 수업을 듣다 보니깐 제가 원래 듣던 인터넷 강 의랑 비슷하다는 느낌은 들었는데, 그럴 거면 차라리 인 터넷 강의를 듣지 왜 대학을 오나라는 생각을 많이 들었고 회의감을 느낍니다.(참여자 J)

    하위 주제 2. 멀어진 소통 속에 높아진 학습 부담감

    본 주제에는 ‘과제 수행에 대한 부담감이 커짐’, ‘맘 편히 물 어볼 데가 없어 고립되고 막막함’ 이라는 2개의 코드가 포함되 었다. COVID-19로 인한 온라인수업이 일상화되면서 참여자 들이 해야 하는 과제 수와 과제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늘었다. 평소였다면, 학교에서 친구들과 소통하며 수월하 게 진행할 수 있는 과제도 온라인상에서 의견을 묻고 진행하면 서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었다.

    저희 학과 특성상 조별 과제가 굉장히 많은 부분이 있 어요. 근데 조별 과제를 하기 위해서는 또 ZOOM을 통해 서 만나는 경우도 많고, 카톡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많은 데. 그거에 대해서 밤 10시에 진행되는 경우가 되게 많거 든요. 워라벨이 떨어지지 않나 이런 느낌도 많이 받아서 조별 과제를 조금 줄여주셨으면 하는 바람도 있어요.(참 여자 A)

    참여자들은 이전의 대면수업에서는 교수자에게 궁금하거 나 모르는 점을 바로 그 자리에서 질문하여 해결하였으나, 온라 인수업에서는 교수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줄어들어 질 문하기가 망설여졌다. 특히, 실습교과목에서는 무엇이 잘 수행 되지 않는지에 대해 시의적절한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는 것이 중요하지만, 홀로 듣는 동영상 수업에서는 자신이 제대로 하고 있는지 알 길이 전혀 없어 막막하였다.

    교수님한테 피드백을 원해도 녹강(녹화 강의)을 듣고 있으니까 지금은... 교수님께 언제 연락을 드려야 하는지 제가 언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지 그런 게 불명확하니 까...이제 피드백을 원하기보다는 구글링해서 원하는 정 보를 찾고, 빠르기는 하지만, 정확하지 않는 정보일 수도 있고, 그런 점들이 걸리기는 하는데... 그냥 교수님한테 연 락하는 것에 비해 이게 더 편하다고 느껴서... 더 오래 걸리 는 것 같아요. 더 힘들고...(참여자 C)

    물어볼 것이 있다고 하면 거의 동기들이나 아니면 뭐 교수님 그리고 구글링 이런 게 전부인데, 구글링 같은 경 우에는 약간 수동적이 느낌이고 교수님한테는 물어보기 에 조금 너무 그런 느낌도 있고, 동기들은 내가 하는 것처 럼 자기네들끼리 시간이 있으니까 직접적으로 물어보기 힘들고, 완전히 고립적으로 공부하니까 능률이 많이 없더 라구요. 그래서 자기주도 학습은 하기는 하는데, 약간 모 래밭에서 바늘 한 10개 정도 찾는, 뭔지 모르고 계속 찾는 느낌을 받더라구요.(참여자 G)

    하위 주제 3. 싫지만은 않은 온라인수업

    본 주제에는 ‘모든 학생에게 공평해진 온라인수업’, ‘물리적 제약이 없어 몸이 편해짐’, ‘절감된 외출비용을 학습자원에 쓸 수 있어 좋음’의 3개 코드가 포함되었다. 참여자들은 온라인수 업의 장점으로 누구나 공평하게 수업에 참여하고 자료에 편리 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하고 있었다.

    사람이 많거나 교양과목 같은 거는 정말 많으면 100명 좀 안 되게도 사람이 많긴 하니까요. 그런 강의 같은 것들 은 대면일 때는 앞자리에 앉은 사람만 보이는데, 비대면 일때는 모든 사람들이 같은 화면을 보고 있는 거니까 그런 부분에서는 좀 부담 없이 들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참여 자 M)

    참여자들은 예전에는 학교를 오가는 과정에서 시간과 체력 의 소모가 컸으나, 지금은 집에서 강의를 들으면서 잠을 충분 히 잘 수 있고, 교통문제로 인한 시간과 체력 낭비를 아낄 수 있 어 몸이 편해졌음을 느꼈다.

    실시간 강의보다는 녹화 강의가 저한테 잘 맞고, 계속 수업시간을 맞춘다거나 그런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별로 없으니까 녹화 강의로 진행하시는 교수님들 수업을 일부 러 골라서... 저는 실시간 강의를 하나도 신청을 안 했어 요, 이번에는... 그래서 저는 지금 그냥 녹화 강의 올려주 신 것, 따로 하고 싶은 공부 하다가 하기 싫을 때 그냥...(녹 화 강의를) 듣고.(참여자 D)

    학교를 오가며 지출했던 교통비와 식비 등이 절약되면서 그 비용을 학습을 위한 자원에 쓸 수 있음에 온라인수업이 마냥 싫 지만은 않은 것 같다.

    저는 원래 펜데믹 전에는 도서관에 가서 공부했거든요 근데 지금 밖에 나가지를 못 하니까 그런 쪽에서 빠지는 비용들이 있어요. 책을 빌려서 사용했었는데 이제는 책을 사서 구매해서 쓰기도 하고.. 아니면 이제 좀 혼자 하기 힘 들 때는 친구들이랑 줌같은 거 영상 키고 공부하기도 하고 저는 그렇게 공부를 했거든요.(참여자 I)

    하위 주제 4. 느슨해진 수업의지와 태도를 다잡기 위한 노력

    본 주제에는 ‘통제되지 않은 환경에 수업집중도가 떨어짐’, ‘언제든 접근가능한 수업에 마음이 나태해짐’, ‘자기관리의 중 요성을 깨닫게 됨’, ‘자기 의지를 다잡기 위해 다양한 학습방법 을 활용하게 됨’이라는 4개의 코드가 포함되었다. 참여자들은 녹화된 동영상 수업의 경우, 각자 집에서 핸드폰을 하거나 가 족들과 대화를 하면서 수강하거나, 또는 성실하게 듣지 않더라 도 대면 수업처럼 통제받는 장치가 없는 관계로 수업의 집중도 가 현저히 떨어짐을 표현하였다. 또한, 대면 수업에서는 교수 자가 질문하였을 때, 누군가는 대답을 해야 한다는 암묵적인 분위기가 있었지만, 온라인수업에서는 자신이 굳이 반응을 보 여야 한다는 의무감이 없어 점점 수업에서의 참여도가 떨어진 다고 하였다.

    동영상 강의를 틀어놓고 하거나 아니면 ZOOM을 통 해서(수업)하니까 옆에 핸드폰도 있고, 주변 사람들이(가 족들이) 말을 걸면 그때 잠깐 중지를 하고 녹강(녹화 강의) 인 경우에는 중지를 하고 다른 일을 잠깐 했다가 하는 경 우가 많아서 집중력에 조금 방해를 받는 경우도 많고요. (참여자 B)

    참여자들은 녹화된 동영상 수업은 정해진 수강기간 동안 언 제든지 들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수업을 가볍게 생각하게 되 고 자꾸 미루게 된다고 하였다.

    예전에 대면 수업 때는 수업내용을 놓치지 않으려고 항 상 계속 집중을 계속했고, 필기를 계속했거든요. 그래서 잠이 오는 경우가 없었는데. 비대면은 마음이 많이 느슨 해지고 어차피 녹화하고 있는데 못 들으면 그냥 조금 이따 가 녹화한 것 듣자 그런 느슨한 마음이 들기 때문에...(참 여자 A)

    참여자들은 이러한 일상이 지속되면서 누군가가 강제하지 않는 한 도태될 수도 있겠다고 생각한다. 좀 더 자기관리를 잘 해야겠다고 마음으로, 혼자 해나가는 방법을 찾고 깨달아가는 중이다.

    확실히(누가) 시키는 것이 없으니까, 약간 그냥 미래에 ‘누가 어떻게든 해주겠지’라는 느낌으로 미루고 대충대충 하다가 막상 닥치면 과거의 내가 왜 그랬을까 생각하면서 ‘이렇게 내 의지가 박약이구나’ 생각했어요. 그러면서 내 가 혼자 생활을 하면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습관이나 이런 것들은 제가 코로나때문에 가진 좋은 습관이고, 공 부할 때에도 이제(제가) 의지 빈약이라는 것을 알았으니 까 이제 어떻게든 잡아야겠다는 마음가짐도 새로 깨달았 고 관리하려고 노력 중이에요...(참여자 G)

    교수자, 친구들과의 소통과 교류가 현저히 줄어든 상태에서 어느 때보다 학습에서 자기 의지가 중요함을 많이 느꼈다. 교수 자에게 물어보기 어려운 것들을 스스로 해결해야 하고, 도서관 이나 스터디까페와 같은 장소도 마음 편히 이용하지 못하는 상 황이었다. 이렇듯 COVID-19로 인해 충족되지 않은 것을 해결 하기 위해 참여자들은 다양한 학습방법을 찾고 자신의 생활에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제가 느끼기에는 코로나 이전에는 수업이 끝나면 그 냥...수업했던 내용만 대충 공부를 했었는데. 코로나 상항 이 되고 나서 모르는 점이 생기면, 유튜브에서는 더 편하 게, 쉽게 요즘 유행에 맞게 그런 식으로 알려주는 그런 강 의들도 되게 많으니까 그런 것들을 좀 더 코로나 이전보다 는 더 많이 찾아보게 된 것 같아요 더 도움이 된 것 같아 요.(참여자 B)

    커넥츠(인터넷강의 어플리케이션)도 쓰고 있구요. 카 카오톡 오픈채팅 어플 통해서 같은 취준생이나 공부를 좋 아하는 직장인들이랑 서로 정보 공유라던지 노하우 공유 이런 거도 하고 있구요. 문제가 잘 안 풀릴 때 카카오톡에 물어보면 사람들이 대답을 해주곤 합니다.(참여자 J)

    하위 주제 5. 줄어든 경험, 불안한 미래

    본 주제에는 ‘다양한 경험 없이 졸업할까 봐 걱정됨’, ‘취업 에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될까 봐 걱정됨’이라는 2개의 코드가 포 함되었다. 참여자들은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집에서 공 부를 하는 것 외에는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전무해진 것에 우울해 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언제까 지 지속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얼마 남지 않은 대학생활이 아무런 활동과 경험도 없는 채로 끝날 것 같아 걱정이 앞섰다.

    가장 많은 경험을 자유롭게 구속받지 않고 할 수 있는 때가 대학생이 유일할 거라고 생각을 하는데 코로나로 인 해서 모든 행사나 해외 인턴쉽이나 박람회 같은 게 많이 취소가 되고 중단이 되어버려서(고교)학창 시절 때랑 별 반 차이도 없이 공부만 하다가... 다양한 경험이나 실무도 못 뛰어보고 졸업을 하게 될까 봐 그게 좀 걱정이 됩니다. (참여자 M)

    또한, 참여자들은 COVID-19 대유행으로 전반적인 사회 분 위기와 경제가 침체되는 것이 자신들의 취업에도 영향을 주지 는 않을까 걱정이 많아졌다.

    저는 그냥 이 코로나 영향 때문에 저희 동기들, 저 포함 해서 취업 걱정이 돼가지고... 악영향을 받지 않을까... 그 게 좀 요즘 제일 큰 근심이에요.(참여자 K)

    논 의

    본 연구는 COVID-19 유행 상황에서 시행된 온라인수업의 실태와 온라인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학습경험을 파 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COVID-19 유행 시 대학 생들의 온라인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실시간 화상수업과 녹화 된 동영상 수업의 경우 중간 수준 이상인 반면, 기타 동영상 또 는 과제물 중심 수업의 만족도는 낮았다. 온라인수업 유형 중, 녹화된 동영상 수업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같은 설문 문항을 사용한 선행연구[5]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것은 학습 자들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고 반복 시청이 가능한 비동시 성 강의를 가장 선호하지만, 학습자에게 부담이 큰 과제물 수업 은 선호하지 않음을 시사한다[4,5]. 온라인수업의 불만족 사유 중 1위로 ‘교수와의 상호작용 부족’이 차지한 것은 선행연구들 [4,5]에서 1,2순위를 나타낸 것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선행연 구들[4,5]에서 순위가 낮았던 ‘실험 ․ 실습의 부재’가 본 연구에 서는 두 번째로 높은 불만족 사유였는데, 이는 본 연구대상자의 63.3%가 실험 ․ 실습을 진행하는 보건계열과 공학계열 학생으 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차이에서 온 결과로 보인다.

    한편,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65.1%가 교수 또는 교과목에 따른 온라인수업의 질 차이가 크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 원 인으로 교수자의 수업준비 정도와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이 1, 2순위로 나타났고, 향후 보완점으로도 교수자의 온라인수업 역량 증진이 높은 순위를 나타낸 것은 학생들이 온라인수업에 서 교수자의 역할과 역량이 수업의 질을 담보하는 중요한 요인 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4,5,18]. COVID-19 유행동안 대학생들의 학습장소로 집이 가장 많았고, 혼자 공부하는 비율 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은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결과로[4,5], COVID-19 유행에 따른 감염 우려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 공장소를 피한 것의 영향으로 보인다[5]. 정보통신기술 활용능 력이 높은 군이 중간 또는 낮은 군에 비해 온라인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도 선행연구들[19,20]과 유사하였다. 이는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이 스마트기기, 디지털 플랫폼 기 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나 만족도에 영향을 미 치는 중요한 학습자 변수임[20]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대학에 서는 학습자 측면의 온라인수업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정보통신을 활용하고 필요한 지식을 능동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20], 정보통신기술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학습경험의 첫 번째 하위 주제는 ‘배려받지 못한 수업권’이었다. 참여자들에게 교수자 들의 서투른 온라인수업 운영과 일방향으로 진행되는 단조로 운 수업방식이 불만족스러운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는 본 연구의 설문조사와 선행연구결과들[4,5,18]에서 학생들이 교 수자의 역할과 역량이 온라인수업 질의 주요 요인으로 인식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또한, 본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예상하지 못한 COVID-19로 급하게 제작되고 운영된 온라인수업은 학 생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았고[19],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 하지 않은 교수들의 강의방식에 불만을 나타낸 것[21-23]과 유 사하다. 온라인수업은 오프라인 수업의 대체제가 아니라, 그 자체로 고품질이고 훨씬 더 응축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온라인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전문장비와 전문인력이 동원 되어 제작되어야 한다[24]. 더욱이 현 대학생들은 중 ․ 고등학교 시절을 거치며 교육방송이나 양질의 다양한 온라인 교육매체 와 콘텐츠에 익숙해져 있는 세대임을 감안할 때[19], 참여자들 이 철저한 사전 준비 없이 운영된 온라인수업의 질과 내용에 아쉬움을 나타낸 것은 어쩌면 예측 가능한 결과라고 볼 수 있 다. 온라인수업은 COVID-19 종식과 상관없이 교수법의 한 축 으로 점차 그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19]. 따라서, 온 라인수업의 질을 담보하고 향상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대학차 원에서 온라인수업 환경에 필요한 시스템과 전문지원인력을 보강하여 교수자들이 온라인교육을 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고, 교수자는 정보통신기기와 학습관리플랫폼 활용 능력을 갖추고 교과목 특성과 학습목표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 겠다.

    참여자들의 학습경험 중 두 번째 하위 주제는 ‘멀어진 소통 속에 높아진 학습 부담감’이었다. 이는 선행연구들에서 비접촉 방역대책으로 교수자와 학생, 학생들간의 상호교류의 어려움 이 증가했고[12-14,23], 과목마다 과제 제출로 출석을 대신하 면서 과제 스트레스가 증가한 것[13,21,23]과 일치한다. 교수 자는 학생과의 다양한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교수전략을 적용하고, 학생들이 수업환경에 심리적으로 준비 를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사전교육을 제공하며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적합하면서도 적절한 양의 과제가 제시되도록 수업을 설 계할 필요가 있다[25]. 비록 비대면 수업 운영에 많은 어려움과 한계가 있음에도 교수자의 소통을 향한 노력과 열정에 학생들 이 고마움을 느꼈다는 연구[21]에서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의 눈 높이를 좀 더 세심하게 고려하고 의견을 반영하며, 학생들이 편안하게 질문하고 과제 수행에 도움받을 수 있는 의사소통 채 널을 마련한다면, 이들이 학습 과정에서 느끼는 고립감과 부담 감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참여자들의 학습경험 중 세 번째 하위 주제는 ‘싫지만은 않 은 온라인수업’이었다. 즉, 온라인수업은 모든 학생에게 공간 적으로 평등했고, 교통체증 등으로 인한 피로가 줄고, 절감된 외출비용을 다른 학습자원에 쓸 수 있어, 온라인수업이 단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님을 나타냈다. 이는 비대면 수업의 시간, 체 력, 비용적 효율성을 확인한 선행연구[13]와 일치하는 결과이 며, 시 ․ 공간적 유연성, 경제성과 같은 온라인수업의 장점을 잘 나타내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26].

    참여자들의 학습경험 중 네 번째 하위 주제는 ‘느슨해진 수 업의지와 태도를 다잡기 위한 노력’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 들은 통제되지 않은 환경에 수업집중도가 떨어지고, 언제든 접근 가능한 수업에 마음이 나태해졌다. 이는 몇몇 선행연구 들[21,23]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났던 결과로, 온라인수업의 한계점을 여실히 드러낸다. 즉, 온라인수업에 얼마나 적극적으 로 참여할지가 학습자에게 달려있고 익명적 요소도 가지고 있 어, 개인적 책임과 의지가 없이는 온라인교육의 연속성을 쉽게 잃어버리며[26,27], 학업성취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14]. 이렇듯, 온라인학습의 많은 요소들이 학생들의 선택에 의해 결 정되므로, 이들의 학업성취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학습 전에 학습목표를 스스로 설정하도록 돕는 것[28]과 같이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고려하여 온라인수업 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참여자들은 COVID-19 유행이 장기화됨과 동시에 느스해 진 생활에 익숙해질 무렵 누군가가 강제하지 않는 한 도태될 수 도 있다는 위기감이 생겼고, 이는 결과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활 용하여 학습 ․ 관리하는 것과 같이 자기관리를 위한 의지와 노 력으로 이어졌다. 이는 학생들이 온라인수업동안 자신에게 최 적화된 생활패턴을 찾고, 교수자가 제공한 학습자료 그 이상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검색하여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 선행연구결과들[13,14]와 유사하다. 온라인이라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환경에서는 학생들의 자기의지와 자기주도성이 맞 물렸을 때, 학습의 확장이 일어나고 더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 다[14,29]. 이를 토대로 볼 때, 본 연구참여자들의 자기관리를 위한 노력은 COVID-19 유행으로 사회와 단절된 환경 속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위기상황을 극복해나가는데 매우 고무적인 요소로 볼 수 있겠다.

    참여자들의 학습경험 중 마지막 하위 주제는 ‘줄어든 경험, 불안한 미래’였다. 참여자들은 집에서 공부만 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지 못하고 졸업하게 될 것과 이러한 상황이 자신 의 취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을 걱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 과는 학생들이 외부활동이 줄어들면서 제한된 인간관계와 학 교생활에서 위축된 정서를 경험하며 사회적 역량을 개발할 수 없어 스트레스를 받고[13,23,30], COVID-19 이후의 진로에 대 한 고민이 더 깊어졌다는 연구결과[31]와 일치한다. 대학생 시 기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성인 모색기(emerging adulthood)로 새롭고 다양한 시도와 경험을 바탕으로 정체성 을 확립하고 삶의 방향을 결정해 나가며[32], 그 과정에서 성숙 하고 확대된 인간관계를 구성해 간다[21]. COVID-19 유행으 로 인해 대인관계를 맺을 기회와 경험이 줄어든 것은 대학생들 에게 발달적 측면으로도 손해이며, 외로움, 우울, 고립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23]. 더욱이 현재 학생들이 경 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수행과정에서 파 생된 것이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 조절하거나 해결방안을 찾기 가 쉽지 않을 것[23]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 수업의 질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방 안 못지않게 발 빠르게 논의되고 다차원으로 모색되어야 하며, 학생의 심리적 요인과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COVID-19 이전 과는 다른 방식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31]. 즉, 대학은 현 실적 조력자로서 학생간 소통 증진을 위한 온라인 프로그램 또 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심리적 상담, 취업정보 및 역량에 필요한 다양한 비대면 활동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며, 학생차원에서는 온라인동아리 모임을 조직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예 로 들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강점은 다양한 전공을 가진 대학생들의 온라인수 업과 학습에 대한 경험을 트라이앵귤레이션기법을 통해 파악 함으로써, 온라인수업에 대한 만족도, 불만족 이유 및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의 원인과 보완점 등에 관한 수량화된 데이터를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양적연구에서 보여주지 못하는 참여자 들의 주관적 인식과 경험을 좀 더 풍부하게 기술했다는 점이다. 몇몇 선행연구들[13,22,23]에서는 학생들의 시험과 평가방식 에 대한 불신감과 스트레스가 도출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두 드러지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가 학생들의 현재 경험을 중심으 로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자료수집 시기가 5월로 시험 전에 이 루어진 것의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생들 의 인식과 경험을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수집하였기 때문에, 개별 인터뷰에서 나올 수 있는 참여자들의 심층 경험을 충분히 도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3, 4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COVID-19 유행 시기에 대학에 입학한 1, 2학년 학생들의 경험과 다를 수 있다.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는 양적 조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COVID-19 유행동안 시행된 온라인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경험을 탐색 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경험은 교수자의 일방향적 수업방식과 소통 부족 속에 높아진 학습부 담감과 같이 불만과 부정적 인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시 ․ 공간 적 유연성, 경제성과 같은 온라인수업의 장점도 경험하였고, 위기상황에서 자기의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학습관 리를 해나가는 노력도 확인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외부와 단 절된 채 공부만 하는 삶에 우울감을 느꼈고, 줄어든 경험에 미 래의 삶에 대한 불안함을 경험하고 있었다.

    갑작스러운 COVID-19 등장에 대학가에서 충분한 준비 없 이 온라인수업이 전격 도입되었으나, 향후에는 COVID-19 유 행 여부와 상관없이 정보화 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수업이 교 육 패러다임의 중요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온라인수업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수자-학생의 정보통신 기술 활용역량을 강화하고, 학생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방안 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수업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는 대학차원의 지원과 교수들의 노력이 들어간다면, 온라인 수업의 장점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COVID-19 유행시기에 초점을 두고 대학생들의 온라인수업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였으나, 향후 COVID-19 유 행 시기와 이후의 대학생들의 온라인수업의 경험과 학습의 변 화과정이 어떠한지 파악해 볼 것을 제언한다. 또한, 온라인수 업을 운영하는 교수자의 경험은 어떠한지 파악하는 연구를 제 언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Figures

    T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82)

    Status of Online Classes during COVID-19 Outbreak (N=169)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Status before and during COVID-19 Outbreak (N=169)

    Differences of Online Class Satisfaction Level by Independent Variables (N=169)

    A Theme, Sub-themes and Codes

    References

    1. Seo J, Lee C. Action-items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designers to reinforce the learners' presence in the online-based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0;20(8):695-718.
    2. Kim HJ, Kim EY, Lee ES, Gye BG, Lee EH, Kim HY, et al. A study on future schoo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odel development [Internet].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KR);2017 Oct. Report No. 2017-6. [cited 2021 Mar 20]. Available from: https://www.keris.or.kr/main/ad/pblcte/selectPblcteRRInfo.do?mi=1138&pblcteSeq=11538
    3. Saisreya NV, Mahesh J. Education of generation Z: a systematic review and research directions. In: Lata P, editor.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est Innovative Teaching Strategies; 2021 July 29-31; Pilani (Rajasthan): SSRN; c2022 February 4. p. 363-367.
    4. Lee DJ, Kim M.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 practices of online learning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020;23 (3):359-377.
    5. Lee Y, Shin D. An investig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untact era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0;23(4):39-57.
    6. Ministry of Education. Committed to building a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for all student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2020, April 01 [Cited 2021 April 7]. Available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fileDown.do?m=020402&s=moe&fileSeq=16888ec0d9d6f4cf56a71404af510cb7
    7. Ahn SY. Education after Corona 19, changes in student study methods have started [Internet]. Seoul: EduinNews. c2020, April 08 [Cited 2021 April 7]. Available from: http://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223
    8. Han D. The architecture in the ‘new normal' era.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2020;64(8):20-21.
    9. Lee M, Ko M, Sohn H, Kim J, Kang S, Oh S, et al. Qualitative research. 1st ed. Paju: Soomoonsa; 2018. p. 97-99.
    10. Kim YS.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es on class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fter COVID-1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22;27(5):165-172.
    11. Shin AR, Shin HS. A learning satisfaction in face-to-face/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of new dental hygien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21;28;21(6):804-813.
    12. Im S, Choi EH, Lee M, Hong NY, Hwang DY, Choi YB. Adjustment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in the face of COVID-1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20;33(3):213-221.
    13. Kim M.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taking contactless classes during COVID-19.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21;13(1):533-547.
    14. Kang YJ, Rho J, Kim DH. A qualitative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in online classes of medical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4): 319-343.
    15. Vaismoradi M, Turunen H, Bondas T.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Implications for conducting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13;15(3): 398-405.
    16. Graneheim UH, Lundman B.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ation Today. 2004;24(2): 105-112.
    17. Lincoln Y,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CA: Sage; 1985. p. 289-331.
    18. Almendingen K, Morseth MS, Gjølstad E, Brevik A, Tørris C. Student's experiences with online teaching following COVID- 19 lockdown: A mixed methods explorative study. PLoS ONE. 2021;16(8):e0250378.
    19. Kim SJ.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pandemic.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21;11(7):118-127.
    20. Mo YT, XU YJ, Lee YK. A study on the effect of system characteristics of online lectures on lecture satisfaction in the COVID-19 crisi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CT utilization abi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1;19(9): 43-57.
    21. Kim YH. Virtual academic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due to COVID-19.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0;21(12):278-290.
    22. Jang Y.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in a non-face-to-face, non-real-time class environment after COVID-19.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22;30(3):1-20.
    23. Moon HJ. A phenomenological study of stress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displayed in non-face-to-face college life by COVID-19.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11):233-247.
    24. Ryu SN. Direction of university online education in post-corona era [Internet].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c2020 [cited 2022 October 02]. Available from: http://magazine.kcue.or.kr/
    25. Seo Y, Ko M, Kim S, Jun B. A study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untact online classes in colleg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2020;16(3): 83-94.
    26. Park JY. Massive expans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triggered by COVID-19.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eers C: Technology and Education. 2021;9(1): 1-5.
    27. Dwivedi A, Dwivedi P, Bobek S, Sternad Zabukovšek S. Factors affecting students' engagement with online content in blended learning. 2019;48(7):1500-1515. Kybernetes.
    28. Sun W, Hong JC, Dong Y, Huang Y, Fu Q. Self-directed learning predicts online learning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mediated by perceived value of knowing learning goals. The Asia-Pacific Education Researcher. 2022; March 05.
    29. Kim YS, Lee HJ.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on the media literacy an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1;27(4):359-368.
    30. Kim GS, Park YJ.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ress of undergraduate due to COVID-19.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21;21(9):644-651.
    31. Shin J, Kim J.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areer construction of college students during COVID-19 pandemic.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021;28(3):139-158.
    32. Amett JJ.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2000;55(5):469-480.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