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8 No.2 pp.137-152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23.8.137

The Urban Poor Patients’ Experience of Visiting a Free Clinic

Joo Hyun Kim1, Yeon Jeong Heo2, Jae Bok Kwak3, So Hee Ahn4, Bumjo Oh5, Jung Sik Lee6, Ho-Young Lee7
1Professor Emeritus,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2Instructor,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3Manager, Raphael Nanum Foundation, Seoul, Korea
4Student,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5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6Manager, Raphael Nanum Foundation, Seoul, Korea
7Professor,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 본 연구는 재단법인 라파엘나눔으로부터 연구비 지원을 받음.



- This work was supported by Raphael Nanum Foundation.


Corresponding author: Heo, Yeon Jeong https://orcid.org/0000-0002-5328-7194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 Ganwondaehak-gil, Chuncheon 24341, Korea. Tel: +82-33-250-8880, Fax: +82-33-259-5636, E-mail: far1555@naver.com
October 9, 2023 ; October 28, 2023 ; November 5, 2023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not on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patients’experiences visiting the Raphael Nanum Homeless Clinic but also explore what kind of healthcare programs they would like to have in the future by appraising patients’experiences in depth.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1, 2023, to June 25, 2023. A total of 17 patients who could provide detailed experiences of their visit to the Raphael Nanum homeless clinic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6 patients and in-depth one-on-one interviews with the remaining 11 patients.


Result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 revealed five themes: “visiting a free clinic for various paths,” “positive experiences at the free clinic,” “negative experiences at the free clinic,” “dissatisfaction with the clinic site,” and “anticipation for the future of the free clinic.”


Conclusion:

To ensure the right to health and survival of marginalized populat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mprehensive healthcare support measures, which include enhancing the facilities of the free clinic and expanding the range of available medical specialties.



도시빈민의 무료 진료소 방문 경험

김주 현1, 허 연 정2, 곽 재 복3, 안 소 희4, 오 범조5, 이 정 식6, 이호 영7
1강원대학교 간호대학 명예교수
2강원대학교 간호대학 강사
3재단법인 라파엘나눔 이사
4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생
5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6재단법인 라파엘나눔 실장
7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1990년대 후반 심각한 경제 위기로 인해 실직자가 대량으로 생겨났고, 실직 노숙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1]. 대량 실업으로 인한 실직 가정은 경제적 빈곤과 가족 해체로 이어져 노숙인으로 전락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는 새로운 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2]. 우리나라의 경제 위기와 실업 증가 등 급속한 구조적 변화를 겪으며 불안정한 고용 문제와 임시노동의 증가, 사회 경제적 불평등의 심화를 초래하여 노동시장은 양극화되고, 빈곤이 더욱 심해지며 새로운 빈민들이 생겨나고 있다[3]. 흔히 빈민, 빈곤층, 영세민, 저소득층 등이 빈곤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소득계측구조에서 하위에 위치한 계층집단을 뜻한다[3]. 우리나라의 노숙인 수는 2016년 1만 1,340명에서 2021년 8,956명으로 21% 감소하고 있으나 시설 입소 노숙인의 노령과, 거리 노숙인의 수도권 집중 등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4].

    노숙인은 COVID-19로 미취업이 증가하는 가운데 구직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4]. 건강 상태 및 의료이용 실태에서 몸이 아플 때 병원에 가지 않는 비율은 2016년 31%에서 2021년 37.5% 로 증가하였고,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소득보조 49.2%, 주거지원 17.9%, 의료지원 12.4%, 고용지원 6.8% 등으로 나타났다 [4]. COVID-19 이후 노숙인들은 원할 때 진료를 받지 못하는 의료공백을 경험하였고, 감염병 및 재난 정책에서 의료적 취약성 뿐 아니라 빈곤 등 사회적 취약성도 고려해야 하며, 노숙인 복지법에 의료지원 개념을 도입하고, 일상적 의료지원 및 예 방, 사후 대책까지 연계된 의료지원이 중요하다[5]. 이와 같이 의료취약 계층들에서 무료급식이나 일자리 감소 등의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일차진료 및 의료연계중단 등 의료 공백을 경험한 비율이 높게 나타나 빈곤 등 사회적 지원뿐만 아니라, 의료적 취약성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6].

    도시빈민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로는 서울시 도시빈민의 삶의 경험을 사회적 관계 형성에 초점을 맞춘 질적연구가 이루어졌고[7], 도시빈민이 겪는 건강불평등과 관련된 질적연구[8] 가 이루어 졌고, 그 외 도시빈민의 의료실태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 빈공층에 대한 연구 중 노숙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 노숙의 발생원인과 문제, 위험요인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가 주를 이루며[9-11], 노숙인의 건강관리실태와 건강기능과의 관련요인을 파악한 연구 [12], 노숙인의 건강 요구와 의료서비스 접근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13] 등이 있었다. 기존 노숙인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이 노 숙의 발생원인과 노숙기간의 장기화와 만성화 등 주로 문제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노숙기간, 노숙적응도, 노숙이탈 및 취업실태 경험 등과 같은 노숙경험의 특성과 사회적 지지와 관계망, 알콜중독, 우울증 등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연구[14]가 일부 이루어졌다. 노숙인은 장기화된 노숙과 자활에 실패하는 경험으로 사회적 지지망이 부족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로의 복귀가 어려워진다. 노숙인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 측면에서 취약집단임에도 불구하고 간호 분야에서 수행된 노숙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노숙인의 경험에 관한 연구는 대상자 모집과 접근성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노숙인이 거리노숙생활을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고, 힘든 시기를 어떻게 견디어 가는지 일부 청년노숙인 다큐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사례와 노숙인다시서기센터 소식지에서 청년노숙인 수기 사례를 활용한 2차 자료분석을 통해 체험의 의미를 탐구한 연구[15]에 그치는 등 미비한 실정이다.

    도시빈민들은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그동안 진료를 받던 공공병원이 COVID-19 전담병원으로 전환됨에 따라 건강관리가 어려워지는 상황이다. 라파엘나눔은 1997년 열악한 근로환경에 최소한의 의료 혜택조차 받을 수 없었던 이주노동자 진료를 위해 라파엘클리닉 운영을 시작으로 COVID-19 범 유행 이후 필수적인 진료 방역체계 구축 등의 준비과정을 거쳐 2021년 6월 서울 명동대성당 안쪽 (옛) 계성여고 운동장에서 명동밥집과 함께하는 ‘라파엘나눔 홈리스 클리닉’ 개소하여 매 주 일요일 진료를 시행하고 있다. 라파엘나눔은 보다 나은 수준의 지속 가능한 의료나눔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약 6,000명의 노숙인 등 도시빈민들을 대상으로 필요한 일차 의료를 제공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료 진료 소를 방문하는 노숙인 등 도시빈민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무료 진료소를 방문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원하는 건강관리 프로그램은 어떤 것인지를 파악함으로써 무료 진료소를 방문한 경험에 대한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2. 연구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무료 진료소를 방문하는 노숙인 등 도시빈민들을 대상으로 무료 진료소 방문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무료 진료소 방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기 위함 이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노숙인 등 도시빈민들을 대상으로 무료 진료소 방문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질적 내용분석방법(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을 이용한 질적연구이다. 질적 내용분석방법은 의사소통 상황이나 내용의 문맥을 범주화하여 신뢰성 있는 추론을 위한 객관적, 체계적 수단을 제공하며, 현상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기술함으로서 연구대상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제공하는 방법 [16]으로, 도시빈민들을 대상으로 무료 진료소 방문 경험 내용을 탐색하는데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2. 연구자의 준비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질적연구 전문가에게 질적연 구방법론을 수강하면서 질적연구에 대한 학문적 기초를 다졌다. 관련 학회에 참석하여 심층면담 기법과 질적 자료분석을 배우고, 자료수집과 분석에 대해 철저히 학습하였다. 연구자들은 질적연구와 관련된 다수 연구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3. 연구참여자

    연구참여자는 무료 진료소를 1회 이상 방문한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로 노숙자, 저소득 등에 의해 빈곤한 상태에 있는 도시 하층민, 즉 도시빈민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없고,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서면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목적적 표본표집을 하였다. 연구참여자 선정은 Richards와 Morse [17]의 질적 자료의 적절성과 충분성의 원리에 따라 노숙인 무료 진료소 방문 경험에 자세히 표현할 수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고, 연구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충분히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적연구방법에서 참여자 선정 시 의도표집 방법을 사용하고 참여자 수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에 필요한 수가 된다. 더 이상 새로운 정보 찾기를 끝내거나, 이론적인 생각이 완전하다고 생각될 때 새로운 참여자를 모집하는 것을 중단한다[17]. 14번째 연구참여자부터 새로운 진술이 거의 없이 비슷한 진술이 반복되었고, 추가로 3명을 더 면담하여 총 17명의 참여자를 면담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자 10명(58.82%), 남자 7명 (41.18%)이었고, 평균 연령은 76.12±5.74세였다. 결혼 상태는 기혼 8명(47.06%), 사별 7명(41.18%)이었으며, 최종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이 9명(52.94%), 중학교 졸업 4명(23.53%), 직업은 무교 7명(41.18%), 기독교 6명(35.29%), 천주교 2명(11.76%) 이었다(Table 1).

    4. 자료수집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6월 11일부터 6월 25일까지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 중 5인이 참여자 17명에게 개별적으로 연락하여 6명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로, 11명은 개인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진행할 때 연구자와 참여자 모두 체온 측 정,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 손위생, 환기 실시 등 개인위생 및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대면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 장소는 참여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무료 진료소의 선별 진료실에서 진행 하였다.

    포커스그룹 면담은 연구자가 정한 주제에 대해 그룹 상호작 용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18], 단순하게 사람들이 말 한 것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동기와 행동의 근원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19]. 한 주제에 대한 개방된 토론을 수행하여 주제를 탐색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경험을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이해할 수 있다[20]. 토론을 시행하며 참 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그룹 효과”로 참여자들 간의 합의와 다양한 견해를 얻을 수 있다[21,22]. 포커스그룹은 일반적으로 3개 정도의 그룹으로 구성되고, 주제와 관련된 공통된 특성을 가진 6~10명[20], 혹은 7~10명[22]의 참여자로 구성한다.

    이를 참고로 질적 자료수집에 동의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3개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 당 8~9명의 참여자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이 약속 시간에 모두 오지 않았고, 각자 다른 시간에 인터뷰에 참여하여 1그룹만 6명으로 시행할 수 있었다. 우선 6월 11일 12시에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시행하였고, 소요된 시간은 40~50분이었다. 포커스그룹 인터뷰에 응한 연구참여자 간에 인터뷰 도중 언쟁이 발생하여, 부족한 부분에 대해 6명 모두에게 개별 심층면담을 추가로 진행하였고, 약 20~30분 소요되었다.

    나머지 11명에 대해서는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6월 18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참여자 6명을 대상으로 개인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6월 25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개인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각 면담의 평균 시간은 약 40~50분 정도 소요되었다. 개인 심층면담의 횟수는 1회 진행하였고, 연구참여자의 특성상 다시 약속을 잡아 개인 심층면담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추가 질문 사항에 대해서는 참여자 17명에게 개별 전화연락을 통해 질문 하였다. 개인 심층면담은 참여자의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 일상적인 안부를 묻는 것을 시작으로 날씨에 대해 이야기 하고, 점차 연구주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면담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면담은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하였으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료 진료 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요?”, 둘째, “무료 진료소에서 진료를 받은 후 드는 생각과 느낌은 어떠하였나요?”, 셋째, “무료 진료소에서 제공된 진료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넷째, “무료 진료소에서 제공된 진료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다섯째, “무료 진료소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여섯째,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이다.

    5. 윤리적 고려

    연구 수행 전, 강원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KWNUIRB-2023- 04-001-002)에서 연구 진행의 승인을 받았다. 연구참여자에게 동의서를 제공 및 설명하여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고, 연구에 동의하는 경우 서명 동의를 받았다. 자료수집을 수행한 연구담당자 5명이 직접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절차 및 방법, 참여기간, 면담을 시행할 때 연구 담당자의 핸드폰으로 녹음하는 과정, 개인정보 보호, 자유의사에 의한 연구참여, 동의 철회에 관해 5~10분간 충분한 설명을 하였다. 연구담당자가 설명문 내용을 대신 읽어주거나, 참여자가 설명문의 내용을 읽고,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으면서, 연구에 동의하는 경우 포커스그룹 면담 혹은 심층면담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 여부는 참여자의 선택에 전적으로 달려있으며, 혹시 참여하지 않게 되더라도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음을 설명 하였다. 면담 중간에 녹음을 원하지 않을 경우 바로 중단 할 수 있고, 면담을 종료한 후에도 참여자의 진술이 연구에 이용되는 것을 거부할 수 있으며, 연구 중간에 언제든지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동의 철회를 원할 경우 조사된 자료는 즉시 폐기됨을 설명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에서 개인정보를 알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참여자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사례번호를 지정하여 자료를 익명으로 처리하여 비밀보장을 하였다. 참여자에게 면담 중 진술한 내용은 연구자료에만 이용되고, 타인에게 자료가 노출되지 않도록 개인 PC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자료를 저장하여 모든 내용들은 비밀보장됨을 설명 하였다. 참여자에게 수집된 정보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적절하게 관리하며, 연구가 끝남과 동시에 즉시 영구 삭제됨을 설명하였고, 연구참여에 대한 소정의 답례로 빵과 물, 보습제를 선물로 제공하였다.

    6.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Downe-Wamboldt [23]가 제시 한 8단계의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사용하여 정교한 코딩과정을 통해 타당하고 타당한 분석과 해석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연구자 모두 자료의 코딩 과정과 범주화에 참여하였다. 첫째, 자료수집을 담당한 연구자 5인은 참여자의 생생한 경험에 대한 느낌을 잊지 않기 위해 참여자와 면담을 종료한 당일 녹음한 내용을 반복하여 들으며 참여자의 진술 그대로 필사하였다. 필사된 내용은 연구자 5인이 반복하여 읽고, 전체적인 분위기를 파악하였으며, 구문과 문장을 분석단위로 정하였다. 그리고 의미 있는 구문과 문장을 추출 후 코드화하여 명확한 내용으로 기술 하고자하였다. 둘째, 코드들을 바탕으로 초기 주요 범주를 생성하고, 선정된 구문과 문장을 각 범주에 적용하였다. 셋째, 추출된 구문과 문장이 초기 범주에 포함되지 않으면, 새로운 범주를 추가하고 범주들에 대한 점검 과정을 거쳤다. 넷째, 초기 범주와 추가 범주를 작성하고, 연구자 전원 모두 구문과 문장을 범주에 따른 분류를 하였다. 연구자 전원의 의견이 일치될 때까지 계속 범주를 수정하였다. 다섯째, 주제를 범주에 분류 하는 과정에서 범주들을 수정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코딩 규칙을 수정하였다. 여섯째, 코딩과 범주에 대해 재점검을 시행 하였다. 일곱째, 전체 자료에 대한 코딩화 및 도출된 주제들은 질적연구의 경험이 풍부한 간호학 교수 2인의 점검 과정을 통해 내용분석의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여덟째, 참여자에게 범주와 주제들에 대한 확인 과정을 거쳐 분석 결과에 따른 주제와 참여자의 경험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연구 분석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COVID-19 상황을 감안하여 비대면 화상 회의(zoom)에서 연구자 전원이 연구결과에 대한 의견이 일치하고,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때까지 4회 토 의하였다.

    7. 연구의 엄격성

    연구의 엄밀성을 확보하고자 Lincoln과 Guba [24] 그리고 Sandelowski [25]가 제시한 질적 평가기준에 따라 신뢰성, 전이가능성, 감사가능성, 확인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신뢰성은 “실제 연구결과가 그럴 듯 한가?“에 대한 것으로 해석적, 기술 적 차원으로 연구가 얼마나 타당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20]. 본 연구에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면담 내용을 모두 녹음하고, 녹음된 내용을 여러 번 듣고, 참여자의 진술 그대로 필사하였다. 참여자의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면담을 시행한 날 바로 필사하였고, 추가 면담이 필요한 부분이나 의미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은 내용에 대해서는 참여자에게 양해를 구하고 추가로 전화 면담을 진행하여 모호한 의미 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필사한 내용은 여러 번 검토하고,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풍부한 질적연구자들과 토의하고, 분석 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자료의 분석과 해석에서 자료로부터 적합한 의미를 찾아내며, 구체적인 자료에서 점차 추상화된 범주나 주제를 찾아 명명할 때 자신이 가진 의미를 억지로 부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이러한 분석과 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전략으로 참여자로부터 확인받기가 있다[20]. 연구참여자 17명에게 분석한 결과를 알려 주고, 결과에 대해 확인하였다. 전이가능성은 연구결과를 다른 맥락과 상황 속에서 얼마나 적용 가능한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질적연구에서 연구결과가 다른 맥락에서 전이가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20].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을 기술하고, 참여자의 경험을 풍부하게 기술하여 독자에게 다른 비슷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감사가능성은 질적연구과정이 일관되고, 연구자가 적합하게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을 사용했는지 검증하는 기준으로 연구자의 현장노트가 중요한 자료가 된다[20]. 감사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전 과정에 대 해 자세히 기술하였고, 연구결과를 제시할 때 참여자의 진술문을 있는 그대로 인용하였다. 확인가능성을 위해 연구자는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선입견을 차단하고, 참여자에 대한 무비판적인 태도로 중립의 상태로 경청하였다. 그리고 연구가 종료될 때까지 연구자의 가정과 선입견에 대해 괄호처리 하였다. 연구결과의 해석과 분석 과정에서 오류를 줄이고, 연 구결과의 엄격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20]. 분석한 범주와 주제, 하위주제의 명명에 대해 대학원에서 질적연구 교육 경험이 풍부한 간호학과 교수 2명의 피드백을 받아 분석한 연구결과에 대해 다시 검토하였고, 참여자의 경험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 다시 한번 점검하였다.

    연 구 결 과

    본 연구결과 최종 5개의 주제 영역, 17개의 범주, 그리고 43 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도출된 주제 모음은 ‘다양한 계기로 무료 진료소를 방문하게 됨’, ‘무료 진료소에서 긍정적인 경험’, ‘무료 진료소에서 부정적인 경험’, ‘진료 장소의 불만족’, ‘무료 진료소에 대한 앞으로의 기대’이었다 (Table 2).

    1. 다양한 경로로 무료 진료소를 방문하게 됨

    참여자들이 무료 진료소를 오게 된 계기는 무료 급식소에 밥을 먹으러 왔다가 우연히 알게 돼서 방문하거나, 명동 성당에 천주교 미사 참석 차 왔다가 알게 된 경우와 친척의 소개나 무료 진료소를 다니는 사람들의 소개로 오게 되었다.

    1) 다른 이유로 왔다가 알게 됨

    대부분 참여자들은 무료 급식소를 이용하다가 옆에서 무료 진료소를 운영하는 것을 보고 방문하게 되었고, 일부 참여자들은 명동 성당에서 천주교 미사를 드리다가 무료 진료소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방문하였다.

    (1) 무료 급식소와 연계되어 무료 진료소의 정보를 얻게 됨

    저는 여기에 이제 그 제가 끼니를 잘 거르니까는 수, 목, 금을 식사를 하러 옵니다...(중략)...확실히는 모르겠는데 밥 먹으러 오면서 여기를 다닌 지 2~3년 된 것 같아요.(참여자 1)

    식사 제공 한다고 그래서 혼자 밥 먹는 것도 그렇고 그래서 와서 보니까 친절하고 그래서 의료 서비스도 하고 그래서 나도 한번 가봐야겠다 싶어서 그래서 오게 됐지.(참여자 15)

    (2) 천주교 미사 참석으로 알게 됨

    내가 이 성당을 다니는데 미사 끝나고...(중략)...이제 진료를 하길래 이제 그래서 한 번 해본 거예요. 그래서 이제 위장하고 이런 게 별로 안 좋으니까 그 약을 몇 번 지어 먹었어요(참여자 16)

    2) 주변의 소개로 찾아옴

    무료 진료소를 오개 된 계기로 과반수의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를 다니는 사람들이 알려줘서 오게 된 경우와 일부 친척이 소개해 줘서 오게 된 경우가 있었다.

    (1) 친척의 소개로 알게 됨

    우리 친척분이 얘기해 주셔서 알아서 왔어요. 여기 아마 하고 있는 것 같더라구요. 알려줘서 왔어요.(참여자 8)

    (2) 무료 진료소 다니는 사람의 소개로 알게 됨

    여기 아는 분이 제가 아프다 그랬더니 아는 사람이 얘기해서 왔어요. 왔는데 사실 이거 보니까 굉장히 식사도 주시고 좋더라구요.(참여자 5)

    성남의 성당에서 주는 밥집도 있고 진료를 해주는 데는 없어요. 여기만 여기만 있어. 여기만 좀 진료를 봐준다고 하더라고요. 제가 성남에 거기 내가 몇 번 갔어요. 왕십리에서 전철을 타고 성남 가는 걸 타면은 바로 성당이에요. 그 앞에 교통이 뭐 그렇게 어렵지도 않고 해서 거기를 갔 죠. 거기를 갔더니 아유 왜 여기를 나오세요. 그 서울 노원구에 산다고 하니까 아유 명동에서도 주는데 아주 식사도 좋고 거기 아픈 사람들 환자들 진료도 해줍니다. 약도 줍니다. 그래서 오게 됐어요. 거기서 알게 되신 그분이 알려 줘서 그래 와가지고 등록을 하니까 그 다음 일요일에에 오라고 그러더라고요.(참여자 17)

    2. 무료 진료소에서 긍정적인 경험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에서 진료비가 부담되지 않고, 병원에서 주지 않는 파스를 주는 점이 좋다고 하였다. 소득원이 없다 보니 약값도 부담이 되었는데 무료 진료소에서 약도 무료로 제공해줘서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무료라고 해서 약의 질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잘 들어서 만족감을 나타냈고, 봉사자들과 의사들도 친절하게 대해줘서 계속 이용하게 된다고 하였다. 급식소에서 식사도 하고 진료도 볼 수 있는 점이 좋았고, 일요일에 진료하고 교통이 편리하여 접근성 이 좋다고 느꼈다.

    1) 경제적 어려움을 일정 부분 해결할 수 있음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진료비와 약값이 부담이 된다고 하였다. 무료 진료소에서는 파스도 무료로 제공해주고, 진료비와 약값을 내지 않고 진료를 볼 수 있어서 좋다고 하였다.

    (1) 무료라서 진료비 부담이 안됨

    솔직히 말하면은 이제 절약이 되잖아요. 밖에서 약을 여기서 타는 만큼 안 타니까...(중략)...경제적으로 절약이 되니까 이제 좋은 것 같고(참여자 12)

    나는 뭘 그걸 인정을 하는가 하면 우리가 가서 이제 진료하고 약 지으면 한 돈 만 원 들어가거든 이거는 하나도 안 들어가잖아요. 돈이 안 들어가니까 그게 좋은 점인 것 같아요.(참여자 16)

    (2) 약값 부담을 다소 덜게 됨

    (의료보험이) 있는데 이제 자식들 멀리 있고 하니까 저는 혼자 있으니까 일일이 자기한테 저기 뭐야 말하고 가는 거는 좀 그렇고 또 약값도 제가 이제 소득이 없으니까. 약 값도 좀 부담되고 그래 갖고 웬만한 거는 제가 이제 여기서 해결을 하고...(참여자 2)

    약값이 한 20만 원 나오는 게 조금 부담이 되서 이쪽으로 조금 이용해 본 게 있네요.(참여자 17)

    (3) 병원에서 주지 않는 파스를 줘서 좋음

    여기 뭐 하는 곳이냐고 이제 내가 물어보니까 진료를 한대서 그럼 우리도 한번 해보니까 근데 파스를 주길래 너무 감사하다...(중략)...병원에서는 파스를 안 줘요.(참여자 3)

    무슨 파스 같은 걸 주니까 다리 좀 시끌시끌한 거 아플 때 붙이니까 그렇게 좋더라고(참여자 9)

    2) 우수한 약 효과에 대한 만족감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약 효과에 대해 만족감을 나타냈다. 무료 진료소에서 주는 약이 일반 의료기관에서 주는 것과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였고, 약이 잘 듣고 효과적이여서 흡족해 하였다.

    (1) 무료라도 약의 질이 떨어지지 않음

    근데 무료라도 좀 약에 질이 떨어진다든가 진료가 만족이 안 되면 안 올 수도 있어. 질이 떨어지고 그런 건 없어요. 나는 당뇨하고 혈압약이니까 밖에 약이나 진배없더라고요. 일단은 밖에 약이나 여기 라파엘 약이나 제가 느껴 보니까 똑같아요.(참여자 12)

    (2) 약이 잘 들어서 흡족해서 계속 오게됨

    여기가 약도 좋고 잘 듣는다고 그러더라고 내가 한 3주 해 보니까 잘 듣더라고요. 지금 그래서 계속 오고 있어요. 속이 좀 장이 안 좋고 지금 무릎이 안 좋았는데 그 두 군데 가 지금 다 좋아지고 있거든요. 예를 들어서 설사를 하는 데 그러니까 여기 일주일 치 먹어보니까 설사가 멎었어요. 그러니까 다른 병원에서는 계속 설사가 났거든요.(참여자 8)

    3) 친절한 의료진과 봉사자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의 의사와 봉사자들이 친절하다고 느꼈다. 의사와 봉사자들이 친절하게 대해주고 자세하게 상담을 해주어 계속 오게 된다고 하였다.

    (1) 봉사자들이 친절해서 좋음

    좋은 점은 최대한 친절하게 빨리 빨리 진행해 주시려고 그런 게 성심성의껏 최선을 다 해드리려고 봉사자분이나 일하시는 분들의 그런 진심이 보여요.(참여자 7)

    더군다나 이 많은 사람을 관리하기가 쉽지 않은 건데 이 많은 사람의 비위를 맞추고 현장을 잘해주는 거...(중 략)...화내는 사람도 있고 막 그러잖아. 여기 봉사자들이 참 친절해요. 봉사자들이 많아.(참여자 10)

    (2) 의사의 친절하고 상세한 상담

    골고루 잘 물어보시더라고요. 잘해 주시더라고...(중 략)...저기 일반 우리 병원에 가잖아요. 그러면 말을 길게 하면은 가만히 계세요. 그러잖아. 근데 여기는 잘해주시고...(참여자 9)

    화를 안내세요...(중략)...사람이 되게 많고 대기도 많이 하는데도 이 상담을 이렇게 천천히 많이 잘 잘해주시고 좋아요.(참여자 11)

    (3) 친절하게 해주어서 멀어도 오게 됨

    (여기 오는데) 한참 걸려도 좋아요. 그리고 누가 이렇게 정말로 해주겠어요. 그래서 저는 생각이 그래요. 아이고 나라에서 이 칭찬을 해주셔도 한참 해주셔야 하는데 저 같은 것이 뭐 해봐 저도 좀 너무 고맙다고 말씀드리고 싶어 요.(참여자 6)

    4) 접근성이 용이함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식사와 진료롤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점을 좋은 점으로 꼽았다. 일요일에 진료하는 것과 편리한 교통으로 무료 진료소에 대한 접근성이 좋다고 느꼈다.

    (1) 편리한 교통

    이제 여기가 교통이 좋잖아요. 교통상으로...(참여자 7)

    (병원에 가려면) 거리가 멀어요. 내가 여기 버스를 타려면 한참 나가. 집에서 이쪽으로 한 이십 분 이상 걸어 나가야 돼. 그 버스 타고도 한 삼십오 분 이상 가야 돼. 그러니 까 여기 오는 게 더 좋죠.(참여자 15)

    (2) 일요일에 진료하는 것이 좋음

    일요일날 했던 이게 장점이고...(참여자 7)

    일요일이고 해서 그건 감사하고 기다리고 사용하고 있어요.(참여자 8)

    (3) 급식소에서 식사도 하고 진료도 볼 수 있어서 좋음

    건강진단 결과 당뇨, 고지혈증, 혈압약을 먹으라 그래서 동네에서 먹다가 요즘 이제 한 번 타갔나 두 번째 이게 일요일마다 참석하고 있어요. 너무 고맙습니다...(중략)... 맛있게 식사할 수도 있고...(참여자 3)

    노인네들이 나이가 먹어가지고 집에 있지 못하니까 이런 데를 이렇게 나와서 다니니까 운동도 되고 약도 이렇게 해서 먹으면 좋고 밥도 먹고 굶지 않고 좋아요. 참 좋아. 좋아요.(참여자 9)

    3. 무료 진료소에서 부정적인 경험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에서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서 힘들게 느껴졌다. 무료 진료소의 예약 날짜에 오지 않으면 2주를 기다려야 진료를 볼 수 있어서 지속적으로 약물을 투약 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예약을 못하면 진료를 보지 못하였고, 일주일 이상 길게 예약을 해주지 않아 예약 시스템에 대해 불편해 하였다. 일부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에서 서비스 인력의 불친절한 태도 때문에 불편함을 호소하였고, 매주 달라지는 의료진으로 제대로 진료를 볼 수 없다고 느꼈다.

    1) 너무 긴 진료 대기 시간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진료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 밥을 먹고 진료 받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그리고 약을 타는데도 오래 기다렸다고 하였다. 생년월일로 진료 순서를 정하고 있어서 일찍 와도 진료를 나중에 봐야 하는 상황이 불합리하게 느껴졌다. 그리고 대기 중에 방문하는 사람들끼리 서로 불평불만을 토로하면서 다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1) 진료를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서 힘듦

    방문 중에 불편한 점은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요. 그쵸 여기서 너무 많이 11시에 와도 거의 4시에 끝나고 또 나이 드신 분 순서대로 하기 때문에 번호표를 늦게 줘요.(참여 자 7)

    일찍 와서 뭐야 보통 이 시간(11시쯤)에 오잖아요. 네. 이 시간에 오면 5시까지 보면 지루하잖아요. 그러면 그때는 그냥 아이고 그냥 짜증나고 밖에서 타 먹지 그런 경우 도 있고 그래요.(참여자 12)

    (2) 밥을 먹고 진료 받기가 어려움

    그게 너무 대시 시간이 길고 해서 어떤 때는 이제 밥 먹는 거하고 겹칠 때도 있고 막 좀 그렇더라고요.(참여자 7)

    우리는 열두시 전에 와서 밥 먹고서 기다리고 있어도 끝나면은 거의가 4시 다 돼서 끝나요...(중략)...늦으면 저 약까지 타고 하면 4시 반 넘어야 돼.(참여자 15)

    (3) 약 타는데 오래 기다림

    어쩔 때는 5시까지 약이 안 나와가지고 기다리고 있은 적도 있어.(참여자 10)

    근데 저기 약국이 너무 시간이 오래 많이 걸려. 거기 차라리 약국에서 시간을 다 보내요. 사람이 두 사람이 더 밖에서 해주는데 아무래도 사람이 딸리는 것 같아. 약국에 서도 대기를 많이 하죠. 약국에 제일 많이 걸려요. 시간이 길면 한 시간. 왜 그런가 하면 그 의사 선생님한테 진료를 받고 의사 선생님 처방전을 써주잖아요. 그걸 가지고 와서 거기다 저 접수를 하고 그럼 그 접수 접수된 걸로 보고서 거기서 그걸 보고서 처방을 조제를 하니까 그러니까 늦을 밖에...(참여자 15)

    (4) 생년월일로 진료 순서를 정하는 것에 대해 불합리하다고 느낌

    나이별로 하니까 제 나이도 막 어리지도 않은데 이제 매일 늦게까지 있고. 여기서 마지막 끝나고 집에 가면 6시가 되니까 너무 힘들어요. 그래서 못 오겄더라고. 그냥 오는 대로 진료를 해주면 좋은데 아무리 내가 일찍 왔는데도 나이별로 온다고 이제 맨 늦게 하다 보면 진짜...(중략)... 다른 거는 사람이 많으니까 기다리는 거 기다리는데 오면 오는 대로만 해주면 나이별로 하니까 늦게 가면 제일 화날 때가 그거야. 늦게 봤는데 마지막에 약도 없고 그때는 진짜 이제 좀...(참여자 10)

    경로 우대를 해서 어떻게 한 편으로 보면 박수 칠만 하고 그렇다고 이제 뭐 나도 일흔다섯이라고 적게 먹은 건 아니잖아요. 예 그러면 제일 늦게 볼 때가 있어. 그러면 또 나이 먹은 사람들은 늦게 와도 끼워주고 그러면 형평성에 안 맞는 거지...(중략)...일찍 왔는데도 그냥 나이 든 대로 하고 나이 먹었다고 해서 해주고 그러면 화병 나죠.(참여 자 12)

    (5) 방문하는 사람들이 서로 불평하면서 다툼이 발생함

    근데 저는 남자분들이 화장실이 여기 있는데 저기다 막 실례를 하고 그게 좀... 기다리는 동안 남자분들이 싸우자고 시비하고 그런 사람들... 그러면 뭐 뭐라고 하지도 못하지.(참여자 5)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힘들어한 건 고마운 게 하나도 없고 그런 사람들이 있어. 할아버지들이 인생을 그렇게 살아왔기 때문에 그 할아버지 한이 아는 사람은 알지만 모르는 사람은 당연히 국가가 해 주는 거고 국가 지원을 다 사고 방식 그런 사람이 있어요. 화장실이 불편하다 막 컴플레인하고 기다리다가 싸우고...(참여자 13)

    2) 지속적인 투약의 어려움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에서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약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다. 예약 날짜에 오지 않을 경우 다음 진료는 2주를 기다려야 볼 수 있었고, 늦게 가면 무료 진료소에 약이 모두 떨어져서 약 처방을 제대로 받을 수 없었고, 약 성분은 같지만 매번 약물의 형태가 바뀌어 투약의 어려움을 겪었다.

    (1) 한 번 빠지면 2주를 기다려야 해서 지속적인 투약이 어려움

    일주일만 딱 해주니까 일주일만 깜빡 잊어 먹으면 넘어 가면 약이 없어요. 그래서 한 이주 쯤 해줬으면 좋겠고... (참여자 6)

    지금 예약을 내가 한 번 빠지면 안 돼. 예약하라고 하고 왔다가 그다음에 그러면 또 2주를 거쳐야 약을 한 번 지는 거야.(참여자 7)

    (2) 늦게 가면 약이 다 떨어짐

    어쩔 때는 5시까지 약이 안 나와가지고 기다리고 있은 적도 있어. 그리고 6시가 넘으면 너무 약이 떨어질 때가 있어요. 못 탈 때가 많이 있어요. 파스도 없다고...(중략)...늦게 하고 약도 없지. 계속 기다렸는데 몇 시간을 그냥 가려니까 얼마나 속상한게 그다음에 안 오고 또 계속 그렇게 되더라고. 내가 원하는 거 올 때마다 그래도 늦어도 타고 가면 다행인데 내가 원하는 거를 기다리는데 못 받아. 기다렸다가도 내가 파스를 주라든지 무슨 연고를 달라고 기다렸는데 없다고 안 주면 그때는 정말 이 노인네들이 힘이 쏙 빠지지...(참여자 10)

    (3) 매번 갈 때마다 성분은 같으나 약의 형태가 달라져서 생 긴 불신감

    의례적으로 우리가 이거 대체약 해줍니다. 당뇨는 다이아벡스가 기본적인 약인데 혈당을 낮추는 약인데 다이아벡스가 우리 없습니다. 이거하고 유사한 효능이 있는 걸로 대체해 드리겠습니다...(중략)...비슷한 약을 저 먹으라 이거예요. 근데 그 약이 전혀 듣지를 않는 거예요. 다 같은 약이기는 한데 그것이 효과가 없는 것 같아.(참여자 17)

    3) 예약 시스템의 불편함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예약을 해야 진료를 볼 수 있고, 당일 진료는 불가능한 것에 대해 불편하다고 느꼈다. 의료기관처럼 길게 예약을 해주지 않아 매주 방문하여 약을 처방 받아 가는 것에 대해 불편해하였다.

    (1) 예약을 못하면 진료를 못봄

    2주를 거쳐야 약을 한 번 지는 거야. 예약을 안 하면 안 해준다고 안 해줘. 안 해줘요. 그러니까 뭔 일이 있어서 빠지면 그렇게 되니까 안 오게 되더라고요.(참여자 9)

    처음에는 예약 없이 그냥 했어요. 근데 지금은 예약하는 게 내가 한 번 빠지면 안 돼. 예약하라고 하고 왔다가 그 다음에 그냥 오는 대로 해주다 보면 늦게 오는 사람이 약이 떨어진대요. 근데 예약 할 만큼은 약을 갖고 온대요. 그래서 예약을 한다고 하더라고...(중략)...이번 주에 예약만 하고 다음 주에는 또 와야 되니까 그게 조금 불편한거... (참여자 11)

    (2) 길게 예약을 안해줌

    여기는 그냥 오라는 예약 날짜만 오면 딱 일주일만 예약을 해줘요 길게 안 해줘요...(중략)...일주일만 딱 해주니까 일주일만 깜빡 잊어 먹으면 넘어가면 약이 없어요.(참 여자 6)

    4) 서비스 인력에 대한 불편함

    일부 참여자들은 안내하는 봉사자들의 불친절한 태도와 의사들이 환자를 배려해 주지 않는다고 느껴 무료 진료소의 서비스 인력에 불편함을 느꼈다.

    (1) 안내하는 사람의 불친절한 태도

    이 환자가 처음 온 건지 다른 데 접수를 했다가 그게 잘 못돼서 다시 고쳐서 내과로 오는 사람인지... 그 사람은 나를 지금 진료 보는 사람 다음에 넣어 줘야 되는 거 아니냐 내가 삼십오 번인데 어떻게 맨 끝으로 그 자리를 넣을 수 있느냐니까 저는 그렇게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그거 우리는 잘못이 없습니다. 이거야. 그 차트 오는 순서대로 넣어 주기 때문에 그 과정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걸 들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주 불편했어요.(참여자 17)

    (2) 의사의 환자 배려 부족

    의사 선생이 아주 어떻게 경찰서에 경찰보다 더 더 심해요. 뭐 인사하는 것도 없고 나 의사 누굽니다라고 하는 자기 소개도 없어. 그냥 어떻게 오셨습니까? 아주 뭐 딱딱해요. 그래서 저 당뇨가 있어서 당뇨 약 좀 받으러 왔습니다. 당뇨 증상을 제가 말씀 좀 드려도 될까요? 아 그건 필요 없습니다. 그런 식으로 그래서 내가 제가 의사 선생님한테 한 가지 항의를 좀 권유를 하겠는데 괜찮겠습니까? 그러니까 무슨 말씀이에요. 진료에 관한 거 말고는 말씀을 하지 마세요. 그러는 거예요. 지난주에 내과 선생이에요. 주의 좀 주세요.(참여자 17)

    5) 매주 달라지는 진료진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진료과 의사가 매번 바뀌어 지속적으로 관리 받는 것이 어렵게 느껴졌고, 진료과 의사가 없는 날 대체 의사로 진료를 봐야 하는 것에 불편하게 느껴졌다.

    (1) 진료과 의사의 부재로 불편함

    내과 의사한테 두 번 받았어요. 여기 두 달 동안에 두 번을 받았는데 맨 처음에 받은 분은 제가 그 불편한 사항을 다 이해하시고 처방을 해서 아주 잘 들었어요. 그 다음에 의사 선생님 그걸 입력된 대로 약을 주십시오. 지난번에 타간 거 대로 지난주에 타간 거대로 그게 없다는 거예요 기록이 없다는 거예요. 그리고 그 다음서부터는 내가 내과 의사를 지난주에 한 번 봤지 전부 다른 의사들이 내과 의사가 안 나왔습니다. 그래서 다른 의사로 봐야 됩니다.(참여자 17)

    (2) 매번 바뀌는 진료과 의사로 장기 관리가 불가능함

    여기서는 그렇게 나이에 대해서는 확실히 모르잖아요. 밖에서는 내과 그거에 딱 족보가 있어가지고 알지만은 여기서는 그러니까 이제 그래서 나한테 문의를 하는 실정이죠. 여기 담당 이들은 나에 대해서 10%로 모르죠. 그 사람 이 계속 보는 게 아니라 바뀌는 거 아니야 의사들이 이렇게 바꿔주니까 그러니까 가정의학과에서도 보고 피부과에서도 약 타고 가고 막 그러죠.(참여자 12)

    오면서 그러면 불편했던 점을 제가 한번 다시 말씀드리면 의사들이 자꾸 바뀌고. 그러면 이거를 몰라서 계속 의사를 붙잡고 있으니까 한 사람이 막 10분 이렇게 진료를 보니까 시간이 많이 걸리고...(참여자 14)

    4. 진료장소의 불만족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의 진료 장소에 대해 불만족하였다. 야외에서 대기를 하다보니 춥거나 더운 날씨에 힘들어하였고, 대가 장소에서 사람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 때문에 불편하였고, 화장실이 지저분하여 청결하지 못한 환경으로 불편 하였다.

    1) 날씨 때문에 겪는 불편함

    모든 참여자들은 진료 장소가 부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무료 진료소의 대기 장소가 여름에는 너무 더웠고, 겨울에는 너무 추워서 힘들다고 하였다. 또한 비가 오는 날이나 겨울에 눈이 녹을 경우 땅이 질퍽하여 걷기조차 힘들었다.

    (1) 대기하기에 너무 더운 여름

    춥고 더운 것은 더운 건 문제지만 추우면 옷 하나 더 입으면 되죠. 더워서 문제지...(참여자 12)

    (2) 겨울엔 너무 추운 대기 장소

    겨울에는 너무 춥다. 진짜 2022년도 겨울 가는데 더 너무 너무 추웠어요...(중략)...추울 때가 좀 힘든 것 같아.(참 여자 2)

    더울 때는 어디 저 그늘에라도 있고 그러는데 추울 때는 숨을 데가 없잖아요. 여기에서 핫팩도 맨날 안 줘요. 나 핫팩 구경한 지가 뭐. 겨울에 한 몇 번 밖에 구경 못했는데 뭐. 밖에 있는 난로는 사실은 그 밑에 있는 사람만 대가리만 따뜻하지. 대가리만 따뜻해. 왜 그러냐면 그 가스 난로는 밑에 있고 불은 위에 있는데...(중략)...근데 거기 난로 하나에 기껏해야 대여섯 명 밖에 못 붙어 있는데 나머지는 어떻게 하라고. 여름보다 겨울이 더 힘들지. 여름에는 더우면 막 하나 벗고 있음 되지만 겨울에 안 되죠.(참여자 15)

    (3) 비 오는 날 땅이 진창이 되어서 힘듦

    우산 쓰고 서서 기다린 거죠. 또 그리고 여기 진짜 중요한 거 하나 뭐냐 여기가 이제 좀 비가 오면 그냥 막 발이 빠지잖아요.(참여자 12)

    이게 진짜 진탕이야. 완전 갯벌이나 비슷해. 이 학교 운 동장은 대개 물빠짐을 조정을 하게 돼 있는데 여기는 그렇게 안 했던 모양이에요. 아주 진한 진흙탕이요.(참여자 15)

    (4) 겨울에 눈이 녹아도 질퍽함

    겨울에 눈만 많이 와서 녹아도 질 수도 그래요. 그러니 까 그때 보고 내가 아이 밑에 공구리가 쳐졌구나 그걸 느꼈어요.(참여자 12)

    눈 올 때는 괜찮은데 녹을 때가 문제지. 녹을 때는 또 비 올 때나 마찬가지.(참여자 15)

    1) 청결하지 못한 장소로 인한 불편감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의 진료 장소가 청결하지 않다고 느꼈다. 진료를 대기 중이던 사람들이 쓰레기를 버리고 가서 주변이 지저분해져서 참기 힘들었고, 휴지조차 없는 지저분한 화장실에 불만족하였다.

    (1) 대기하던 사람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로 주변이 더러움

    아니 계단에 밑에 버리고 가. 나는 꼭 이거 앉으면 내가 꼭 갈 때는 들어갈 때는 꼭 가지고 와. 이거 사람들이 우리 한국 사람들은 자기 필요할 때만 하고 끝이야.(참여자 12)

    왜 이러냐고 할머니 할아버지 쓰레기를 얼마나 버렸는지. 뭐 깔고 앉은 거 안 가지고 가. 쓰레기를 버려요.(참여 자 13)

    (2) 휴지도 없고 지저분한 화장실

    전 뭐 불편한 거 겨울에 화장실이 다리 아픈데 위로 올라가고 그랬는데 이제 여기 화장실 생겼잖아요. 근데 여기 화장실에 휴지도 없고 지저분해요.(참여자 5)

    여기에 화장실이 없었어요...(중략)...여기서 명동성당 정문까지 나가야 된다고...(중략)...화장실이 없었는데 화장실도 다 잡다 놨지. 그러니까 거기까지 정문까지 나가서 화장실 가려니 얼마나 불편한데. 여기 화장실 생긴 지 는 6개월밖에 안 됐어요. 뭐 지저분하긴 한데...(참여자 13)

    5. 무료 진료소에 대한 앞으로의 기대

    모든 참여자들이 무료 진료소에 진료 순서와 예약 시스템이 불합리하다고 느꼈고, 앞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에 약을 충분히 확보하여 장기 투약이 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하며, 의료진을 충분히 확보하여 다양한 진료과를 도입하고, 대기 시간도 줄여야 한다고 하였다. 대기 시간이 길어서 그 시간을 활용한 건강 교육의 도입하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1) 진료 순서와 예약 시스템의 개선

    모든 참여자들이 무료 진료소에 진료 순서에 대해 선착순으로 진료 순서를 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예약을 길게 해주어 약을 충분히 받아가길 원하였고, 예약을 오지 못할 경우 연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1) 온 순서대로 진료 순서를 정하기

    이해는 하는데 너무 많이 기다리니까 그러니까 오는 순서대로 했으면 좋겠다. 그냥 오는 순서대로 진행했으면 좋겠어요. 그 어느 순서대로 하면은 기다리는 사람도 더 덜하잖아요. 그게 이제 나이 드신 분을 배려하는 거는 이 해는 하겠으나 그게 뭐라 그럴까 능률적이지 않아요. 효과적이지도 않고 왜냐하면 일찍 온 사람들은 마냥 기다려야 되니까 네 그러니까 오는 순서대로 진행을 했으면 좋겠어요.(참여자 7)

    예약은 이제 오면은 순서대로 부르면은 좋겠어요. 제일 문제가 나이 순으로 하는데 그건 사회 통념에도 맞지 않아요.(참여자 15)

    (2) 예약을 길게 해주면 좋겠음

    이제 한 가지 제가 더 말씀드리고 싶은 거는 일주일에 한 번씩을 해주는데 제가 그러지 말고 2주나 3주나 4주나 내 욕심 같은 거는 좀 길게 해 주셨으면...잊어버려요. 또 오고 또 와야 하는데 길게 해주셨으면 조금 좋겠네. 제일 욕심이 있지.(참여자 6)

    (3) 연기가 가능한 예약

    지난주에 빠졌다가 오늘 오면은 해줘야 되는데 지난주에 빠졌으니까 오늘은 예약만 하고 그냥 갔다가 다음 주에는 또 와야 약을 타요. 3주를 거쳐야 약을 타요. 그러니까 그게 조금 노인네들이 한 번씩 나오기가 힘든데 왔다가 또 그냥 가. 지난주에 빠졌어도 이번 주에 오면 약을 주면 되는데 지난주에 빠졌기 때문에 이번 주에 예약만 하고 다음 주에는 또 와야 되니까 3주 만에 약을 차야 돼. 그게 조금 불편한 거 솔직히 그래. 못 오면 예약을 연기 해주고 그러면 좋겠어요.(참여자 10)

    2) 장기 투약을 위한 배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에 약이 충분하게 보급되지 않아 지속적인 투약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오랫동안 기다려도 약을 타지 못하고 집에 가야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약에 따라 처방 일수가 달라서 투약에 어려움을 겪었다.

    (1) 지속적 투약이 가능하도록 넉넉한 약 처방을 원함

    저 같은 경우에는 여기 매주 오는 게 아니거든요. 이게 불규칙적으로 오는데 약이 있으면 안심이 되잖아요. 그래서 그 약을 효과적으로 다 이용할 수 있어요. 근데 가장 불편한 게 이제 고혈압 약인 거예요. 혈압약은 2주 처방을 안 해줘요. 그게 너무 힘든 거예요. 혈압약이 떨어져서 굉장히 불안하고 제가 한번 혈압 관계로 해서 쓰러져서 예전에 몇 년 전에 응급실에 간 일이 있어요.(참여자 7)

    (2) 장기 투약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약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함

    불편한 점은 예약을 2주로 해줄경우 특별한 고혈압 약이나 근육계통 약만 2주 처방을 받고 나머지 피부과 다른 모든 약이 일주일 밖에 못 받아요. 약이 부족하대요. 그런데 이제 그렇게 부족하면서 그러니까 이제 나머지 부분은 그런 공백이 있는 거예요...(중략)...정확히 얘기하면 2주치 약을 제대로 못 받고 있어요. 공백이 있어서 너무 불편 해요. 딱 2주만 나오는 약이 혈압약하고 근육 계통 있잖아요. 근육통 약만 2주지 다른 거는 다 약이 없대요. 그니까 다 1주치 주는 거야. 파스, 눈물 약서부터 감기약 이런 거 다 일주치예요. 다 일주치고 약이 떨어지니까 그러니까 이제 그 나름대로 보완을 해야 되는데 대안이 없는 거잖아 요. 그냥 우리가 돈을 내고 진료를 받으면 우리 권리나 이런 거를 주장을 할 수 있는데 그게 아니잖아요. 주는 대로 받아야 되니까 그래서 이제 그러면 약이 없어서 개선도 됐으면 좋겠어요.(참여자 7)

    3) 다양한 진료과 도입과 의료진 확충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무료 진료소에서 안과, 이비인후과, 치과 등 여러 진료과가 신설되길 바랬다. 거의 모든 과가 있을 수는 없지만 의료진을 확보하여 일부 다양한 진료과가 생기길 기대하였다.

    (1) 안과, 이비인후과, 치과 같은 여러 과의 신설을 희망함

    저는 안과가 있었으면 안과가 여기서 그래도 좀 있어서 제 눈이 백내장인지 거의 안 보이거든요. 오른쪽 눈이 거의 볼 수가 없어요. 실명 상태인데 이렇게 백내장 지연 약 같은 거라도 좀 받았으면 좋겠어요.(참여자 7)

    나는 이제 사실 치아가 지금 거의 다 빠졌어요. 그래서 이제 치과 치료를 좀 받고 싶은데 그 치과는 없더라고. 그 거는 할 수 없죠.(참여자 15)

    (2) 의료진의 확충을 통한 대기 시간 단축

    의사 선생님이 조금 더 이렇게 추가되셨으면은 조금 덜 기다리라든가 그런 건 저희 욕심이죠.(참여자 6)

    약국 안에 세 분인데 약을 조제하는 사람이 적어서 그런 건지 아니면 밖에서 처리하는 사람이 적어서 그런지 모르지만 거기는 또 인원이 더 있어야 될 거예요.(참여자 15)

    4) 대기 시간을 활용한 건강 교육의 도입

    일부 참여자들은 기다리는 동안에 스트레칭이나 건강에 좋은 상식들에 대해 교육을 해주길 희망하였다. 집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배워서 평소에 견강관리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1) 건강 정보 팁의 제공

    스트레칭 같은 거 나는 잘 몸치가 돼서 잘 따라 하지는 못하는데 해주면 좋지. 가벼운 스트레칭 같은 게 나이 먹은 사람들이나 뭐 복잡한 동작을 못 하잖아요. 가벼운 스트레칭 정도로 해야지. 뭐랄까 소통하는 방편으로 건강 정보도 좀 해주고 알려주고 그때 그때 이제 상황에 맞게 무슨 뭐 이런 폭염 때 오늘 폭염주의보 아니요. 이런 때 이런 점에 대해서 이제 유념해라든지 이런 거 정보 같은 거 이런 것 좀 나눠주면 좋죠.(참여자 15)

    논 의

    본 연구는 무료 진료소를 방문하는 질환자들을 대상으로 무료 진료소 방문 경험에 대해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해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 모음인 ‘다양한 경로로 무료 진료소를 방문하게 됨’에서는 ‘다른 이유로 왔다가 알게 됨’, ‘주변의 소개로 찾아옴’으로 두 가지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현재 실태조사를 5년 마다 시행하여, 노숙인 등 집단에 대해 주관적 건강 상태, 주요 질환별 유병률 및 치료 경험 등에 대해 면접조사를 시행하고 있으나, 실태조사가 시행되지 않는 시기의 평가와 모니터링이 어려운 실정이다[26]. 무료 진료소가 운영의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알맞은 의료를 제공하여 이들의 건강권과 생존권의 확보를 통해 소외계층 사람들의 기본적 생활과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 주제 모음인 ‘무료 진료소에서 긍정적인 경험’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을 일정 부분 해결할 수 있음’, ‘우수한 약 효과에 대한 만족감’, ‘친절한 의료진과 봉사자’, ‘접근성이 용이 함’으로 네 가지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무료 진료소를 방문하는 노숙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국민건강보험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이거나 사회적 상실이나 가난과 관련하여 여러 종류의 질병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른 의료 비용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27]. 이들에게 더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시민 단체와 정부의 협력을 통해 건강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이 필요하며, 취약 계층 국민들에 대한 건강권 보장을 위해 사회적, 국가적 규모에서 지원을 늘려나 가야 할 것이다.

    세 번째 주제 모음인 ‘무료 진료소에서 부정적인 경험’에서 는 ‘너무 긴 진료 대기 시간’, ‘지속적인 투약의 어려움’, ‘예약 시스템의 불편함’, ‘서비스 인력에 대한 불편함’, ‘매주 달라지 는 진료진들’으로 다섯 가지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정책 개발 및 법과 제도를 마련해야 하며, 효과적인 시스템을 조직하여 숙련된 인력을 지원하고, 지속적인 연구와 평가를 통해 의료지원의 기능을 개선해야 한다[26]. 현재 노숙인 무료 진료소는 잦은 의료진의 교체, 의료진에 따른 가능한 진료의 한계, 진료기록 미흡 등 무료 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숙인들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신체적 건강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26]. 또한 처방 약과 진료비에 대해 청구하지 않기 때문에 약물에 대한 의약품 적정 사용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들의 무료 진료소 이용에 대한 내용을 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서 확인이 불가능하다[26]. 의료 취약 계층에 대해 본인 부담에 대한 걱정 없이 적절한 일차의료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네 번째 주제 모음인 ‘진료장소의 불만족’에서는 ‘날씨 때문 에 겪는 불편함’, ‘청결하지 못한 장소인한 불편감’으로 두 가지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노숙인복지법’에서 지방자치단체와 국가는 노숙인 등을 위한 의료지원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규정 하였고, 노숙인 등에게는 적절한 의료지원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을 법률로 명시하였다[26]. 이들을 위한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으나, 무료 진료소의 진료환경이 열악하여 추후 정책결정자와 관련된 지역사회 유관기관의 협력을 통해 적절한 의료환경의 개선이 필요할 것 이다.

    다섯 번째 주제 모음인 ‘무료 진료소에 대한 앞으로의 기대’ 에서는 ‘진료순서와 예약시스템의 개선’,, ‘장기 투약을 위한 배려’, ‘다양한 진료과 도입과 의료진 확충’, ‘대기 시간을 활용한 건강 교육의 도입’으로 네 가지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노숙 인 쉼터를 설치하며, 무료 진료, 응급의료 등 의료 지원 대책을 수립하여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하고 있으며, 최근 홈 리스란 용어를 사용하여 부랑인과 노숙인을 구분하지 않고 사회적으로 포괄적인 지원을 하기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27]. 보건복지부가 노숙인의 복지와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노숙인 실태조사에서 노숙인의 음주, 정신질환 유병률 및 치과질환 유병률 등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 노숙인 지원사업에 대한 정책적, 사회적 개선이 필요하다[28]. 건강 상태 변화에 대해 간단한 진단과 약을 처방하는 행위를 넘어서 적극적인 진료와 검사, 여러 가지 건강문제를 포괄적으로 아우른 종합적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자가관리 지원 및 다학제적 진료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26]. 현재 무료 진료소에서의 진료 형태가 일시적인 진료가 아닌 만성 질환에 대한 종합적인 건강 예방 및 증진의 형태로 변해야 하며, 보다 구체적인 사회적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노숙인 등 의료 취약 계층에 대한 의료 지원을 위해 해당 인구집단의 건강 상태와 그와 관련된 요인 및 관련 의료 자원에 대한 평가와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하며,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뿐만 아니라 건강관리에 대한 의료 지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 이번 연구결과 도시빈민들의 무료 진료소의 방문 경험은 ‘무료 진료소에 대한 감사와 불편함,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한 기대’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무료 급식소를 통해 밥 먹으로 왔다가 우연히 알게 되거나, 명동 성당의 천주교 미사 참석 차 왔다가 알게 되어 방문하였고, 무료 진료소를 다니는 친지의 소개를 통해 방문하는 등 무료 진료소에 다양한 계기로 진료를 보게 되었다.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진료비와 약값이 무료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이용 하기도 하였지만, 무료라도 약의 질이 높아 의료 서비스에 만족하였고, 의료진의 친절한 태도에 무료 진료소가 멀더라도 오게 되었다. 무료 진료소에서 일요일에 진료하는 것과 무료 급식소에서 식사도 하고 진료도 볼 수 있고, 접근성이 용이한 교통으로 인해 무료 진료소에서 긍정적인 진료 경험을 하였다. 하지만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서 무료 진료소에서 밥을 먹고 진료를 받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고, 선착순이 아닌 생년월일로 진료 순서를 정하여 불합리하게 느껴졌다. 예약 시스템으로 인해 예약을 못하면 진료를 못 보는 경우가 많았고, 길게 예약을 해주지 않아 매주 약을 받으러 와야 하는 불편함을 겪었다. 매주 진료과 의사가 없거나 바뀌는 진료과 의사로 장기적인 의료관리를 받기 힘들었고, 일부 봉사자와 의사의 불친절한 태도로 배려받지 못한다고 느꼈다. 야외에 설치된 진료 장소는 날씨에 영향을 많이 받아 여름엔 너무 덥고, 겨울엔 너무 추웠으며, 비 오는 날 이나 겨울에 눈이 녹는 날씨에는 땅이 질퍽하여 걷기조차 힘들었다. 이들은 추후 무료 진료소에서 선착순으로 진료 순서를 정해주고, 예약을 길게 해주거나 사정이 있어서 오지 못하는 경우 예약을 연기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충분한 약의 확보를 통해 장기 투약이 가능하도록 배려해주길 원하였고, 다양한 진료과의 도입을 통해 건강 문제에 대해 진료 받고자 하였다. 의료진 확충을 통해 대기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었으면 하였고, 긴 대기 시간을 활용하여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받길 희망하였다. 향후 이들 집단에게 효과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지원을 통한 의료지원체계를 갖추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주요 문제들에 대해 해결해 나가야 하며, 향후 다양한 무료 진료소에 대한 질적연구 및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결 론 및 제 언

    도시빈민은 경제적 문제와 가정 문제로 인해, 또는 노숙생활 그 자체로 건강 위험요인을 가지고 다양한 건강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는 중요한 공중보건학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29]. 이번 무료 진료소를 방문하는 도시 빈민들을 우연한 기회에 무료 진료소를 접하게 되었고, 부담없는 진료비와 약값으로 계속 이용하게 되었지만, 결코 무료라고 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지 않았고, 봉사자와 의료진의 친절한 배려로 무료 진료소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다. 하지만, 의료진의 부족으로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서 힘들었고, 특히 선착순 진료가 아닌 경로 우선 진료로 인해 불합리하다고 느꼈고, 늦게 진료를 보게 될 경우 약이 없어서 빈손으로 집으로 돌아가야 할 때는 무기력하기도 하고 화가 나기도 하였다. 끼니를 제때 해결 하기 힘들어 무료 진료소에서 밥을 먹고 진료를 받고자 하였지만, 대기 시간이 길어서 식사 후 진료를 보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고, 비효율적인 예약 시스템과 약의 불충분한 공급으로 인해 매주 예약을 하여 방문해야만 하였고, 예약 없이는 약이 부족하여 당일 진료를 보지 못하였다. 인력적인 측면에서도 진료과 의사의 부재 및 매주 바뀌는 진료진으로 장기적인 건강관리의 어려움을 겪었고, 일부 불친절한 봉사자와 의사에게 상처 받기도 하였다.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춰지지 않은 진료 환경은 날씨에 영향을 많이 받기도 하였다. 앞으로 무료 진료소에서 진료 순서에 대한 개선과 예약 시스템의 개선, 충분한 의료진과 약 확보를 통해 다양한 진료과 확보 및 장기 투약에 대한 배려, 대기 시간이 단축되기를 희망해본다.

    본 연구는 도시 빈민들의 무료 진료소 방문 경험을 있는 그 대로 기술하여 생생한 경험의 본질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간호사나 의료인의 입장이 아닌 도시 빈민의 관점에서 의료서비스 경험을 이해함은 물론 양질의 간호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바지 할 수 있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으리라 사료 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라파엘나눔 홈리스 클리닉을 방문하는 질환자들을 대상으로 라파엘나눔 홈리스 클리닉 경험에 대해서만 연구하여 다양한 무료 진료소의 이용자들에 대한 접근의 한계가 있어 추후 다양한 무료 진료소와 지역의 특성에 따른 다각적인 접근의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Figures

    T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7)

    The Themes of Urban Poor's Experience of Visiting a Free Homeless Clinic

    References

    1. Park SI, Kim S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functional health of homeless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4):361-370.
    2. Lee AY, Kim JW. The effects of factors related to homelessness experience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n the self-efficacy of the homeles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12;33:21-43.
    3. Kong YK. The residents’ perception on an administrative district and redevelopment in urban squatter settlement: The Case of Anchang Village in Busan. 2011;23(2):48-62.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ment of the results of the 2021 homeless peopl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22 [cited 2023 Mar 24]. Available at: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 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70975
    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study on the effects of COVID-19 on the homeless and Jjok-Bang dwellers, and related support policies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0 [cited 2023 Mar 24]. Available from: http://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49
    6. Lim DY, Hong SW. Impact and policy measures of COVID-19 on homeless people and single-room residents. health and welfare. Issue & Focus. 2021;415:1-14.
    7. Lee EJ. Lived experience of the urban poor living in publicly rented housing in seoul city: Focusing on resident relationships.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2009;36:29-80.
    8. Heo HH, Kim JS, Che XH, Chung HJ. The relationship between marginalization and health inequalities in an urban slum of South Korea: A Qualitative Study.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016;43:5-32.
    9. Crawley J, Kane D, Atkinson-Plato L, Hamilton M, Dobson K, Watson J. Needs of the hidden homeless-no longer hidden: A pilot study. Public Health. 2013;127(7):674-680.
    10. McQuistion HL, Gorroochurn P, Hsu E, Caton C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t homelessness after a first homeless episode.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014;50(5):505-513.
    11. Ku IH, Kim SY. Entrance into homelessness in Korea: cause and proces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12;46(4):264-293.
    12. Han YR, Yoon HS.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system of homeless shelter resi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3):536-552.
    13. Hauff AJ, Secor-Turner M, Homeless health needs: Shelter and health service provider perspective.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4;31(2):103-117.
    14. Lee AY, Kim JW. The effects of factors related to homelessness experience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n the self-efficacy of the homeles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12;33:21-43.
    15. Kim HK, Lee OJ. Lived experience of difficult times for young adult street homeless - application of Parse's human becoming research metho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11;63(2): 31-56.
    16. Downe-Wamboldt B, Ellerton ML. A study of the role of hospice volunteers. Hosp J. 1986;1(4):17-31.
    17. Richards L, Morse JM. Read me first for a user's guide to qualitative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007. p. 21-116.
    18. Morgan DL. Focus groups. Annual Review of Sociology. 1996; 22:129-152.
    19. Morgan DL, Krueger RA. When to use focus groups and wh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3. p. 3-19.
    20. Lee MS, Ko MH, Son HM, Kim JY, Kang SR, Oh SE, et al. Qualitative research. Paju: Soomoonsa; 2017. p. 137-254.
    21. Carey MA, Smith M. Capturing the groupeffect in focus groups: A special concern in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994;4:123-127.
    22. SJ, Kim HJ, Lee KJ, Lee SO. Focus group method. Seoul: Hyunmoon; 2000.
    23. Downe-Wamboldt B.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92;13(3): 313-321.
    24.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5. p. 289-331.
    25.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8(3):27-37.
    26. Yoo WS.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medical support for the homeless and others. Korea Center for City and Environment Research. 2023;123:1-8.
    27. Lee WJ, Hong JP. Disease status of new patients at free homeless clinic in Seoul a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2; 38(1):35-43.
    28. Yoon HS, Kim SJ, Kim HJ.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homelessness governance in Korea - Focused on outreach and happy house.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2018;16(1):149-161.
    29. Seo J, Nam K, Shin W, Kim J, Lee J. The study of master plan of homeless welfare. Urbanity & Poverty. 2013;105:98-125.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