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9 No.2 pp.122-134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24.9.122

Experience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Operators Using the Juingong Gwan Practice

Joo Hyun Kim1, Yeon Jeong Heo2, Hyechan You3, Jong Sook Park4, Guisoon Kim4, Hyojung Ro5
1Emeritus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oen, Korea
2Instructor,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3Director, Hanmaum Science Institute, Anyang, Korea
4Researcher, Hannamu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Anyang, Korea
5Education Program Manager, Hanmaum Science Institute, Anyang, Korea
Corresponding author: Heo, Yeon Jeonghttps://orcid.org/0000-0000-0000-0000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 kangwondaehak-gil, Chuncheon 24341, Korea. Tel: +82-33-250-8880, Fax: +82-33-259-5636, E-mail: far1555@naver.com
May 27, 2024 ; June 16, 2024 ; July 2, 2024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instructors who participated in and operated a parent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Juingong-gwan practice at the H Science Institute,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is program.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instru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at H Science Institute. Data were collected over three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2023.


Results:

Seven main themes were identified from the instructors’ experiences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t the H Science Institute. The main themes include “Participation with various motivations,” “The essense of parent education: team discussions,” “Feeling compassion and responsibility,” “Challenges in creating lectures,” “Realizing the possibility of mutual change,” “Growth and Transformation through instructor and helper roles,” and “Hope to spread awarenes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Juingong-gwan practice at H Science Institute promotes positive changes for both parents and instructors. It also suggests the need for program development, including the use of online platforms, the introduction of step-by-step advanced courses, the provision of follow-up programs, and the expansion of programs that support both teachers and parents.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 운영자의 운영경험

김 주 현1, 허 연 정2, 유 혜 찬3, 박 종 숙4, 김 귀순4, 노 효 정5
1강원대학교 간호대학 명예교수
2강원대학교 간호대학 강사
3한마음과학원 운영위원장
4한나무인성교육연구회 연구원
5한마음과학원 교육팀장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사회가 점차 다원화되고 정보와 지식이 증가하고, 급변하는 경제성장으로 직장생활 및 가사와 자녀양육을 함께 병행해야 하는 맞벌이 부모가 늘어나면서 점차 자녀양육과 교육에 대한 부모의 역할이 가중되었다[1]. 현대사회에 들어와 핵가족, 이혼 가정,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고 있고, 상대적으로 가정 교육이 취약해지고 있으며, 부모도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2]. 가정은 자녀가 태어나고 최초로 경험하는 사회 환경으로, 한 사람의 삶의 태도를 형성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2]. 핵가족화가 가속화되고 소자녀 현상 및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해지면서 최근 아동학대 및 미성년자의 범죄가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부모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3].

    현대사회의 변화로 늘어난 다문화 부모, 한 부모, 맞벌이 부모, 장애 부모 등 다양한 부모의 특성에 맞춘 부모 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 부모 교육의 참여 기회를 확대 및 국가 차원에서의 정책적 지원과 지자체의 관심이 필요하다[1].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가족형태의 다양한 변화는 양육방식과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족의 형태가 바뀌면서 삶의 양식이 변화하고, 현대에 살아가는 부모들은 양육방식에 대한 경험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었다[4]. 부모는 아이를 낳으면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나, 자녀의 성장 과정에 맞춘 바람직한 부모 역할을 수행 하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부모 역할에 대한 요구는 점차 증가되고, 부모의 역할을 배우며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여, 부모의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2].

    부모는 유아의 최초의 교사이며 가장 영향력 있는 교사라고 하였으며, 이미 외국에서는 각기 다른 철학적 배경과 심리학이나 행동 수정 이론 및 정신분석 이론 등을 기초로 하여,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한 목적, 대상, 방법에 따라 여러 유형들로 개발해 오고 있다[5]. 또한 부모는 무한 책임을 지는 양육자이면서, 동시에 최초의 교육자이기 때문에, 한 개인의 성장과 교육에서 부모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그에 따라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6]. 대부분의 부모들은 인터넷에서 양육의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디지털 공간에서 얻는 정보는 여과 없이 무분별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7].

    그러므로 부모로서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부모에게 필요한 정보와 양육에 필요한 기술을 가르쳐주고, 습득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2].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강사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교육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부모 교육이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 가족 지원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8]. 부모 교육은 성인들의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교육 활동으로 부모들의 욕구, 성취동기 등에 의해 프로그램의 효율성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부모의 교육적 요구를 고려하는 것은 필수적이다[9]. 따라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강사들의 경험과 역할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인공 관법에 대한 고찰만 일부 수행되었으며[10-12], 주인공 관법을 사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Kim 등[13]외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을 직접 실시하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경험한 변화, 부모 교육 운영의 어려움, 발전 방안을 탐구하여 부모 교육 프 로그램의 운영 방안 및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 연구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강사들의 프로그램 운영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이들의 경험이 부모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강사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강사들이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과 성취를 중심으로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부모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도출하고, 더 나아가 향후 부모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 운영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Downe-Wamboldt [14]의 질적 내용분석 방법(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2. 연구참여자

    본 연구참여자는 연구의 목적과 의도를 이해하며,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로 자료수집을 위해 모집 공고문을 통해 모집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경험에 대해 사실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으며 연구목적과 의도를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이다.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에 참여한 강사는 총 8명이고 이 중 본 연구에 참여한 사람은 총 6명이었다. 모두 여성이고 기혼이며 연령은 최소 51세 최대 70세로 평균연령은 63.5세이고 평균 자녀 수는 1.7명이며 부모 교육 참여회수는 최소 1회 최대 9회로 평균 5회이며 모두 대학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지고 있다(Table 1).

    3. 자료수집

    모집 공고문은 H과학원의 허락을 구한 후 1주일간 H과학원 1층 게시판에 게시하였다. 자료수집은 대상자가 편한 시간에 약속을 하여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는 조용한 장소에서 1~2회 개인 심층 면담을 시행하고 면담시간은 30~60분정도이었다. 녹음된 면담 내용의 총 분량은 약 5시간이었으며, 이를 필사한 내용은 총 90페이지였다. 면담은 8개의 구조화된 질문으로 진행 하였고, 질문 내용은 첫째,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요?”, 둘째,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후 드는 생각과 느낌은 어떠하였나요?”, 셋째,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 운영으로 무엇이 바뀌었나요?”, 넷째,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 운영 중 발생한 문제는 무엇이 있었나요?”, 다 섯째, “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여섯째,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단점은 무엇이라고 생가하나요?”, 일곱째, “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여덟째,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이었다. 면담 자료의 누락을 방지하고 신빙성 확보를 위해 연구참여자에게 동의를 받고, 녹음기를 사용하여 면담의 시작과 동시에 녹음을 진행하였다. 면담 후 녹음된 내용을 여러 번 반복하여 듣고, 참여자의 언어를 진술한 그대로 필사하고, 필사한 자료를 보면서 녹음 내용을 다시 들어 보고 두 자료의 내용 차이가 있는지 검토한 뒤 참여자에게 확인을 받았다. 자료수집은 연구자가 진행자가 되어, 자기소개를 시작으로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참여자들과 대화를 시작하고, 현장노트를 작성하여 비언어적 특이성과 현장 분위기를 기록하였다.

    4. 연구현장

    1) H과학원의 특성

    H과학원은 대행 선사(大行 禪師, 1927-2012)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과학적인 연구와 교육을 실시하여 마음 수행을 통해 인류의 평화와 행복을 추구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대행 선사는 한국 불교의 큰 스승이자 수행자였던 대행 스님을 가리키는 존칭이다. 대행 선사는 한마음선원을 창립하고, ‘주인공(主人空) 관법(觀法)’이라는 수행법을 제시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마음 수행과 생활 속 실천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대행 선사의 가르침은 스스로 마음의 주인임을 자각하고 관법을 활용해서 내면의 평화와 행복을 추구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르침을 토대로 H과학원은 여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그 중 부모 교육에서는 부모와 자녀, 가족 간의 소통과 공감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H과학원은 2018년 부터 A시의 지원을 받아 매년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으며, 다양한 배경의 부모들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2) 주인공 관법의 특징

    H과학원의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주인공 관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모들이 스스로 마음을 자각하며 자녀 양육에 필요한 가치관과 방법을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교육을 통해 부모들은 자신을 성찰하고 자아존중감을 회복하며, 자녀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부모들이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감정을 조절하는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보다 더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녀들은 심리적 안정을 얻고, 부모와의 신뢰 관계가 강화되어 인성 발달과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3) 부모 교육 프로그램

    H과학원의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2023년 5월 2일부터 6월 20일까지 총 10차시로 구성되었으며, 각 차시는 3시간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차시(5월 2일)에서는 ‘괜찮아(수용하기)’라는 주제로 부모 역할에 대한 고민을 경청하고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두 번째 차시(5월 9일)에는 ‘다그치지 말아요(무의식 이해하기)’를 주제로, 부모가 자신의 어린 시절에 형성된 무의식의 영향을 이해하고 자녀를 존중하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세 번째 차시(5월 16일)에서는 ‘평가하지 말아요(마음 자각하기)’라는 주제로, 부모 역할과 인간으로서의 나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 성찰하는 시간을 가졌다. 네 번째 차시(5월 23일)에서는 ‘부부가 행복해야 자녀가 행복하다’ 라는 주제로, 부부 갈등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다섯 번째 차시(5월 30일)에는 ‘쉼(관계의 통찰)’이라는 주제로, 가족을 향한 나의 잣대를 파악하는 시간을 가졌다. 여섯 번째 차시(5월 30일 오후)에서는 '걷기 명상'을 주제로, 자연에서 걷기 명상을 하며 마음을 치유하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일곱 번째 차시(6월 6일)에는 ‘우리, 안아줘요(건강한 가족)’라는 주제로,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시간을 가졌다. 여덟 번째 차시(6월 13일)에는 ‘고맙습니다(부모 역할 자각)’라는 주제로, 현재 부모 역할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성찰하였다. 아홉 번째 차시(6월 20일 오전)에는 ‘내 안의 꽃을 피워요(성찰과 비전)’ 라는 주제로, 자녀와 지혜롭게 소통하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마지막 열 번째 차시(6월 20일 오후)에는 ‘행복한 부모의 길’이라는 주제로, 교육 기간 동안 일어난 성찰과 마음 치유, 부모 역할의 경험에 대한 자기 정리 시간을 가지며, 소감 나누기와 설문 작성 및 수료식을 진행하였다.

    5. 자료분석

    자료분석은 Downe-Wamboldt [14]의 질적 내용 분석방법 (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은 신뢰성 있는 추론을 하기 위한 체계적, 객관적인 수단을 제공하고, 의사소통 상황이나 내용의 문맥을 범주화하여 현상에 대해 타당한 추론을 끌어내는 방법이다[14]. 본 연구에서는 질적 내용 분석방법을 선택하여 연구의 목적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이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강사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그들이 겪은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질적 내용 분석방법은 강사들이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상황과 감정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이해를 통해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강사들의 경험을 질적 내용 분석방법을 통해 탐색하고, 이들의 경험이 부모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Downe-Wamboldt [14]의 질적 내용 분석방법의 8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단위의 선정, 둘째, 초기 범주 생성 및 정의화, 셋째, 범주 정의 및 규칙의 사전 검사, 넷째, 신뢰도와 타당도 사정, 다섯째, 필요할 경우 코딩 규칙의 수정, 여섯째, 수정한 범주 사전 검사, 일곱째, 전체 자료의 코딩화 및 주제 도출, 여덟째, 신뢰도와 타당도 재확인이다. 연구 엄밀성 확보를 위하여 Lincoln과 Guba [15] 그리고 Sandelowski [16]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신뢰성과 적합성, 감사 가능성, 확인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6.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

    Sandelowski [16]이 제시한 질적 평가 기준에 따라 신뢰성, 적합성, 감사 가능성, 확인 가능성을 확인하여 연구의 엄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자료는 면담하면서 녹음하였으며, 녹음된 내용은 클로바노트 앱 프로그램을 통해 문서화 하였고 녹음된 내용을 반복하여 여러 번 청취 후 문서화의 오류를 수정하였다. 정보에 대한 생생한 느낌을 유지하기 위해 면담한 당일 문서화 하였으며, 모호하거나 보완이 필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추가 면담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사한 내용을 여러 번 검토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일부 연구참여자에게 면담 자료와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고, 자신들의 경험을 왜곡 없이 잘 드러내고 있는지 확인을 받았다. 전이가능성을 확보하고자 연구참여자 6명을 면담 후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추가 면담을 실시하고, 참여자의 경험적 증거들을 가능한 풍부하게 제시하려고 노력하였다. 감사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과정은 수행한 바대로 상세하게 기술하고, 연구참여자의 진술문을 그대로 인용하였다. 확인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자료수집과 분석 과정에서 연구참여자에 대해 중립적이고 무비판적인 태도로 선입견을 차단한 상태에서 경청하였고 연구가 끝날 때까지 연구자의 가정과 선입견에 대해 지속적으로 성찰하였다.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해석과 분석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숙련된 질적연구를 수행해 온 질적연구 전문가에게 확인받았다.

    7. 연구자 준비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 중 주저자와 교신저자는 다수의 질적연구를 진행하고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질적연구방법론 강의를 통해서 면담기법과 질적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훈련받았다.

    8.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 K대학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KWNUIRB-2023-04-003-001)를 거쳤다. 연구참여자로부터 서면 동의서를 받기 전에 연구목적과 연구 과정, 기대되는 이익과 위험성, 면담 내용의 현장 녹음, 연구자료의 비밀 보장과 자료의 정보보호 및 폐기 절차 등 을 설명하였다. 연구참여에 동의하였더라도 연구 중도 철회가 가능함을 알렸다. 또한 연구참여자에게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들만 접근할 수 있으며, 연구자료로만 이용되고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에서 연구참여자의 이름 대신 참여자 번호를 사용하고 익명을 유지하였다. 서면 동의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사용하게 되며 수집된 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적절하게 관리하며 3년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폐기할 것이다. 녹음파일의 경우 코드화하여 담당 연구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담당 연구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3년 간 보관 후 음원 삭제할 것이다.

    연 구 결 과

    이번 연구결과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강사로서 참여하여 운영했던 경험은 ‘부모와 강사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기회’로 도출되었다.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강사로서 참여하여 운영했던 경험을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7개의 주제와 24개의 하위 주제가 나타났다(Table 2). 첫 번째 주제인 ‘다양한 동기로 참여하게 됨’은 참여자들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강사로 참여하게 된 다양한 이유를 설명한다. 두 번째 주제인 ‘부모 교육의 백미는 팀 토론’에서는 참여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팀 토론의 장점에 대해 다룬다. 세 번째 주제인 ‘연민과 책임감을 느낌’은 교육 수강생들이 겪는 안타까운 상황과 도와주고 싶은 마음을 나타낸다. 네 번째 주제인 ‘도전과 같았던 강의안 만들기’는 강의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다룬다. 다섯 번째 주제인 ‘상호 변화가 가능함을 깨달음’은 교육생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함께 변화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섯 번째 주제인 ‘강사와 도우미 역할을 하며 변화하고 성장’은 강사들 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도 변화하고 성장하는 경험을 다룬다. 일곱 번째 주제인 ‘널리 알리고픈 마음’은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나타낸다.

    주제 1. 다양한 동기로 참여

    본 연구에 참여한 강사들은 다양한 계기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첫째, 퇴직 후 스님의 권유를 받아 참여한 경우가 있었다. 퇴직 후 새로운 활동을 찾던 중, 스님의 제안으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동참하게 된 것이다. 둘째, 부모 교육 책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참여하게 된 경우도 있었다. 교재 편집 작업을 하면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고 참여하게 되었다. 셋째, 자녀와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지혜로운 부모 역할을 배우고자 참여한 경우가 있었다. 사춘기 자녀와의 갈등을 겪으며, 더 나은 부모가 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자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 담당자로서 자연스럽게 참여하게 된 경우도 있었다. 다양한 교육 활동에 참여하다 보니 부모 교육 과정에도 자연스럽게 참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계기를 통해 강사들은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각자의 배경과 동기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하위주제 1. 퇴직 후 참여 권유를 받아서 참여

    퇴직하고 있을 때 스님께서 학교에서 부모 교육 많이 해봤을 텐데 그 경험을 살려서 여기 와서 한번 해보면 어떻겠냐고 그렇게 말씀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참여하게 됐는데...(참여자 1)

    하위주제 2. 교재를 만들다가 참여

    그때 당시에 학부모 프로젝트라는 부모 교육 책자가 있었는데 그 책자를 만들기 위해서 준비하는 과정에서 저희가 과학원에서 이미 만들어준 초안 그 교재를 문장을 수정을 하고 전체 편집 과정에서 저희 의견을 첨가하면서 이런 모임을 여러 번 가졌었습니다. 이제 그때부터 시작이 된 것 같아요.(참여자 6)

    하위주제 3. 자녀와 부딪치면서 지혜로운 부모가 되고 싶어서 참여

    제가 두 자녀를 키우고 있는데요. 그 아이들이 사춘기 에 접어들면서 서로 이제 부딪히고 하는 부분들이 참 많았는데 부모의 입장에서는 아이들이 잘 되라고 했던 얘기가 그런 행동과 그런 말들이 오히려 갈등이 더 깊어지고 또 골만 더 깊어지는 것 같아서 그러면 진정 부모의 지혜로운 부모의 역할이란 무엇인가 정말 고민하고 궁금하기도 하고 배우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참여하게 됐습니다.(참여자 3)

    하위주제 4. 교육 담당으로 자연스럽게 참여

    교육에 여러 가지 동참하고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부모 교육 과정을 할 때도 같이 하게 되었어요.(참여자 2)

    주제 2. 부모 교육의 백미는 팀 토론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서 팀 토론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팀 토론을 통해 부모들은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며 스스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고, 자연스럽게 변화를 느끼게 되었다.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큰 가르침을 얻고, 새로운 해결 방법을 알게 되며, 부모님과 조부모님의 심정까지도 이해할 수 있었다. 이처럼 팀 토론은 부모들이 서로 배우고 성장하며 가정 내 관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생각하였다.

    하위주제 1. 팀 토론의 중요한 역할

    같은 주제를 가지고 이게 토론을 하는 팀 토론이 굉장히 큰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여러 사람들이 같은 주제에서 다른 경험을 서로 이렇게 공유하면서 그 속에서 자기 스스로 해법을 찾아가는 거 그게 참 좋은 장점인 것 같고요.(참여자 4)

    하위주제 2. 스스로 변화하도록 유도

    너무 깊숙이 말고 스스로 이런 주변 사람 팀 토론 얘기 할 때 이렇게 들으면서 스스로 느끼고 변화하게 해줘야지 그 사람을 코너로 몰면 안 되는 것 같다는 생각이...-(중 략)- 아무튼 그 사람은 참 자기 얘기하는 걸 즐거워했었는 데 자기의 문제점을 딱 스스로 알고 있기는 해서 내가 바뀌어야 되는 데까지는 그 사람도 가고 있었는데 그걸 그냥 코너로 확 몰아버리니까 안 나오는 것 같아요.(참여자 4)

    하위주제 3.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큰 가르침을 얻음

    다른 여기 수강생 분들의 이야기를 들은 게 너무나도 큰 정말 중요한 강의와도 같았고요. 정말 큰 가르침이었다고 생각해서 감사한 마음입니다.(참여자 2)

    하위주제 4. 팀 토론을 통해 새로운 해결 방법을 알게 됨

    그러니까는 저런 해결 방법도 있구나 저렇게 다르게 볼 수도 있구나 그러면서 이제 내가 진작에 알았더라면 좀 덜 싸우고 편안하게 살았을걸... 자녀하고든 배우자하고든 그런 생각많이 하고 그래도 지금이라도 배워서 손주한테라도 적용을 해 볼 수 있으니 천만 다행이다 하는 생각을 하죠.(참여자 4)

    하위주제 5. 팀 토론을 하며 조부모의 심정까지 이해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에 대한 생각까지도 자꾸 이제 반복해서 이거를 몇 년을 하다 보니까 자꾸 그 관점이 제 주장이 아니라 그분들 입장도 더 돼 보고 또 이렇게 바꿔서 생각해 보고요.(참여자 2)

    주제 3. 연민과 책임감을 느낌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교육 프로그램 도중 여러 상황에서 연민과 책임감을 느꼈다. 점심시간을 넘어서 끝나다 보니 멀리서 온 사람들이 배고픈 상태로 집에 돌아가야 하는 상황을 안타까워했다. 예산 부족으로 인해 점심을 제공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아쉬움을 느끼며, 점심 제공이 가능해지기를 바랐다. 또한, 토론 중에 개인적인 문제에 깊이 다가가게 되면 중도 탈락자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도우미가 지나치게 관여할 경우 참가자들이 부담을 느껴 중도에 그만두는 경우가 많았고, 자신의 문제가 노출되면 프로그램을 떠나는 사례도 있었다. 이와 함께, 강사들의 토론 기술과 역량을 향상시킬 필요성도 강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참여자들은 참가자들에 대한 깊은 연민과 책임감을 느끼며,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하위주제 1. 식사를 챙겨주지 못해 안쓰러움

    아침에 9시 10시 밖에는 어차피 할 수 없는데 수업이 끝나고 나면 12시 반 이렇게 됐는데 멀리서 오신 분을 생각하면 배고픈 상태로 또 집을 가야 되니까 그게 좀 안쓰러웠어요.(참여자 4)

    하위 주제 2. 강사들의 토론 기술과 역량 향상이 필요함

    그냥 듣는 편이었죠. 주로 상대 얘기를 듣고 그래요, 그래요 그냥 그 정도 하고 적극적으로 하지를 않았어요. 근데 그것이 내가 하는 방식이 좋은 것도건 또 아닌 것 같아요. 네 네 만 하고 끄떡끄떡만 하는 게 또 좋은 것도 아닌 것 같고 수위 조절을 해야 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요...(참여자 4)

    주제 4. 도전과 같았던 강의안 만들기

    본 연구참여자들은 강의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처음 강의를 준비할 때는 다른 사람의 수업을 참고할 기회가 없어 강의의 흐름을 잡는 것이 매우 힘들었고, 수강생들이 강의를 별로라고 생각하여 참여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으로 많은 부담을 느꼈다. 또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강의안을 작성하는 것도 도전적인 과제였다. 직접 경험을 바탕으로 강의를 준비하면서 많은 공부가 되었지만, 그 과정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더불어, 연령대가 다양한 수강생들을 고려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40대에서 8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강의를 준비하면서 어느 연령대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 고민이 많았다.

    하위주제 1. 적절한 강의안 작성의 어려움

    처음 하는 거라 다른 사람 수업을 하는 걸 한 번도 본 적이 없어서 그 흐름 잡기가 굉장히 힘들었어요. 그래서 처음 처음에 하면서 혹시 내 강의를 듣고 다른 사람들이 이 강의 별로다 이런 생각을 하고 안 들어오면 어쩔까 막 이런 고민 때문에 정말 많이 힘들었어요.(다른) 사람들 거 막 찾아오고 저 나름대로 노력을 좀 했어요.(참여자 1)

    하위주제 2.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강의안을 작성

    제가 강사로서 참여해 보니까 직접 이제 경험을 바탕으로 강의를 준비하다 보니까 참 제 공부가 많이 된 것 같았어요.(참여자 3)

    하위주제 3. 연령대가 다양한 수강생들로 인한 어려움

    처음에는(부모 교육 참여하는)사람들도 그 층이 또 40대에서부터 80대까지 이렇게 골고루잖아요. 근데 학교에서 하는 거는 층이 고정돼 있으니까 그 사람들만 하는 건데 이 폭이 넓어지니까 어디다 포커스를 두고 해야 될지 그게 또 참 난감하더라고요.(참여자 1)

    주제 5. 상호 변화가 가능함을 깨달음

    본 연구참여자들은 교육생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함께 변화 해가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성실하게 참여한 교육생들은 많은 것을 얻었고, 소극적인 교육생들은 그만큼 적은 성과를 얻었다. 한 교육생은 자신을 변화시키며 주변에 감동을 주기도 했다. 또한, 각 팀의 도우미와 스님의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교육 생들은 궁금한 점을 해결하고, 공동으로 문제를 풀어나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육생들이 서로 돕고 변화하며 긍정적인 성장을 이루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하위주제 1. 적극적인 참여가 풍성한 수확을 가져옴

    몇 번을 경험을 했는데 계속 자기 점검을 하라 그러니까 쓰는 거 자체가 자기 점검인데 자기를 객관화시켜서 계속 보면서 여기서 써내야 되는 대로 성실하게 쓰는 사람들은 굉장히 많은 걸 찾아 가더라고요.(참여자 4)

    하위주제 2.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함께 해결

    팀별로 다 도우미가 있어서 팀마다 이제 그때그때 해결도 하고 또 거기서 해결 못하면 스님과 주최 측과 이렇게 논의를 해서 빨리빨리 해결을 볼 수 있는 거 그 다음에 이 번에 새로 생긴 거기는 하지만 스님의 질의응답 시간이 있었던 게 평소에 궁금했던 것도 같이 풀어가면서 굉장히 좋았던 것 같아요.(참여자 4)

    주제 6. 강사와 도우미 역할을 하며 변화하고 성장

    본 연구참여자들은 강사로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신이 변화하는 모습을 경험했다. 교육생들이 성실하게 참여해 많은 것을 얻고, 소극적인 교육생들이 점차 변해가는 과정을 지켜보고, 각 팀의 도우미와 스님의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교육생들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도우면서 강사들 역시 많은 것을 배웠고 변화하고 긍정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하위주제 1. 상대방의 입장에서 다시 생각하게 됨

    그냥 배운 거가 그러니까 상대 입장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긍정적으로 생각해 보는 거죠. 그러다 보니까 잔소리가 줄어들고 제 입장에서 한 번 말을 던져주고 그러면서 싸움거리가 줄어드는, 거리가 좀 좁혀지는, 그런 느낌이 드는 거 진짜예요.(참여자 4)

    하위주제 2. 사람마다 다른 해결 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인정 하게 됨

    이제 자녀가 제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을 하더라도 일단 너도 생각이 있을 거야 생각이 있어서 그랬겠지라는 믿는 마음으로 일단 인정해 주는 마음으로 이렇게 자녀의 마음을 이렇게 들어주려고 하는 자세로 쟤는 왜 그랬을까라는 그 의도를 생각해 보려고 애를 씁니다. 그래서 제가 원하는 방향이 아니더라도...(참여자 6)

    하위주제 3. 남의 문제가 곧 나의 문제임을 깨달음

    모든 사람이 같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문제라는 거를 알면서 이게 상당히 안도가 되었던 그런 것들이 있었어요.(참여자 4)

    아들하고 대화할 때 자꾸 그 염려되는 마음 때문에 저도 모르게 제 생각을 강요하려는 경향이 있거든요. 굉장히 강사로서 부끄럽지만 그런데 이제 여기서 강의를 하고 또 저도 학생처럼 다른 분들 강의를 들으면서 같이 앉아서 공부하다 보면 말하자면 자꾸 저를 스스로 이제 돌아보게 되는 거예요.(참여자 2)

    하위주제 4. 마음 공부를 더 깊이 하게 됨

    제 의식의 한 부분을 느끼게 되고 또 바꾸게 되는 계기를 가졌습니다. 교육 중에 나온 어느 학자가 ‘성공하는 사람의 특성 중에 가장 1위로 차지하는 게 모든 사람을 다 존중하는 거다’ 라는 말씀을 듣고 정말 모든 사람을 다 존중 하는가 하고 내 마음을 살펴보니까 그렇지 못하더라고요. 그래서 되도록이면은 하루 생활하면서 모든 사람을 다 존중하자라는 마음가짐을 갖게 됐습니다.(참여자 5)

    주제 7. 널리 알리고픈 마음

    본 연구참여자들은 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닿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몇 가지 방안을 고려했으면 하였다. 온라인 플랫폼과 동영상 프로그램을 통해 멀리 있는 사람들도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저녁 시간대 프로그램을 마련해 젊은 부모들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단계별 심화 과정을 도입해 기초부터 고급까지 수준별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고, 교육 후에도 참여자들이 소통하고 학습을 이어갈 수 있도록 온라인 커뮤니티나 후속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와 학부모를 돕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부모, 교사, 아이들이 서로를 더 잘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유익한 교육 환경이 되길 희망하였다.

    하위주제 1.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함

    그냥 멀리 있는 사람들도 요새 세상이 바뀌어서 이렇게 줌으로도 다 하고 있으니까 팀 토론이라는 것도 대학에서 보면 60명 70명도 다 한 교실 안에서 다 듣는다고 하니 그러니까 팀 토론도 가능할 것 같고 그래서 좀 워킹맘들이 많고 그런데 온라인으로도 좀 교육을 해서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략)- 해외에서도 할 수 있고 제주도에서도... 요새는 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은 것 같은데...(참여자 4)

    하위주제 2. 단계별 프로그램의 필요성

    이 프로그램이 딱 일회성으로 끝나잖아요. 근데 일회성이 아니라 oo 과정처럼 이렇게 심화돼 있어 갖고 좀 다른 단계를 조금 맨날 했던 것보다 단계를 높여서 나갈 수 있다면 더 좋은 프로그램이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참여자 1)

    하위주제 3. 프로그램 이후에도 상호작용을 지속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어떤 형식으로든 가능하면은 이 교육이 현 1년에 한 번 있는데 아까 말한 대로 이제 일반 교육을 받은 후에도 뭔가 그분들끼리라도 온라인에서 어떠한 걸 연락을 해서 서로 이 공부를 계속 이제 이어갈 수 있게 어떤 도움을 줄 수도 있지 않나 굳이 이제 그런 욕심까지도 내보긴 합니다. (참여자 2)

    하위주제 4. 교사와 학부모를 돕는 프로그램으로 발전

    요새 부모님들도 힘들고 아이들도 힘들다 그러고 요새 학교 교사들도 힘들다. 그래서 정말로 각자가 자기 마음부터 보고 치유를 해가고 서로 조금 더 이해하고 도왔으면 싶은 마음이 너무 간절해요. 그래서 학부모 교사 아이들이 조금 조금 더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앞으로도 저도 뭐라도 도와드리고 싶고 우리 과학원도 뭐라도 더 돕는 그런 방향으로 이 교육이 이루어져야겠다. 부모님대로 힘들잖아요. 근데 애들은 또 애들대로 그렇게 부모님들은 완전히 또 서로 조금씩만 도우면 될 것 같은데 왜냐하면 사실은 많은 교사들도 결국은 부모님들이시잖아요. 부모도 또 부모의 자녀들이고 자기도 그렇죠...(참여자 2)

    논 의

    본 연구는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강사로서 참여하여 운영했던 경험에 대해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7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고,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해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들이 자신과 자녀의 관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마음의 평화를 찾으며, 자녀 양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얻도록 돕는다[17,18]. 주인공 관법은 부모들이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자녀와의 관계에서 겪는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17,18]. 이러한 관법을 바탕으로 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들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며, 자녀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17,18]. 이 연구는 기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과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부모와 강사의 상호작용과 변화, 그리고 프로그램 운영의 실질적 어려움과 개선 방안에 중점을 두었다.

    첫 번째 주제 모음은 ‘다양한 동기로 참여’이다. 연구참여자들은 다양한 이유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퇴직 후 권유, 교재 제작 과정, 자녀와의 갈등 해결 등 다양한 동기가 있었다. 부모 교육에 참여하는 부모들은 각자의 고유한 동기와 욕구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제공자의 목적을 위해 참여하는 것이 아니다[6]. 성인 학습자는 학습의 욕구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본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교육 내용과 방법이 우수하더라도 이를 뒷받침하는 운영 체계, 시설, 비용 등이 만족스럽지 않으면 참여를 포기하거나 불만을 가질 수 있다[6]. 따라서 부모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할 때 이러한 성인 학습자의 다양한 욕구를 잘 파악하여 교육 운영 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이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한 배경의 부모들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즉, 프로그램의 내용과 형식이 부모들의 다양한 요구와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프로그램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시간적, 경제적 제약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다양한 부모들의 배경을 이해하고, 그들의 필요와 기대에 부응하는 맞춤형 교육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접근성과 효과 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부모들이 보다 쉽게 접근하고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주제 모음은 ‘부모 교육의 백미는 팀 토론’이다. 참여자들은 팀 토론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고 문제 해결 방법을 찾으며 자연스럽게 변화를 느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Kim [9]의 연구에서 부모 교육 형태에 대해 가장 선호하는 것은 강연회나 강습회였으며, 그 다음으로 가정 통신문, 집단 상담으로 나타나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전문가를 통한 강연회를 통한 지식 습득을 많은 부모들이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팀 토론을 통해 부모들이 상호 학습하고, 지지를 얻는 과정에서 자아를 성찰하고 성장할 수 있다는 점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장점으로 강조되었다. 팀 토론은 부모들이 서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프로그램 설계 시 팀 토론의 중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토론 수업의 장점으로 논리적 사고의 전개, 자기표현 및 주장 능력의 향상, 그리고 타인의 의견을 경청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등이 포함된다[19]. 팀 토론을 통해 부모들은 자신의 경험을 다른 부모들과 공유하며, 유사한 경험을 겪은 다른 부모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새로운 시각과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부모들이 자녀 양육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고, 더 나은 양육 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팀 토론은 부모들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여,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지속적인 지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부모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느낌을 주어,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큰 힘이 된다. 따라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팀 토론의 구조와 내용을 세심하게 계획하고, 이를 통해 부모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 번째 주제 모음은 ‘연민과 책임감을 느낌’이다. 연구참여자들은 도우미로서 토론 중에 지나치게 관여하면 참가자들이 부담을 느껴 중도에 그만두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Nam과 Jeong [1]의 연구에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보다 실질적이고 세심한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서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균형이 중요하며, 추후 프로그램 운영 시 참가자들의 편의를 고려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이는 부모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고유한 방법과 가치를 인정 하면서도, 그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기술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성을 존중하는 접근은 부모들이 스스로 학습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주체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돕는다. 동시에, 프로그램 운영자는 부모들이 교육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세심한 배려는 부모들이 교육 프로그램에 더 쉽게 접근하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여, 궁극적으로 자녀 양육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한정된 예산으로 인해 프로그램 후 점심식사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 황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참가자들에게 추가적인 지원이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네 번째 주제 모음은 ‘도전과 같았던 강의안 만들기’이다. 강사들은 주제에 맞는 적절한 강의안을 만드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다양한 연령대의 수강생을 고려해야 하는 도전도 있었다. 부모 교육은 현장에서 학부모 요구에 맞지 않는 내용으로 실시되는 경우가 많아, 현재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부모 교육에 대한 엄밀한 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제작되어 활용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2]. 또한 본 연구에서 부모 교육 강사들은 프로그램 내용 준비에서의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수와 자료 제공의 필요성을 자주 언급하였다. 이는 강사들이 효과적으로 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습득하고, 최신 교육 방법론과 내용을 반영한 강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양한 연령대와 배경을 가진 수강생들이 참여하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수강생들의 개별적인 필요와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자료가 필수적이다.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요구는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각기 다른 연령대의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적합한 교육 내용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한 연수 프로그램은 강사들이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연수 프로그램은 강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미리 경험하고 대처 방법을 학습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모의 수업, 사례 연구, 그룹 토론 등의 방법을 통해 강사들은 다양한 교육 기법을 체득할 수 있으며,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강사들이 보다 효과적인 강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정기적인 연수 프로그램 제공, 최신 교육 자료와 연구결과의 공유, 동료 간의 피드백 및 협력 기회를 포함한다. 또한, 강사들이 교육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멘토링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개별적인 상담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지원 시스템은 강사들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고, 궁극적으로 부모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섯 번째 주제 모음은‘상호 변화가 가능함을 깨달음’이다. 교육생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함께 변화해가는 모습을 지켜보며, 성실하게 참여한 교육생들은 많은 것을 얻었고 소극적인 교육생들은 적은 성과를 얻었다. 교육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며[6],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정도가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5]. 부모들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려는 노력을 통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교육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부모들의 다양한 배경, 문화, 경험, 그리고 자녀 양육에 대한 각기 다른 접근 방식을 존중하고, 이들이 직면한 실제 문제와 요구를 반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들이 자녀 양육에서 겪는 어려움과 도전 과제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도움과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부모들이 교육 과정에서 자신의 경험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다른 부모들의 경험과 지혜를 배울 수 있는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에서는 이미 활용하고 있는 팀 토론과 같은 소그룹 토론 외에도, 사례 연구, 역할 연기 등의 참여형 학습 방법 도입을 고려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부모들이 프로그램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강사들은 부모 교육 프로그램 중 질의응답시간을 통해 문제들을 같이 해결해 나가고 있다고 하였으므로 부모들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질문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보다 충분히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여섯 번째 주제 모음은 ‘강사와 도우미 역할을 하며 변화하고 성장’이다. 연구참여자들은 강사로서, 그리고 도우미로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신도 함께 성장하고 변화하는 모습을 경험하였다. Kim과 Jeong [8]는 부모 교육 운영자의 관심정도와 참여에 따라서 부모 교육의 성패가 결정되며, 교사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강사들이 교육 프로그램에서 얻는 성장은 교육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추후 강사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피드백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강사들이 최신 교육 방법론과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연수 프로그램은 이론적 교육뿐만 아니라 실제 사례 기반의 워크숍, 시뮬레이션, 피드백 세션 등을 포함하여 강사들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강사들 간의 상호 협력과 피드백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강사 회의나 토론회를 개최하여 강사들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문제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강사들이 자신의 강의 방법을 개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강사들에게는 개별적인 피드백과 멘토링도 제공되어야 한다. 경험이 풍부한 선임 강사가 후배 강사들을 지도하고, 그들이 강의 중에 직면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멘토링 시스템은 강사들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통해 강사들은 자신의 강의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받고, 필요한 개선 사항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강사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자료와 연구결과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최신 교육 연구와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강사들은 교육 현장의 변화와 발전에 발맞춰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지원은 강사들이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습 자들에게 더 나은 교육 경험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일곱 번째 주제 모음은 ‘널리 알리고픈 마음’이다. 참여자들은 온라인 플랫폼과 동영상 프로그램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단계별 심화 과정을 도입하고 후속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Nam과 Jeong [1]의 연구에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법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효율적인 부모 교육의 실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예산 확보를 통한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더 많은 부모들이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교육 예산은 프로그램 개발뿐만 아니라 강사 교육, 교육 자료 제작, 홍보 및 운영비용 등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교육 예산은 프로그램 개발뿐만 아니라 강사 교육, 교육 자료 제작, 홍보 및 운영비용 등을 포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 지자체, 기업, 비영리 단체 등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예산 확보는 프로그램의 안정적 운영을 보장하고, 더 많은 부모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부모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지역 내 부모들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장을 마련하여, 부모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부모들이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오프라인 교육뿐만 아니라, 온라인 강의, 웹 세미나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교육 방법을 도입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특히 직장인 부모나 원거리 거주 부모들을 위한 유연한 교육 일정과 접근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접근성과 효과성을 높여, 더 많은 부모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자녀 양육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참여자들은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를 개선하고, 부모로서의 역할을 더욱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음을 느꼈다. 또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전과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향후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는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강사로서 참여하여 운영했던 경험을 개인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내용 분석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와 강사 모두에게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팀 토론의 중요성, 강의안 준비의 어려움, 교육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변화를 통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목격하였다. 본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들이 자녀와의 관계를 개선하고, 자신의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교육 활동임을 재확인하였다.

    향후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온라인 플랫폼과 동영상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교육 방식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온라인 플랫폼과 동영상 프로그램은 팀 토론을 통한 개인의 깨달음을 보장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이는 기존의 오프라인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상에서도 효과적인 토론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참가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전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단계별 심화 과정 도입을 통해 기초부터 고급까지 단계별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각 단계별로 참가자들의 수준과 필요에 맞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의 깊이와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는 부모들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셋째, 후속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교육 후에도 참여 자들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나 후속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는 교육의 일회성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지원과 학습의 장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교사와 학부모를 돕는 프로그램으로 확장하여 부모, 교사, 아이들이 서로를 더 잘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교사와 학부모를 돕는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점이 있다. 주인공 관법은 부모들이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자녀와의 관계에서 겪는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독특한 접근 법이다. 이는 부모들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며, 자녀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 이러한 차별성을 강조하여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더 많은 부모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주인공 관법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와 강사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기회임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전과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 요하며, 이를 통해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활성화에 기여하고, 더 많은 부모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Figures

    Tables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Themes and Sub-themes of This Study

    References

    1. Nam JY, Jeong HW. Operational condition, needs and activation pla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in the home daycare center.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6;21(2):29-53. Available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006610
    2. Lee JJ, Lee JY. Research trends on parent educ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4;15(2):943-967. Available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122885
    3. Kim GS. Current development statu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an analysis of the program. Journal of Parent Education. 2017;9(4):273-292. Available from: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1018
    4. Ryu SM, Lee YS, Lee SM, Chung KS. A Comparative Study on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its Implementation. Institute for Huma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2014;34:365-397. Available from: https://m.riss.kr/search/detail/ssoSkipDetailView.do? 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ddfab933c00b0fd0ffe0bdc3ef48d419#redirect
    5. Hwang HJ, Kim HS. participation and recognition of parents regarding to the education program of parents for children. DONG-A RONCHONG. 2004;41:25-36. Available from: https://www-riss-kr.libproxy.kangwon.ac.kr/link?id=A345101
    6. Lee HJ. A critical review on parent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With regard to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07;8(3):248-249. Available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329271
    7. Rha JH, Kim SY, Ahn YK. A survey on parental education in kindergartens of Daeje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5;14(4):505-519. Available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353078
    8. Kim HK, Jeong YS. A Qualitative research of teachers and parents operation experience on special school parents education programs. The Study of Lifelong Education and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2018;4(1):65-92. Available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331337
    9. Kim JH. The analysis of theses content related to parents' needs for thei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5):2115-2123.
    10. Lee DJ. A study of ven daehaeng ‘Juingong'. The Journal of Hanmaum Studies. 2018;1(1).258-315 Available from: https://daehaeng.re.kr/article_paperdown?sca=1%EC%A7%91
    11. Park SR. A study on the juningong gwanbeop of Ven. Daehaeng. The Journal of Hanmaum Studies. 2019;1(1).119-172. Available from: https://daehaeng.re.kr/article_paperdown?sca=2%EC%A7%91
    12. Oh YS. A study on Ganhwa (看話) contemplation and Ven. Daehaeng's concept of Juingong (主人空). The Journal of Hanmaum Studies. 2020;1(1).11-55. Available from: https://daehaeng.re.kr/article_paperdown?sca=4%EC%A7%91
    13. Kim JH, Heo YJ, You H, Lee EH, Shim YA, Jung IJ, et al. Participant experience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t h science institute using Juingong gwan practice of entrusting and observ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2024;9(1):15-33.
    14. Downe-Wamboldt B.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92;13(3): 313-321.
    15.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5. p. 289-331.
    16.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3;8(3):27-37. Available from: https://journals.lww.com/advancesinnursingscience/abstract/1986/04000/the_problem_of_rigor_in_qualitative_research.5.aspx
    17. Daehaeng. Nega geudaero isaeng (利生) ida (‘You are the one who benefits all lives'). Walking on emptiness: General Dharma Talks 3. Anyang: Hanmaum Seonwon; 2018. p. 65.
    18. Daehaeng. Hanmaum Yojeon. 9th ed. Anyang: Hanmaum Seonwon; 2022. p. 258-315.
    19. Hwang HY, Han HR. Learners' perceptions and problem diagnosis of discussion classes on thinking and expressio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019;13(1):89-112. available from: https://kiss.kstudy.com/DetailOa/Ar?key=52008542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