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9 No.3 pp.242-260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24.9.242

Anxiety, Nursing Satisfaction Level, and Experience of Users of The General Health Checkup Center: A Mixed Methods Study

Eun Kook Kim1, Hyejin Hyun2, Yeon Jeong Heo3
1Team Lead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huncheon, Korea
2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3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Chunch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Hyun, Hyejinhttps://orcid.org/0000-0002-5597-6962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 Ganwondaehak-gil, Chuncheon 24341, Korea.
Tel: +82-33-250-6114, Fax: +82-33-251-9556, E-mail: hjhyun@kangwon.ac.kr
August 28, 2024 ; September 28, 2024 ; October 16, 2024

Abstract

Purpose:

This mixed method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levels and experiences among users of a general health checkup center.


Methods:

A total of 152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ir pre-checkup anxiety and post-checkup nursing satisfaction levels. Additionally, 11 participant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o determine their pre-checkup anxiety and post-checkup nursing satisfaction experiences.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oftware, whil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mean anxiety scores were 2.80±2.24 on the Visual Analog Scale for Anxiety and 44.06±9.55 on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cale. Education level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STAI scores. Participants with a college education or higher had significantly lower STAI scores(p<.005), indic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higher education levels and lower STAI scores. The mean nursing satisfaction score was 36.49±8.84, with male participants reporting higher nursing satisfaction levels. The pre-health checkup anxiety experience included three themes: “contrasting expectations about checkup results,” “various emotions felt during the checkup process,” and “physical and mental reactions.” The health checkup nursing satisfaction experience included four themes: “satisfaction with nurses’ support and care,” “comfort during the checkup process,” “dissatisfaction due to nurses’ habitual responses,” and “expectations for nurses’ emotional support and communication.”


Conclusion:

Providing comprehensive nursing information is essential to reduce user anxiety and improve nursing satisfaction. Moreover, integrating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etaversing, into information delivery can enhanc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better address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checkup users.



일 종합건강검진센터 이용자의 불안, 간호만족도 정도와 경험: 혼합연구방법의 적용

김 은국1, 현 혜진2, 허 연정3
1강원대학교병원 팀장
2강원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3한림성심대학교 간호학부 조교수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건강(health)의 어원은 hale(근력 좋은), whole(완전한, 흠 없는)으로 풀이되는 고어 hal에서 유래되어 “신체 상태가 흠 없이 완전하고 양호하며 굳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1]. 즉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총체적 완전성을 향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인 안녕 상태라고 정의하였다[2]. 행복한 삶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건강은 필수적이고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가장 기본적인 권리이며 인간이 추구하는 절실한 욕구 중 하나이다[3]. 우리나라는 소득의 증가로 경제 ‧ 문화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국민들이 건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과거에는 의료진들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수동적으로 공급받던 이용자들이 질적이고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탐색하여 선택하고, 병원 내원 목적이 질병 치료 중심에서 질병 예방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이는 질병의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건강검진 이용률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4].

    건강검진기본법에 따르면, 건강검진은 “건강 상태 확인과 질병의 예방 및 조기 발견을 목적으로 건강검진 기관을 통하여 진찰 및 상담, 이학적 검사, 진단검사, 병리검사, 영상의학 검사 등 의학적 검진을 시행하는 것”으로 정의된다[5].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가검진은 일반, 암, 생애전환기, 영 ‧ 유아 검진으로 구분된다[6]. 직장 건강검진은 국가검진과 병행하여 시행되며 [7], 개인 건강검진은 이용자가 전액 부담하고 센터에서 검사 항목을 설정한다[8]. 건강검진은 건강한 삶을 위해 평소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점검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조기에 치료하고 더 큰 피해가 없도록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9]. 질병 예방 및 조기진단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면서 병의원에서는 소위 종합검진센터를 통한 건강검진이 증가하였다[10]. 검진자들은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자신에게 수행되는 검사에 대하 여 충분한 지식이나 정보가 없으므로 생소하고, 경험해 보지 못한 상황으로 인해 불안과 불편감이 더욱 가중된다[11]. 불안이란 심리적인 갈등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로써 알지 못하거나 경험이 없는 새로운 상황이나 역할에 직면할 때 발생하는 막연한 불쾌감을 뜻한다[12]. 불안은 사람이 살면서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긴장, 걱정 또는 우려를 느끼는 정상적인 감정으로, ‘특정한 대상이 없이 막연히 나타나는 불쾌한 정서적 상태, 안도감이나 확신이 상실된 심리 상태’로 정의된다[13]. 지나친 불안과 스트레스는 육체적, 심리적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며,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검사에 임하는 대상자의 불안 조절은 대상자와 가장 직접적으로 지지적인 접촉을 갖는 간호사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간호 문제가 되고 있다[14,15].

    간호사는 환자를 개별적인 존재로 인식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각 환자의 건강 상태, 질병, 요구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환자의 개별적 특성을 존중하고 가장 효과적이며 맞춤화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16]. 또한, 환자가 인지하는 간호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실제로 제공된 간호에 대한 만족도 평가 역시 중요한 요소이다[17]. 평가 방법 중 간호만족도 측정은 대상자의 기대 정도를 사정하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18]. 간호만족도는 대상자가 간호중재에 대해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느끼는 일반적인 감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상자들의 시각에서 대상자에게 인지된 간호 질의 지표라 할 수 있다[19].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경우에는 간호 목표의 성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0].

    그동안 종합건강검진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는 의료경영학 및 보건학에서 건강검진센터 운영 실태, 수익증대 방안과 같은 병원 관리 측면[21,22]에서 이루어지거나, 건강 검진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분석[23],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 분석[24], 종합건강검진 이용자의 재이용 의도를 높이고 고객관리 전략 마련을 위한 연구[25]들이 선행연구로 이루어진 반면 건강검진센터 이용자에 대한 불안 및 간호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혼합연구방법론은 양적 접근법과 질적 접근법을 통합하여 연구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신뢰성 있는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연구 문제를 보다 포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론이다[26]. 이에 본 연구자는 종합건강검진센터 이용자의 불안과 간호만족도 정도와 경험을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연구를 통해 불안과 간호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경험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여 간호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 이용자의 불안과 간호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여 건강검진 이용자의 문제점을 도출해 내고자 하며 이를 통해 건강검진 이용자에게 필요한 간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C시 종합건강검진센터를 이용한 개인 및 직장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혼합연구(양적 ‧ 질적연구)를 통해 건강 검진 과정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불안과 간호만족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양적연구에서는 검진자들의 불안 수준과 간호만족도를 측정하고, 질적연구에서는 검진 중 발생하는 정서적 반응과 간호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건강검진 이용자의 심리적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간호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종합건강검진센터 이용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한다.

    • 종합건강검진센터 이용자의 불안과 간호만족도 정도를 파악한다.

    • 종합건강검진센터 이용자의 불안과 간호만족도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 한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 종합검진센터 검진 프로그램 이용자의 불안과 간호만족도의 정도와 관련 경험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양적 설문 조사 방법과 질적 내용 분석방법을 사용한 혼합 방법론(mixed methodology) 연구이다. 양적연구를 통하여 통계적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연구를 위하여 개별 면담을 진행 후 이를 분석하였다.

    2. 연구자의 준비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대학원 석사, 박사과정 동안 간호이론, 간호연구를 이수하였다. 질적연구 전문가에게 질적 연구방법론을 수강하여, 질적연구의 방법과 사례적용을 통해 심층면담 기법과 질적 자료분석을 배우고 질적연구에 대한 학문적 기초를 다졌다. 연구자들은 질적연구와 관련된 다수 연구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3. 연구참여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강원도 C에 위치한 K병원 종합건강검 진센터에서 개인검진과 직장검진 프로그램 이용하는 만 19세 이상 80세 미만인 의식이 명료하여 설문지 내용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자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 들이다.

    • 양적연구대상자 수는 본 연구를 위한 최소 표본크기는 G*Power 프로그램 3.1.9.4를 이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 석시 효과 크기=.15, 유의수준(⍺)=.05, 검정력(1-β)=.80, 독립변수의 수를 11개로 하여 충족한 표본수는 123명으로 대상자 탈락을 20% 고려하여 총 154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이 중 부실한 응답을 한 2부를 제외한 152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7.67세였고, 검진 유형은 개인건강검진이 50명(32.9%), 직장(소속 회사) 건강검진이 102명(67.1%)이었다. 건강검진 횟수는 처음인 대상자가 58명(38.2%), 4번째 이상 34명(22.4%), 2번째 33명(21.7%), 3번째 27명(17.8%)이었다.

    • 질적연구대상자는 수는 Richards와 Morse[27]의 질적 자료의 적절성과 충분성의 원리에 따라 불안과 간호만족도 경험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연구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충분히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종합건강검진센터를 이용한 대상자를 목적적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표집하였고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이다. 연구참여자는 모두 11명 이었으며, 3명은 남자(27.3%), 8명은 여자(72.7%)였다. 연령은 최소 29세에서 최대 68세였으며 평균 연령은 49.63 세이었다.

    4. 연구도구

    1) Visual Analogue Scale-Anxiety (VAS-A)

    Gift [28]의 VAS-A 는 심리적 불안의 정도(크기)를 측정하는 자가 보고형 도구로, 100 mm 의 가로선의 맨 왼쪽은 “전혀 불안하지 않다”, 맨 오른쪽은 “대단히 불안하다”로 대상자 자신이 현재 자신의 불안 정도를 위치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위치를 왼쪽부터 자로 재어 길이가 길수록 불안 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가능 점수는 0 에서 100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1cm 간격으로 10 등분하여 0~10점 점수로 환산하여 사용하였다.

    2) 불안

    Spielberger [29]가 개발한 상태-기질불안(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도구를 Kim과 Shin [30]이 한국인의 특성에 맞게 번안한 상태불안 도구를 사용하였다. 2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긍정적인 10문항과 역산처리한 부정적인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Likert 4점 척도로 ‘전혀 아니다' 를 1점 ‘매우 그렇다’를 4점으로 환산하며, 점수 범위는 20점에서 80점까지이고, 높을수록 불안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Spielberger [29]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92였고, Kim과 Shin [30]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87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는 .91이었다.

    3) 간호 만족도

    간호만족도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Kim [31]이 개발한 '일 반적인 간호, 교육적 측면의 간호'로 구성된 간호만족도 도구를 Huh [32]이 간호정보제공이 케모포트 삽입술 대상자에게 접목하기 위해 수정 ‧ 보완한 총 13문항 도구를 본 연구대상자에 맞게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점수는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점수 범위는 13점부터 52점까지로 높을수록 간호만족도가 높은것이다. 도구의 신뢰도는 Kim [31]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96이었으며, Huh [32]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99였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는 .92 였다.

    5. 자료수집

    1) 양적연구

    본 연구는 OO대학교병원의 생명윤리위원회에서 연구 진행의 승인을 받은 후 2023년 1월 16일부터 2023년 2월 23일까지 시행하였다.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자들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하면 서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은 후 대상자에게 불안에 대한 척도와 설문지를 건강검진 전에 작성하게 하고 간호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는 건강검진 프로그램 이용 후에 작성하게 하였다. 조사는 무기명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고령이거나 글씨 읽기가 어려워 작성이 어려운 대상자는 연구 자가 내용을 읽어주고 대답을 체크하여 작성하였다. 설문지 작성에는 10~15분 정도 소요되며, 수집된 자료가 타인에게 노출 되지 않도록 자료 저장 시 문서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모든 내용들은 비밀보장 됨을 설명하고, 연구참여에 대한 소정의 답례로 상품권을 제공하였다.

    2) 질적연구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3월 20일부터 2023년 5월 20일까지 였다. 연구자 중 1인이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자들 중 목적적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개별적 면담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11명의 참여자에게 개인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전 연구 참여자에게 면담 자료의 누락을 방지하고, 신빙성을 확보하기 위해 면담 내용을 녹음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하였고, 연구참여자의 서면 동의를 받은 후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은 건강검진 전 불안의 표현에 대한 자료와 건강검진 후 간호만족도 경험의 자료를 2차례 걸쳐 평균 각각 10~15분 동안 수집하였다. 면담 장소는 검사 장소에 위치한 조용한 회의실에서 진행하였다. 개인 심층면담은 참여자의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 일상적인 안부를 묻는 것을 시작으로 점차 연구주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면담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면담은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하였으며, 건강검진 전 불안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 “건강검진 프로그램 전 전반적인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전반적인 느낌이 어떠신가요?”, “건강검진 하시기 전에 어떠한 기분이 드시나요?”, “건강검진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신체적, 정신적 어려운 점이 있나요?”, “추가로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으신가요?”이고, 건강검진 후 간호만족도는 “건강검진을 진행하면서 다양하게 제공 받은 간호서비스에 대해서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제공 받은 간호 서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공 받은 간호서비스 느낌은 어떠신가요?”, “제공 받은 간호서비스 중에 좋았던 점을 이야기 해 주실 수 있나요?”, “제공 받은 간호서비스 중에 나빴던 점을 이야기 해 주실 수 있나요?”, “개선이 되어야 할 부분이 있었나요?”, “추가로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으신가요?” 이다. 수집된 자료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자료 저장 시 문서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모든 내용들은 비밀보장 됨을 설명하고, 연구참여에 대한 소정의 답례로 상품권을 제공 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자 소속 병원의 생명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KNUH 2022-12-008)에서 연구 진행의 승인을 받았다. 연구 담당자는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참여 기간, 절차와 방법, 설문지 작성 및 면담 내용의 녹음 여부를 10~15분 동안 충분히 설명하고, 예상되는 위험과 이득, 자발적 참여와 동의 철회 권리, 개인정보 보호 방침을 명확히 안내하였다. 참여 여부는 전적으로 참여자의 선택이며, 연구에 참여하지 않아도 불이익이 없음을 분명히 알렸다. 면담 도중 녹음을 원하지 않을 경우 즉시 중단할 수 있으며, 이후에도 자신의 진술이 연구에 활용되는 것을 거부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연구 중 언제든지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동의 철회를 요청할 경우 수집된 자료는 즉시 폐기됨을 알렸다. 연구에 동의한 참여자에게는 동의서를 제공하고 충분한 설명 후 서면 동의를 받았다. 참여자는 설명문을 숙독한 뒤 연구 절차를 이해하고 자발적 의사에 따라 설문지 작성과 심층 면담에 참여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에서 개인 정보를 알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참여자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사례번호를 지정하여 자료를 익명처리 하였다. 참여자에게 면담 중 진술한 내용은 연구자료에만 이용되며, 자료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자료 저장 시 개인 PC에 비밀 번호를 설정하여 모든 내용들은 비밀보장 됨을 설명하였다. 참여자에게 수집된 정보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적절하게 관리하고, 연구가 끝남과 동시에 즉시 영구 삭제됨을 설명하였고, 연구참여에 대한 소정의 답례로 상품권을 제공하였다.

    7. 자료분석

    1) 양적연구

    자료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불안 및 간호만족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불안 및 간호만족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은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2) 질적연구

    자료분석은 Downe-Wamboldt [33]가 제시한 질적 내용분석의 8단계를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자 3인은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진술내용을 녹음하여 내용을 반복하여 듣고 그대로 필사하였다. 필사된 내용을 반복해서 읽으며 구문과 문장을 분석단위로 정하였다. 그리고 명확한 내용으로 기술하고자 의미 있는 구문과 문장을 추출하여 코드화하였다. 둘째, 도출된 코드들을 바탕으로 초기 범주를 생성한 후 선정된 구문과 문장을 각 범주에 적용하였다. 셋째, 분류 결과 중 구문과 문장이 초기 범주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범주를 추가하여 범주들에 대한 점검 과정을 거쳤다. 넷째, 초기 범주와 추가 범주 작성 단계에서 연구자 전원은 구문과 문장을 범주에 따라 분류하였고 의견의 일치가 보일 때까지 범주를 계속하여 수정하여 신뢰도를 높혔다. 다섯째, 주제를 범주에 분류하는 과정에서 범주들을 수정하고 필요한 경우 코팅 규칙을 수정하였다. 여섯째, 코딩과 범주를 재점검 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 일곱 째, 전체 자료에 대한 코딩화 및 도출된 주제들은 질적연구의 경험이 풍부한 간호학 교수 2인의 점검 과정을 통해 내용분석의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여덟째, 참여자의 경험과 분석과정으로 나온 주제 일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참여자에게 분석결과를 확인 과정을 거쳐 연구 분석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단계를 수행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거의 비슷하게 이루어졌으며, 연구자 모두 자료의 코딩과 범주화에 참여하였다. 의견의 동의가 이루어질때까지 5회 대면 회의를 진행하여 수차례 분석하고 토의하였다.

    8. 질적연구의 엄격성 확보

    본 연구는 혼합연구로, 질적 및 양적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연구의 엄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질적 평가기준으로는 Lincoln과 Guba [34], 그리고 Sandelowski [35]가 제시한 신뢰성, 전이가능성, 감사가능성, 확인가능성의 기준을 참고하였으며, 양적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또한 확보하고자 하였다. 신뢰성(Credibility)은 양적연구의 내적 타당도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의 면담 내용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핵심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면담 내용을 녹음하고 반복적으로 녹취본을 들으며 필사하여 참여자의 진술이 정확히 반영되도록 하였다. 면담 후 의미가 모호한 부분에 대해서는 참여자에게 연락해 추가 확인을 진행했으며, 필요 시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연구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들과 분석 내용을 논의하며 녹취 본과 필사 원본을 대조해 분석의 정확성을 높였다. 연구결과는 참여자 11명에게 피드백을 받아 확인하였다. 전이가능성(Fittingness)은 특정 맥락에서 도출된 연구결과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다른 집단이나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개념이다.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을 명확히 기술하여 유사한 맥락에서 연구결과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병동 내 다른 간호사들에게 검토받아 해당 결과가 다른 환자나 환경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를 통해 전이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감사가능성(Auditability)은 연구의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서술하고 참여자의 진술을 그대로 인용해 연구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료의 분석 과정을 명확히 기술하고, 질적연구 경험이 풍부한 교수 2명의 검토와 동료 연구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타당성을 높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석 과정에 대한 감사가능성을 확보하였다. 확인 가능성(Confirmability)은 연구자가 분석 과정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선입견을 배제하려는 노력과 관련된다. 연구자는 선입견을 배제하기 위해 괄호처리 기법을 적용하였고, 연구결과와 분석 내용을 질적연구 교육을 받은 간호학과 교수들에게 검토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유지하고 확인가능성을 확보하였다.

    연 구 결 과

    1.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본 연구는 개인과 직장 건강 검진을 위해 강원도 C시 소재 K병원에 내원한 15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7.7세로 40대가 73명(48.0%)로 가장 많았고 남자가 75명(49.3%) 여자 77명(50.7%)이었다. 결혼 상태는 미혼 25명(16.5%), 기혼 118명(77.6%), 기타(이혼 및 사별 등) 9명(5.9%)이었고 직업은 133명(87.5%)이 직업이 있고 19명(12.5%)이 직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정도는 중졸 5명(3.3%), 고졸 43명(28.3%), 대졸 이상 104명(68.4%)이었다. 종교 유무는 65명(42.8%)이 종교가 있었고 87명(57.2%)이 없었다. 월 수입은 300만원 이상이 101명(66.5%)로 가장 많았고 검진 비용은 100만원 미만이 112명(73.7%) 가장 많았다. 검진유형은 개인건강검진이 50명(32.9%), 직장(소속회사) 건강검진이 102명(67.1%)이었다. 건강검진 횟수는 처음인 대상자가 58명(38.2%), 4번째 이상 34명(22.3%), 2번째 33명(21.7%), 3번째 27명(17.8%)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을 받는 이유는 검진검사(Screening test) 142명(93.4%), 진단검사(Diagnosis test) 8명(5.3%) 추후검사(Follow-up test) 2명(1.3%)이었다.

    2. 대상자들의 불안 및 간호만족도 정도

    건강검진 대상자의 불안 정도는 평균 VAS-A 2.80점, 상태 불안 44.06점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만족도는 평균 36.49점이 었다. 검진 전 불안과 검진 후 간호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VAS-A와 상태불안은 p=.7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간호만족도에서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성(45.72±8.41점)이 여성(42.44±10.35 점)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p=.034). 교육 수준에 따라 VAS-A(p=.246)와 간호만족도(p=.11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상태불안은 교육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29). 대졸 이상 집단에서 상태불안이 가장 낮았으며, 중졸과 고졸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외에 연령, 결혼 상태, 직업 유무, 종교 유무, 월수입, 건강 검진 유형, 검진 비용, 검진 횟수에 따른 불안 및 간호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3. 질적 내용분석을 통한 건강검진 불안과 간호만족도 관련 경험

    1)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반 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이용하여 11명의 대상자에게 건강검진 불안과 건강검진 후 간호만족도 경험에 대해 15~20분 정도의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3).

    2) 건강검진 전 불안 경험

    건강검진 전 불안 경험을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범주 10개, 주제 3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도출된 주제 모음은 ‘검진 결과에 대한 상반된 기대감’, ‘검진 과정에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 ‘신체적, 정신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이었다(Table 4).

    (1) 검진 결과에 대한 상반된 기대감

    참여자들은 건강검진을 받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평소에 건강관리를 꾸준히 하고 자신의 건강에 대해 자신감을 가진 참여자들은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받는 과정으로 인식하며,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들은 검진 결과에 대해 특별히 우려하지 않고, 자신의 건강이 잘 유지될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있었다. 반면, 최근에 체중 감소나 피로와 같은 건강 이상 증상이 나타난 참여자들은 검진 결과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들은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에 대해 걱정하며,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표현했다. 특히, 가까운 지인이 암에 걸린 사례를 들으며 자신도 그러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인식이 건강검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이어졌다.

    ① 건강할 것이라는 긍정적 기대

    참여자들은 평소 건강관리에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직장에서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아온 경험과 운동을 통해 건강을 유지해왔기 때문에 긍정적인 검사 결과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일부 참여자의 경우 신앙을 바탕으로 한 종교적인 믿음이 검사 결과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를 뒷받침해 주었으며, 과거 건강 문제로 인한 추적 관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신앙을 통해 불안을 극복하고 검사 결과에 대해 지나친 걱정을 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작년에 뜻밖의 간암 전 단계, 당뇨 전 단계, 곳곳의 혹이 다 췌장 쪽의 또 1.4, 0.7 혹도 있고 그래서 좀 불안하지만 안 커졌으면 좀 줄었으면 아니면 그대로였으면 이런 게 있었습니다. 특별하게 너무 불안하진 않았고 하나님이 그래도 제가 선교를 하니까 뭐 특별 대우는 아닌, 절대 그건 아닌, 그냥 하나님께서 일하는 동안 일할 수 있도록 잡아주시겠지 어느 정도는 유지되게 해 주시겠지 그런 것 때문에 지나친 불안은 없었습니다.(참여자 1)

    ② 부정적 결과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참여자들은 과거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이상 소견으로 인해 치료를 받았으나, 재발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특히, 수면내시경과 같은 검사에서 약물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수면 중 깨어나지 못할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등, 검진 과정 자체에 대한 막연한 불안함을 느꼈다.

    저는 지난번 검사에서 용종이 있어서 요번에 다시 확인을 위해서 전체적으로 검사를 받아보려고 하는 건데요. 지난번에 생각지도 못한 결과가 나와서 이번에 혹시 그게 또 더 심해지진 않았나 걱정이 좀 굉장히 큰 상태죠. 불안하고 의외의 결과가 나오면 어떡하나 그런 생각이 끊임없이 듭니다.(참여자 2)

    ③ 주변 환경과 상황이 주는 불안

    참여자들은 최근에 나타난 신체적 불편 증상으로 인해 건강 검진 결과에 대한 우려를 느끼고 있었다. 특히, 주변에서 암 진단을 받은 지인의 소식을 접하며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전부터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을 자주 방문했던 경험과 더불어, 최근 스트레스가 증가하면서 건강에 대한 염려가 커져 검진 결과에 대한 불안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저는 오늘 검진 준비를 하면서 사실 별 생각 없었어요. 그냥 주기적으로 받는 검진이다 보니까 그냥 뭐 계속 받을 때마다 깨끗했고 그렇지만 당일이 되니까 내가 위 검사를 하는데 요즘 속이 좀 안 좋았거든요. 그래서 내시경을 하다가 뭐 나오면 어떡하지? -(중략)- 요즘 주변에서 암에 걸렸다는 사람들도 있고 나이가 40대 중반을 가고 있으니까 그런 거에 대해 걱정이 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참여자 6)

    일단 검진 받는 이유가 이전에 있었던 병변, 몸이 안 좋았어 가지고 다시 받는 거라서 근데 그 증상이 없었다가 다시 생긴 것 때문에 다시 받는 거라서 결과가 안 좋게 나오지 않을까 싶어 가지고 좀 걱정이 됩니다.(참여자 7)

    (2) 검진 과정에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

    참여자들은 현재 특별한 증상이나 질병이 없더라도, 건강검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감정적 부담을 경험하였다. 건강검진은 단순히 검사 자체가 아니라, 잠재적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중요한 절차로 여겨졌으며, 이에 따라 검진을 준비하고 다양한 검사를 한꺼번에 진행하는 것이 심리적 부담으로 다가왔다. 특히, 과거에 힘들었던 내시경 경험을 떠올리며 이번 검진에서도 유사한 어려움을 겪을 것에 대한 불안을 느끼는 사례가 있었다. 또한, 병원이라는 공간이 아픈 사람들이 주로 방문하는 곳이라는 인식 때문에, 검진을 받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심리적 긴장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참여자들은 병원의 낯선 환경과 절차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며, 검진 과정에서 자신의 상태를 잘 관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는 모습을 보였다.

    ① 새로운 검진 경험에 대한 불안

    참여자들은 건강검진을 매년 정기적으로 받아왔으며, 그동안 건강에 대해 특별한 문제가 없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전반적으로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참여자들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검진, 특히 대장내시경과 같은 검사에 대해서는 불안감을 느꼈다. 이들은 새로운 검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불편이나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한 걱정이 있었으며, 이러한 새로운 경험에 대한 불안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검진을 매년 받던 거라 크게 뭐가 없어서 상관은 없었는데 크게 뭐가 없었지만, 대장 내시경은 처음이라 좀 걱정이 됩니다.(참여자 4)

    ② 병원 환경이 주는 긴장감

    참여자들은 병원이 아픈 사람들이 주로 방문하는 장소라는 인식으로 인해, 건강검진을 위해 병원을 방문할 때에도 병원 자체가 주는 불안감을 경험하였다.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는 특별한 감정이 없었으나, 병원이라는 공간에 들어서는 순간 심리적 긴장감이 고조되었으며, 이로 인해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손발이 차가워지는 신체적 반응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불안감은 병원의 환경 자체가 참여자들에게 압박감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병원 직원과의 의사소통에서도 집중이 어려워 대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병원 환경이 환자들에게 불안과 긴장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훨씬 더 많이 떨리고 심장도 지금 막 떨리는 것 같아요. 엄청 두근거리고 너무 많이 병원에 오니까 좀 힘든 부분이 있네요. 병원이라는 공간이 훨씬 더 공간이 주는 불안이 훨씬 더 크게 느껴지는 걸 새삼 느끼게 됩니다.(참여자 2)

    이곳에 이 장소에 오니까 그런 느낌이 생생하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집에서는 그냥 막연한 불안감 같은 느낌이었다면 막상 이곳에 들어오니까 아 진짜 현실감 있게 두려움이 저에게 닥쳐 와서 손발이 창백해진다는 느낌, 그래서 차가워진다는 느낌, 귓가에서 내 심장소리가 들린다는 느낌 그런 느낌이 들어요. 그래서 다른 사람이 무엇을 질문할 때 대답하기가 조금 어려워요.(참여자 10)

    ③ 준비 과정에서 시작되는 긴장과 불편함

    참여자들은 건강검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금식과 같은 필수적인 절차가 신체적 불편함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심리적 긴장감이 고조되는 경험을 했다. 특히, 전날 금식으로 인한 배고픔이 심화되면서 짜증과 같은 정서적 반응이 나타났고, 이러한 불편함이 검진 당일에도 지속되면서 심리적 부담감이 커졌다. 준비 과정에서의 이러한 긴장과 불편함은 검진 전반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금식을 하려고 하니까 더 참기가 힘들었고, 참기가 힘드니까 더 많은 짜증이 나고 그 짜증이 지금 상태까지 이어지면서 더 뭐랄까 심리적으로 불안한 느낌이 들었습니다.(참여자 9)

    (3) 신체적, 정신적으로 나타나는 반응

    참여자들은 건강검진을 앞두고 심리적 긴장감이 신체적 증상으로 표출되었다. 검진 과정 중에서 자주 소변을 보고 싶어지는 등의 생리적 불규칙성이 나타났으며, 손과 다리가 뻣뻣해지고 심장이 빠르게 뛰는 등의 신체적 긴장 증상을 호소했다. 특히, 갑작스러운 피로감과 어지러움, 심장 두근거림 등은 신체적 불안 반응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검진 과정에서의 긴장감과 불안이 고조됨에 따라 더욱 심화되었다. 정신적으로는 여러 검사를 동시에 받는다는 생각에 대한 부담감이 커져, 수면 부족과 신경 예민함이 겹치면서 잠을 이루지 못하는 등의 정서적 불안이 동반되었다. 이러한 신체적 ‧ 정신적 반응은 참여자들이 건강검진을 받기 전부터 지속적으로 경험한 불안의 구체적인 표현이었다.

    ① 신체적으로 나타난 불안 반응

    참여자들은 병원에 도착하면서부터 심리적 긴장감이 고조되어 신체적으로 불안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들은 병원이라는 환경 자체가 주는 압박감으로 인해 심장이 빠르게 뛰고, 목소리까지 떨리는 등 명확한 신체적 증상을 경험하였다. 특히, 대장 내시경과 같은 검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장을 비우기 위해 화장실을 자주 방문해야 했고, 이로 인해 수면 부족과 피로가 겹치면서 신경이 예민해지고 피로감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신체적 증상들은 긴장감이 신체적 반응으로 표출된 사례로, 검진 전후로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훨씬 더 많이 떨리고 심장도 지금 막 떨리는 것 같아요. 엄청 두근거리고 너무 많이 병원에 오니까 좀 힘든 부분이 있네요.(참여자 2)

    어제 신경 쓰느라 잠을 잘 못 잤어요. 검사가 잘 될지랑, 대장 내시경 한다고 하는데 그게 잘 나와야만 검사도 정확하게 본다고 하는데 이런 거 신경 쓰느라고 잠을 잘 못 잤더니 예민하고 피곤한 것 같아요. 불안한 것 같아요. 불안해서 소변이 자꾸 마려운 경우가 있었습니다.(참여자 4)

    ② 감정적 변화와 관련된 불안 및 두려움

    참여자들은 검진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평소와는 다른 정서적 반응을 경험하였다. 검진 결과가 예상치 못하게 나올 경우에 대한 걱정과 불안이 고조되면서, 긴장감과 함께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느꼈다. 이러한 불안감은 감정적 변화로 이어져 정신을 차려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서 떨림과 불편함이 동반되었으며, 이는 결과에 대한 두려움이 정서적 불안으로 표출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래서 지금 특별히 정신을 차려야 되는데 제대로 검진이 나올까 이런 어떤 약간 다른 때와는 다른 좀 작용인지 모르는 멍청함이 좀 있었어요.(참여자 1)

    약간 떨린다거나 약간 불편함도 있고요 두려움도 있었어요. 정신적으로 조금 두렵다는거죠. 두렵다는...(참여자 8)

    ③ 불안에 대한 간호사의 공감 필요성

    참여자들은 검진 과정에서 느끼는 개인적인 불안과 걱정이 비록 다른 사람에게는 명확히 전달되지 않을 수 있지만, 간호사가 이러한 불안감을 공감하고 이해해 준다면 큰 위로가 될 것이 라고 인식하였다. 특히, 검진을 받는 과정 자체에 대한 불안감을 간호사가 인지하고 이를 공감해 준다면, 병원 방문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줄어들고, 환자가 더 편안한 마음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사실 많은 걱정을 품고 이곳에 들어온 거거든요 그래서 제가 걱정하는 걸 남들은 당연히 알 수 없겠죠. 저랑 같은 관계에 있는 게 아니니까 근데 이 불안감을 갖고 온다는 걸 맞이 하시는 분이 알아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조금 들었어요. 그래야 제가 위안을 받고 덜 어렵게 이곳의 문을 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참여자 10)

    ④ 과거 검진 경험에 따른 불안감

    참여자들은 이전에 경험했던 내시경 검사 중 겪었던 신체적 불편감과 심리적 스트레스가 기억에 강하게 남아 있어, 이번 검진에서도 동일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불안감을 나타냈다. 특히, 침을 삼키거나 구역질을 참아야 했던 신체적 반응과, 검사 중 들려오는 기계 소리가 당시의 불안을 더욱 증폭시키며, 이번 검사에서도 이와 같은 경험을 반복해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거 경험은 현재의 불안감을 더욱 고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내시경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비수면으로 선택을 했는 데 한 번 두 번 세 번 하다 보니까 침 삼키고 이러는거에 대한 불안감이 점점 시간이 거듭할수록 어 그때 힘들었는데 이런 생각 때문에 점차로 좀 불안함 이런 게 있었어요.(참여자9)

    일반내시경을 받아본 적이 개인병원에서 있었는데 깨어서 받는 게 더 무서웠어요 기구들이 제게 다가오는 달그락 거리는 소리를 듣고 있으면 제가 더 겁먹게 되고, 그때 기억들이 안 좋아서 수면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참여자10)

    3) 건강검진 간호만족도 경험

    건강검진 후 간호만족도 경험을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범주 10개, 주제 4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제 모음은 ‘간호사의 지지와 돌봄에 대한 만족’, ‘검진 과정에서 느끼는 편안함’, ‘간호사의 습관적 대응으로 인한 불만’, ‘간호사의 정서적 지지와 소통에 대한 기대’이었다(Table 4).

    (1) 간호사의 지지와 돌봄에 대한 만족

    참여자들은 보호자 없이 혼자 검사를 받는 상황에서 간호사의 존재와 세심한 안내가 큰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했다고 느꼈다. 검사 과정에서 간호사가 검사의 목적과 절차를 상세히 설명해 주고, 긍정적인 말로 격려해 주는 것은 참여자들의 불안을 완화하고 검사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는 자신감을 고취시켰다. 특히, 간호사가 신체적으로 손을 잡아주며, 지지의 말을 건넨 순간, 참여자들은 마치 가족처럼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으며, 이는 검진 중 경험한 불안감을 줄여주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① 옆에 있는 것만으로 위안을 받음

    참여자들은 병원이 주는 낯선 환경에서 간호사의 존재 자체가 큰 위안을 제공한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간호사가 검진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동행하며 안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었다고 느꼈다. 이들은 마치 가족이 곁에서 돌봐주는 것처럼 보호받는 느낌을 받았으며, 간호사의 일대일 케어와 세심한 안내는 참여자들에게 신뢰와 안정감을 형성해 주었다. 이러한 경험은 낯선 병원 환경에서 간호사의 동행과 지지가 환자에게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병원이 주는 그런 특별한 위압감이라던가 그런 게 있잖아요? 그래서 더 떨리고 하지만 검사를 받는 입장에서 옆에서 누군가가 도와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굉장히 큰 위안을 받거든요. 그래서 간호사 선생님이 옆에서 돌봐주는 것만으로도 굉장히 큰 위안을 받고 훌륭한 서비스라고 생각을 합니다.-(중략)- 간호사라는 존재만으로도 큰 위안을 받고 서비스를 충분히 받는다고 생각합니다.(참여자 2)

    ② 지지와 위로의 말로 인한 안정감

    참여자들은 검진 과정에서 간호사가 제공하는 언어적 지지와 신체적 접촉이 큰 위안이 되었다고 느꼈다. 특히, 간호사가 격려의 말이나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이 불안을 완화시키 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간호사의 말과 행동은 마치 가족으로부터 받는 지지와 유사한 느낌을 주었으며, 간호사가 손을 잡아주는 등의 신체적 접촉은 참여자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힘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는 검진 중 환자가 느끼는 고립감과 불안을 해소하는 데 간호사의 정서적 지지와 위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제가 보호자 없이 혼자 와서 검사를 받는 상황이잖아요 수면이 아닌 일반이긴 했지만 내시경은 다른 검사들과 다르게 얌전하게 받을 수 있는 검사가 아니잖아요...-(중략)- 계속 괜찮다고 얘기하고 잘하고 있다고 얘기하고 창피할 정도로 이제까지 받아본 내시경 중에 제일 못했는데 근데 잘하고 있다고 얘기하고 손을 꼭 잡아주시더라고요. 사실 간호사 선생님이 뭐라고 말했는데 잘못 알아 들었지만 잘 하고 있다고 하시는 이야기를 듣고 되게 힘을 받았습니다.(참여자 6)

    (2) 검진 과정에서 느끼는 편안함

    참여자들은 검진 과정에서 간호사들이 제공하는 세심하고 일대일 맞춤형 설명 덕분에 심리적 안정을 찾았으며, 검사를 보다 편안하게 받을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간호사들이 검사 절차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각 과정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 해 주는 방식이 참여자들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특히, 간호사들이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능숙하게 설명하고 안내함으로써 참여자들은 검진 전반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는 검진을 성공적으로 마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느꼈다.

    ① 숙련된 간호 기술로 인한 신뢰와 만족

    참여자들은 검진을 받는 과정에서 간호사가 각 절차에 대해 세심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불안을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었다고 느꼈다. 간호사의 숙련된 기술 뿐만 아니라, 검사 목적과 과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설명이 참여자들에게 신뢰감을 형성하게 했으며,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검진 과정 전반을 보다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특히,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명확히 알고 있는 것이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간호 서비스는 설명 같은 것도 잘 해 주시고 사실 간호 서비스라는 게 뭐 아프지 않게 채혈을 한다 이런 것도 있지만 정말 서비스는 우리가 편안하게 무슨 검 사를 할 때에 이거는 무엇 때문에 합니다. -(중략)- 지금은 무슨 검사를 하실 겁니다라는 설명이 있어야 되는데 그럴 때 내가 불안하고 뭔가를 내가 하고 있고 이런 걸 알고 하는 거랑 모르고 하는 거에 차이점 때문에 근데 거기에 대한 설명을 되게 잘해주셨어요.(참여자 9)

    ② 친절한 응대로 인한 정서적 안심과 만족

    참여자들은 간호사가 검진 과정에서 친절하게 설명해 주고, 각 절차를 이해하기 쉽게 안내함으로써 불안감을 줄이고 정서적으로 안심할 수 있었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내시경과 같은 걱정이 많았던 검사의 경우에도 간호사의 세심한 배려와 숙련된 대응 덕분에 검진을 순조롭게 마칠 수 있었다. 간호사의 경험과 능숙한 기술이 참여자들에게 신뢰감을 주었으며, 이를 통해 검사에 대한 두려움이 완화되고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게 되었다.

    어떤 검사를 하든지 간에 설명을 잘 침착하게 해주셨던 것 같아요. 알아듣기 쉬운 용어로 그래서 조곤조곤히 낮은 목소리로 여기가 장소가 워낙에 조용조용한 곳이다 보니 까 조금만 큰소리가 나거나 해도 저는 많이 놀라게 되더라고요. 근데 그런 것들을 배려해 주신 건지 모르겠지만 조용 조용 나긋하게 설명해 주시니까 더 집중도 잘되고 그런 것들이 제가 대접받는다는 느낌이 있었습니다.(참여자10)

    ③ 일대일 안내와 설명으로 인한 편안함

    참여자들은 간호사가 일대일로 제공하는 세심한 안내와 설명 덕분에 검진 과정에서 느끼는 불안이 상당히 완화되었다고 인식하였다. 간호사가 각 절차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고, 참여자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위내시경과 같은 불편한 검사 과정에서도 간호사의 격려와 세심한 설명이 고통을 덜어주는 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검진을 보다 편안하게 마칠 수 있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설명을 잘 받았을 때 아 이분이 나한테 대해서 좀 이해 할 수 있게 불안감을 떨어뜨릴 수 있게 조금 노력을 하고 있구나 그리고 도움을 주고 있구나 이런 걸 많이 느꼈고요 -(중략)- 거의 다 끝나갑니다. 이런걸 쭉 해주고 옆에서 간호사가 이렇게 어 잘하고 계십니다. 이렇게 한 번의 격려가 굉장히 큰 아 이제 얼마 안 남았구나 그리고 위내시경을 하면서도 계속 쑤시기만 한다면 되게 고통이었을 것 같아요.(참여자 9)

    (3) 간호사의 습관적 대응으로 인한 불만

    참여자들은 간호사들이 매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업무에 익숙해진 탓에, 검진 과정에서 형식적이고 일방적인 응대를 받는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들은 의료진이 환자 개개인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기계적인 방식으로 검사를 진행하는 것에 불만을 제기했다. 특히, 내시경 후 환자에게 단순히 휴지를 건네는 등 상황을 세심하게 파악하지 않은 채 일상적인 대응을 하는 모습이 참여자들에게 불만을 야기했다. 이러한 경험은 환자들이 보다 개별적이고 세심한 대응을 기대했음을 시사하며, 검사 과정에서 더 나은 소통과 세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① 기계적인 대응에 대한 아쉬움

    참여자들은 내시경 후 간호사의 대응이 다소 기계적이고 형식적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특히, 간호사가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지 않은 채로 휴지를 건네는 등의 사소한 행동에서도 세심 함이 부족하다고 느꼈으며, 이는 검진 경험 전반에 아쉬움을 남겼다. 또한, 검진 장소에 처음 방문했을 때 제공된 정보가 너무 많아 이해하기 어려웠고, 간호사의 빠른 설명으로 인해 충분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는 인상을 받았다. 이러한 경험은 참여자들에게 간호사의 응대가 다소 형식적이고 충분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불만을 불러일으켰으며, 의료 환경에서의 세심한 배려와 소통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게 했다.

    간호사님께서 얘기를 의사선생님을 쳐다보고 하고 있으니까 휴지를 토사물이라든지 침이라든지 닦아 주시려고 친절하게 주시는데 눈코를 짚으시고 제 입 쪽으로 오고 아 간호사님이 바빠서 저를 보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또 이제 마치고 나서 기구가 뽑혀 나오고 나서 일어나도 됩니다 하면서 휴지를 고맙게도 주시는데 제 손으로 주시면 좋았겠는데 얼굴 쪽에 주는 바람에 아 이건 좀 아닌데 라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중략)-간호사님들이 참 이렇게 하기가 참 쉽지 않겠지 힘들지라고 이해를 하면서도 이왕 하는 거라면 제대로 해줬으면 했었습니다.(참여자 1)

    ② 설명 부족으로 인한 혼란

    참여자들은 검사 과정 중 간호사나 의료진으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지 못해 혼란스러움을 느꼈다. 검사 절차와 그 목적에 대한 명확한 안내가 부족하여 자신이 검사를 제대로 받고 있는 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으며, 이로 인해 불안이 가중되었다. 특히, 일부 참여자들은 의료진이 중요한 정보를 간단하게 전달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설명하는 것을 경험했으며, 이러한 불충분한 소통은 검사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고 심리적 불편감을 야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진 과정에서의 세심하고 명확한 설명은 환자의 불안감을 줄이고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같이 검사실 하나하나 넘어가면서 무슨 무슨 검사를 할 거다 이야기를 해주고 그 검사에 대해서 안내를 해줬으면 좋겠어요. 일반인은 이 검사를 왜 받는 건지 모르잖아요. ‘다음에는 이런 검사를 할 건데 뭐 때문에 이런 거 할 겁니다.‘라는 설명이 있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참여자 7)

    복부초음파 부분에서 너무 성의가 없다? -(중략)-’숨을 크게 들이마셔서 배를 부풀리세요.‘라는 그런 설명을 해 줘야 하는데’배를 동그랗게 하세요. 부풀리세요.‘하는데 잘 알아듣지 못하고 하는 데에도 어시스트 하는 사람도 거기에 대한 설명을 충분하게 해 주지 못해서 어 내 검사가 잘못되고 있는 건가? 라는 생각도 들었어요.(참여자 9)

    (4) 간호사의 정서적 지지와 소통에 대한 기대

    참여자들은 내시경 검사가 시작될 때 별다른 사전 설명 없이 진행되어 당황스러움을 느꼈고, 검사 종료 후에도 마무리 과정에 대한 안내가 부족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몰라 혼란스러웠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검사 중에도 절차나 진행 상황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편함과 아쉬움을 경험하였다. 이로 인해 검진 과정에서 정보 제공이 부족할 때 환자들이 느끼는 불안감과 혼란이 더욱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의료진이 검사 절차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안내를 통해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울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① 기대에 미치지 못한 위로와 공감에 대한 아쉬움

    참여자들은 검진 과정에서 궁금한 점을 질문할 때, 간호사의 응대가 다소 습관적이어서 충분한 설명을 받지 못했다고 느꼈다. 이로 인해 검진 중 불안과 긴장이 해소되지 않았으며, 좀 더 세심한 배려와 공감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특히, 검사 중 긴장감을 덜기 위해 간호사가 손을 잡아주거나, 절차에 대해 더 자세한 설명을 해주었다면 훨씬 더 마음이 편안했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의료진의 공감과 정서적 지원이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제가 수면 대장내시경을 처음 하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약이 어떻게 들어가는지 좀 무섭고 두려운데 제 옆에서 손이라도 잡아주고 그랬으면 마음이 좀 든든하고 마음이 놓였을 것 같아요. 수면을 안 해 봤었으니까 약이 들어올 때 잠을 잘 잘 수 있을지 수면이 깨도 TV에서 보니까 일어 나면 엉뚱한 소리를 많이 하던데 그럴까 봐 걱정도 되고 긴장이 많이 됐는데 눕자마자 약 주고 뭐하고 막 이렇게 하니까 그게 되게 긴장되고 걱정됐었는데 누군가가 손이라도 잡아주면서 진행되는 거나 봤던 경험들을 미리 이야기해줘서 저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었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참여자 4)

    ② 설명 없는 대기 시간으로 인한 불안

    참여자들은 여러 검사를 받는 동안, 대기 시간이 길어지자 검사 진행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해 답답함을 느꼈다. 특히, 검사 순서나 대기 시간이 명확하게 안내되지 않아 막막한 기분이 들었고, 이러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불안감이 더욱 커졌다고 하였다. 수면내시경을 기다리는 동안에도 마취 후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앞에 몇 명이 더 있는지와 같은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불안감이 증폭되었고, 이로 인해 검사 대기 중의 심리적 부담이 더해진 것으로 보였다. 이는 검사 과정에서 환자에게 명확한 상황 설명이 불안감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먼저 나를 검사하시는 간호사 선생님이 다음번에 어떤 검사를 진행하실 거라던가 앞에 대기가 밀려있으니까 잠시만 기다려주세요라는 상황 설명을 해주면 저는 어디로 가야 되는지도 모르는데 잠깐 기다리라고만 얘기를 하니까 이제 이쪽으로 이동할 건데 지금 환자가 밀려 있어서 여기서 잠시만 대기해달라는 안내를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아무설명을 받지 못하니까 내가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는 거지? 다음 순서가 저기인가? 저 사람이 끝나면 들어가는 건가? 라는 살짝 막막했습니다.(참여자 6)

    ③ 공감 부족으로 인한 불만

    참여자들은 의료진의 바쁜 상황을 이해하면서도, 기계적인 응대 방식이 개인의 상황에 대한 충분한 공감 없이 이루어진다고 인식되었으며, 이는 검사 과정에서 불만으로 이어졌다. 참여자들은 의료진이 환자의 감정과 상황에 보다 세심하게 대응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응대 태도가 개선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이처럼 기계적인 응대는 환자에게 소외감을 줄 수 있으며, 더 나은 소통과 공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바쁘신 건 이해하지만 개개인에 대해서 충분히 완전히 공감해서 얘기 한다는 것보다는 습관적으로 얘기하는 업무태도가 조금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참여자 2)

    논 의

    본 연구는 건강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는 이용자들의 불안 수준과 간호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양적연구와, 검진자들의 불안과 간호 만족도에 대한 경험을 개별 면담을 통해 분석한 질적연구를 결합한 혼합 연구로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건강검진 과정에서의 불안과 간호 만족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심층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1. 건강검진 전 불안 경험

    본 연구에서 건강검진을 받는 이용자들에게 불안 정도를 양적연구한 결과 검진 전 VAS는 평균 2.80±2.24, 상태 불안 점수의 평균은 36.49±8.84점이었다. 국내에서 건강검진센터 이용자 대상으로 불안의 정도를 연구한 선행연구는 없었다. 검사항목 이 같은 대상자 또는 같은 도구를 사용한 연구를 살펴보면 혼합 연구방법을 적용한 위내시경 대상자들의 검사 전 불안 정도와 불안 관련 경험에 대한 연구[36]와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수검자의 정보인지, 사회적 지지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37]연구 보다 불안 점수가 낮은 결과이다. 이는 불편한 증상이나 이상 소견 없이 검진 목적으로 주기적으로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검진을 처음 받는 것 보다 건강관리 및 예방적인 차원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검진에 대한 불안 정도가 낮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건강검진 전 불안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이었다.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VAS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태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중에서 다른 그룹보다 대졸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상태불안이 가장 낮았고 중졸과 고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강검진 수검자들의 위내시경 검사 전 불안과 관련된 연구[38]에서 여성 또는 교육정도가 낮거나, 위내시경험이 없는 경우 검사 전 불안을 느낀다는 연구결과와 교육 정도 부분에서는 일치하였다. 반면 성별과 검진을 처음 받는 대상자의 불안정도는 일치하지 않아 논의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본 연구에서는 매년 또는 격년으로 검진을 시행하는 경험자들이 다수 포함되어 경험에 의한 순응도 및 과거에 불안했던 경험으로 수면으로 내시경을 시행하는 것도 불안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건강검진 전 불안에 대한 경험을 질적연구로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인 '검진 결과에 대한 상반된 기대감'에서 참여자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 정기적으로 건강 상태를 점검하며 자신의 건강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부 참여자들은 건강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검진에 임하였으나, 추적 관리 검진을 받는 참여자들은 재발 가능성에 대한 불안과 검사 결과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표현하였다. 특히, 최근 소화불량과 같은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면서 검사 결과에 대한 걱정이 커졌다고 진 술하였다. 건강검진에 포함되어 있는 위내시경 대상자들에게 불안 관련 경험을 혼합 적용한 연구[36]에서 불안 관련 경험의 내용으로 분석된 5가지 범주 중 검사결과에 대한 걱정은 본 연구에서 최근 나타나는 불편한 증상으로 걱정됨, 좋치 않은 결과가 나올까봐 막연한 두려움과는 유사하였고, 불안을 표현한 단어인 ‘불안’’걱정‘‘불편’ ‘두려움’도 일치하였다. 검진에 대한 건강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기대는 내시경을 경험하는 참여자들이 표현한 ‘공포’ ‘조마조마’ ‘죽음’ ‘두근거림’ 등으로 부정적인 경험 표현과는 다른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건강검진이라는 특성상 건강을 점검하는 건강한 대상자가 대부분이고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검진에 대해 순응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 주제인 '검진 과정에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에서 참여자들은 검진을 예약하고 검진 당일을 맞이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감정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음 검진을 받는 직장인 참여자는 설렘을 표현했으며, 대장내시경을 처음 경험하는 참여자는 약 복용의 어려움과 복통으로 인해 검진 중 실수를 할까 걱정되었다고 진술했다. 반면, 매년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참여자는 이전에 특별한 불편함 없이 검사를 받아 무덤덤하게 임했으나, 과거 내시경에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는 참여자는 또다시 힘들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드러냈다. 또한, 검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금식으로 인한 배고픔과 짜증이 나타났고, 병원을 방문하는 것 자체가 심리적 불안을 유발했다고 보고하 였다. Cho와 Suh [36] 연구에서 추적 검사를 목적으로 내원하는 대상자들 표현에서 부정적 감정 억제 및 긍정적 마음가짐을 표현한 것처럼 검진자들도 처음 시행하는 검사로 걱정, 낯선 병원 환경에 대한 두려움, 준비과정으로 시작되는 긴장과 짜증 같은 부정적 감정을 억제하거나 새로운 경험에 대해 설레임, 무덤덤하게 받아들이는 긍정적 마음가짐 등이 유사한 결과였다.

    세 번째 주제인 ‘신체적 및 정신적 반응’에서 참여자들은 평소와는 다른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경험했다고 보고하였다. 일부 참여자들은 심장이 두근거리고 긴장으로 인해 목소리가 떨리는 것처럼 느꼈으며, 예민해진 상태에서 금식을 유지하는 동안 밤에 화장실을 자주 가서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해 피로감을 호소하기도 했다. 한 참여자는 긴장감이 극도로 커져 손과 다리가 뻣뻣해지는 느낌을 경험했다고 진술했다. 또한, 검사를 앞 두고 떨림과 불편함을 지속적으로 느끼며 정신적으로도 고통을 겪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불안한 상태에서 간호사가 자신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심리적 위안을 받을 수 있을 것 이고, 그로 인해 불안감이 줄어들어 검진을 더 원활하게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표현했다. 불안이란 광범위하고, 매우 불쾌하며, 막연히 불안한 느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신체증상과 행동증상을 동반하는데, 신체증상에는 가슴 두근거림, 혈압상승, 빈맥, 진땀, 반 사항진, 동공확대, 떨림, 위장장애, 빈뇨 등의 자율신경계 항진증상이 포함되며, 행동증상으로는 과민성과 서성댐 등이 있다고 정의한 증상과[39] 본 연구에서 유사하게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건강검진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증상이 있는 사람들이 질병을 초래하는 위험요인을 찾아 예방하거나 조기 발견하여 건강증진 활동을 위해 실시한다. 그러나 병원을 내원하여 여러 가지 검사을 실시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광범위한 불안한 느낌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간호사는 검진자 가장 접점에서 응대하고 돌보는 사람으로써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건강 관리를 위해 검진을 실시하는 대상자들에게 불안을 감소시키는 간호를 제공해야만 한다.

    검진 동안 불안을 예방하고 완화하는 것은 불안이 검진에 대한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시술절차를 지연시키고 부작용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며 검사과정이나 치료와 관련된 내용을 교육함으로써 경험하지 않은 미래 사실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준비를 시켜 부정적인 정서반응을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40].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불안정도가 낮은 연구결과는 검진자의 지식을 높혀 신체적, 정신적으로 나타나는 불안 증상들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간호사의 정보제공은 간호나 치료에 관하여 대상자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신체적 또는 심리적 안녕에 도움을 주는 중재방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41]. 종합 검진센터 이용자들의 불안 정도와 경험을 토대로 불안을 감소 시키기 위하여 건강검진 검사의 목적과 검사 방법, 검사 전 준비 사항, 검사 후 주의 사항등 검진에 대한 전반에 걸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정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 건강검진 간호만족도 경험

    본 연구에서 건강검진을 받는 이용자들에게 간호만족도 정도를 연구한 결과 평균 36.49±8.84점이었다. 건강검진센터 이용자 대상으로 간호만족도와 경험을 연구한 선행연구는 없었다. 간호만족도 도구를 사용한 연구인 수술 전 정보제공이 수술 후 통증과 불안, 간호만족에 미치는 효과 연구[41]에서 간호 만족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멀티미디어 기반 정보 제공이 뇌혈관 조영술 대상자의 불안, 불편감 및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42]에서도 정보를 제공 받은 실험군이 간호 만족도 점수가 높았다. 정보제공이 간호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리고 건강검진 후 간호만족도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었다. 간호만족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크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는 유방 촬영, 자궁암 검사 등 통증이 유발되거나 불편감을 표현하는 검사항목이 있어 간호만족도의 정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건강검진 후 간호만족도에 대한 경험을 개별 인터뷰로 분석한 결과,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인 ‘간호사의 지지와 돌봄에 대한 만족’에서는, 참여자들이 병원의 낯선 환경에서 검진을 받는 것에 대한 불안과 부담을 느꼈으나, 간호사가 옆에서 안내하고 지원해주는 과정에서 큰 도움을 받았다고 진술하였다. 이들은 간호사의 도움을 받으면서 마치 가족이 곁에서 돌봐주는 것처럼 심리적 안정과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을 경험했다. 특히, 검사가 어려운 순간마다 간호사의 격려와 지지의 말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찾고, 검사를 무사히 마 칠 수 있는 힘을 얻었다고 진술하였다. Yeom과 Kim [43]의 혈액투석 환자가 경험한 ‘좋은 간호’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간호사를 ‘친구’, ‘딸’, ‘동생’, ‘우리는 한 가족’으로 표현하였으며, 혈액투석실을 ‘제 2의 집’으로 비유하였다. 참여자들은 가족 같은 간호사와의 관계 속에서 점차 자기 존재감을 인식하고 인정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가졌다고 표현한 경험과 유사하였다.

    두 번째 주제인 ‘검진 과정에서 느끼는 편안함’에서는 참여자들이 검진을 시작할 때부터 탈의 과정까지 간호사의 세심한 설명과 안내를 받으며 검사를 편안하게 받을 수 있었다고 진술 하였다. 특히, 숙련된 간호사가 검사 절차를 상세히 설명해 주고, 검진이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도움을 준 덕분에 내시경과 같이 걱정이 많았던 검사도 안심하고 받을 수 있었다며 높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건강검진센터 이용자의 재이용 의도에 미치 는 영향요인 연구에서[25] 건강검진센터를 재이용 하려는 이유로는 ‘건강검진센터 직원들이 친절하고 신뢰감을 주어서’와 ‘건강검진결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만족스러워서’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자세한 설명과 안내는 검사를 순조롭고 편안하게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 검사도 잘 받을 수 있어서 좋았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 호사는 전반적인 건강 간호정보 제공자로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유지와 증진에 필요한 적절한 간호정보 제공은 검진자의 간호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멀티미디어 기반 정보제공이 뇌혈관 조영술 대상자의 불안, 불편감 및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42] 연구에서 멀티미디어 기반 정보제공 간호중재는 간호만족도 향상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간호 정보제공이 케모포트 삽입술 대상자의 불안, 불편감 및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영향[32]연구에서도 대상자의 간호만족도를 향상 효과가 확인되었다. 선행연구에서 간호사에게 받는 정보제공이 간호만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본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자세한 설명과 안내는 검사를 순조롭고 편안하게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 검사도 잘 받을 수 있어서 좋았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는 전반적인 건강 간호정보 제공자로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유지와 증진에 필요한 적절한 간호정보 제공은 검진자의 간호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세 번째 주제인 ‘간호사의 습관적 대응으로 인한 불만’에서는 참여자들이 간호사들의 반복적인 업무가 습관적이고 기계적으로 느껴졌다고 표현하였다. 예민해진 상태에서 의학 용어를 사용해 이해하기 어려웠고, 내시경 후 입가에 묻은 침을 닦으라고 건네준 티슈가 눈을 가리면서 간호사의 섬세함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실망스러웠다는 의견도 있었다. 일 상급종합병원 의료서비스 불만족 내용의 의료 융합적 분석 연구에서 [44] 간호영역 서비스 내용분석에서는 설명부분에 대한 불만족이 높았다. 간호과정 및 행위에 대한 설명 부재와 간호과정 및 처치에 대한 질문의 무응답 또는 늦은 응답이 불만족으로 나타났고. 내러티브를 통한 임상간호사의 간호 정체성 연구에서 [45] 연구참여자들은 3~4년 정도의 임상경험을 하는 동안 전문직으로서의 기대와는 다른 현실에 직면하고 이들은 같은 일을 반복하고 창의성이 없는 기계적인 일을 하고 있다는데 회의를 갖고 갈등 속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들이 지각한 좋은 간호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좋은 간호를 질적 간호의 속성으로 제시한 연구에서 ‘요구 충족’, ‘배려함’, ‘친밀감’ 등 을 질적 간호의 속성으로 제시하였다[46]. 따라서 간호사는 업무 종류 및 업무량 증가와 관련된 요인분석과 대안 등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여, 연구결과에 의한 업무조정을 하며 육체적, 정신적 소진을 완화시키고, 저하된 자존감을 회복하여 간호사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간호사에게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적인 의료행위로 환자를 보살피고 돌보는 간호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네 번째 주제인 ‘간호사의 정서적 지지와 소통에 대한 기대’ 에서 참여자들은 검진 당일 많은 검진자들로 인해 검사가 급하게 이루어지는 느낌을 받았다고 하였다. 검사를 기다리면서도 검사가 시작된다는 안내 없이 갑자기 진행되어 당황스러움을 느꼈으며, 검사가 끝난 후에도 어디로 가야 하는지, 검사가 모두 끝났는지에 대한 명확한 안내가 없어 혼란을 겪었다고 하였다. 다른 참여자는 검사 중 더 자세한 설명이 제공되었더라면 검사를 더 잘 받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표현하였다. 동영상 정보제공이 위내시경 대상자의 신체적 불편감, 불안 및 간호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47]연구에서 동영상 정보를 제공을 받은 실험군이 간호만족도가 높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시청각 정보제공은 환자들의 청각과 시각을 동시에 자극하여 보다 정확한 경험을 장기적으로 형성하도록 함으로 간호 정보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검진 이용자에게 간호사가 구두로 설명하거나 인쇄물을 출력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누락하는 것을 감소시키고 이해도를 높일수 있는 간호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차 산업 혁명의 도래와 함께 과학의 기술성이 진보함에 따라 보건의료 임상현장에서 교육 프로그램 방식의 진화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교육에 대한 대상자의 요구도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과학기술의 발전의 형태로, 가상현실이 기존의 교육과 차별되는 하나의 교육 매체로써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48].

    본 연구에서 간호만족도가 낮게 평가된 항목은 내시경실에 보호자가 동행할 수 없다는 설명, 정맥주사의 목적, 검사 부위에 따른 치료 계획, 조영제 및 진정제 주입 이유에 대한 설명 부족이었다. 다양한 검사를 받는 검진자들에게 간호사는 검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명확한 설명과 안내를 제공해야 하며, 간호를 수행할 때마다 검사 방법과 목적에 대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검사는 환자들에게 생소하고 불안감을 유발하는 과정으로, 특히 진단적 목적으로 진행될 경우 환자는 검사 결과와 이후 치료 방향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환자 교육이며, 환자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육 매체의 개발 은 전문적 간호 실무에서 필수적이다. 검진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간호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간호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현재의 정보 제공 방식에 더해 가상현실, 증강 현실, 메타버스와 같은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정보 제공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결 론 및 제 언

    건강검진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며, 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요인과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건강증진 활동이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이용자들의 불안과 간호만족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양적연구로 파악하고, 질적 내용 분석을 적용하여 불안과 간호만족도에 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여자는 자궁암 검사, 유방촬영등 불편함을 느끼는 검사들로 인해 검사 받기를 꺼려하고 연구결과에서도 만족도가 남자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상태불안이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검진 대상자에게 충분한 정보 제공과 절차 안내가 검진 과정의 불안감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검진을 준비하면서 식이 조절과 검사 과정에서 다양한 감정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결과에 대한 두려움, 검사를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 과거의 불쾌한 검사 경험 으로 인한 불안감이 주요 감정으로 나타났다. 특히 처음 검진을 받는 사람들은 걱정과 설렘이 공존하였으며, 병원의 낯선 환경과 신체적 ‧ 정신적 긴장으로 인해 불안을 경험했다. 반면, 검진 중에 간호사의 친절한 안내와 설명은 검진자에게 안도감을 주고, 검사를 원활히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숙련된 간호사의 세심한 배려와 설명에 만족감을 표현한 반면, 습관적이고 기계적인 응대는 불편함을 초래하였으며, 일부 참여자는 바쁜 상황에서도 간호사에게 위로와 대우를 받기를 기대했다. 설명 부족으로 인해 당황하거나 검진 종료 후 마무리 안내가 미흡해 혼란스러워한 사례도 있었다. 대기 시간 동안 명확한 설명이 제공되지 않아 막막함을 느끼기도 했다. 따라서 앞으로 검진센터는 검진자에게 충분한 정보 제공과 과정 안내를 통해 불안을 감소시키고, 숙련된 간호사의 기술과 세심한 설명을 통해 간호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질환 중심의 환자 간호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나아가, 건강 예방관리를 위해 건강검진 대상자의 불안과 간호만족도를 파악하고, 검진 전 불안 정도와 검진 후 간호만족도를 분석하여 검진자에게 필요한 간호를 제공하는 데 있어 그 필요성을 인식하는 중요한 연구로 의미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 관련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강원도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에서 검진을 받은 이용자들로만 연구 대상이 제한되었다. 따라서 추후 다른 병원에서 연구를 확대하여 검증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Figures

    T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52)

    M=mean; SD=standard deviation.

    Anxiety Levels before Health Checkup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N=152)

    VAS-A score=Visual Analog Scale for Anxiety; STAI score=State-Trait Anxiety Inventory; †Divorced or bereav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N=11)

    Themes Related to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Experiences

    References

    1. Kim HJ. Main concept of nursing-heal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6;16(1):23-28.
    2. World Health Organization. Executive board, seventy-third session, Geneva, 11-20 January 1984: Summary records. World Health Organization; c1984 [cited 2018 March 3]. Available from: https://iris.who.int/handle/10665/160617
    3. Kwon JO, Lee EN, Bae SH. Concept analysis of health inequa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1):20-31.
    4. Lee WI, Jang WH.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on customer loyalty-small and medium hospitals.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2014;17(1):35-51.
    5. Republic of Korea. Framework Act on Health Examinations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2020 [cited 2020 Dec 11].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1%B4%EA%B0%95%EA%B2%80%EC%A7%84%EA%B8%B0%EB%B3%B8%EB%B2%95
    6.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2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ational health screening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2023 [cited 2023 Dec 30].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nhis/together/wbhaec07000m01.do?mode=view&articleNo=10840505&article.offset=0&articleLimit=10
    7. Moon KS, Kim YK, Chang HJ. Determinants of the Use and Type of Comprehensive Medical Examination Servic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6;10(2):83- 97.
    8. Park EK, Koo HR, Lee JS, Kim YS. Health check-up service design using customer experience analysis. Journal of Digital Design. 2015;15(2):167-180.
    9. Han SH, Jo, EH, Son JA, So ES. Factorsassociation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participation according to sex in Korean: Using the fifth Korea national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Ⅵ, 2013). Korean Journal Health Education Promotion. 2016;33(3):37-48.
    10. Yang HJ, Kim JS, Lee JS, Lee JK. Evaluation of scientific evidence for health screening tests provided by some hospita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6;27(9):723-732.
    11. Lee HS. The effects of aromatherapy hand massage on anxiety before gastroscop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1):36-42.
    12. Spielberger CD.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anxiety research.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1972;2:481-493.
    13. Chang YY, Kim W.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anxiety and anxiety disorders. Anxiety and Mood. 2023;19(2):27-36.
    14. Kim SA. The effects of relaxation informativeness upon the anxiety level of adult patients with cardiac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7;17(2):110-115.
    15. Jong KI, Choi SH. The effect of an information using computer orogram on the reduction of anxiety in coron angiogram subjec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3;9(1):115-125.
    16. Yang IS. Individualized Car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Focusing on Heart Disease. Womens Health. 2008;8(1):37-56.
    17. Choi UJ, Kang JS. The mediating effect of nurse's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needs and nursing satisfaction in hospital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8;19(4):374-382.
    18. Alexander L, Sandridge J, Moore L. Patient satisfaction: An outcome measure for maternity services.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1993;7(2):28-39.
    19. Lee KM, JO EJ, Bae MH. Influence of nursing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adjustment of the elderlyin long-term care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5):441-451.
    20. Lewis KE, Woodside RE. Patient satisfaction with car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2; 17:959-964.
    21. Cho DY, Kim YJ. The study on characteris of university medical center user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009;22(5):2399-2420.
    22. Han Y, Lee JJ. A strategy based on revenue management for revenue increase in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0;15(1):13-26.
    23. Kim EJ, Ko SD. An analysis 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health screening programs. Health & Welfare. 2001; l4:78-92.
    24. Kim HJ. Nurses' job analysis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 Health & Nursing. 2015;27(2):11-22.
    25. Bang EP, Kim JH. Factors influencing intent to revisit of health screening center visito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0; 18(1):147-157.
    26. Dalei SR. Mixed method research. In: Futuristic Trends in Pharmacy & Nursing. Vol. 2. IIP Series. 2023. p. 155-162.
    27. Richards L, Morse JM. Read me first for a user's guide to qualitative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007. p. 21-116.
    28. Gift AG. Visual analog scales: Measurement of subjective phenomena. Nursing Research. 1989;38(5):286-288.
    29. Spielberger CD. Anxiety: State-trait process. In C. D. Spielberger,& I. G. Sarason (Eds). Stress and anxiet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75. p. 115-144.
    30. Kim JT, Shin DK. A study on Korean standardization of STAI. The New Medical Journal. 1978;32(2):69-75.
    31. Kim YS. Effect of preoperative education on postoperative recovery of pulmonary function, quality of sleep and level of satisfaction in nursing care [dissertation].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4. p. 1-46.
    32. Huh JY. Effect of nursing information provision on anxiety, discomfort, and nursing satisfaction of subject undergoing chemoport insertion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22. p. 1-89.
    33. Downe-Wamboldt B.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92;13(3): 313-321.
    34.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5. p. 289-331.
    35.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3;8(3):27-37.
    36. Cho SH, Suh EY. Mixed method study on patients' level and experience of anxiety before undergoing esophagogastroduodenoscopy.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20;17(2):61-71.
    37. Kang EK, Tae YS. The effects of information perception and social supports on anxiety in subjects of pre-colonoscopy. Journal of Wholistic Nursing Science. 2017;10(1):15-29.
    38. Choi JH, Jeong HW, Lee DW, Park KH, Kim GK. Factors related to pre-procedural anxiety for gastroscopy in health check examinee.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10;30 (12):923-927.
    39. Charney DS. Kaplan and Sadock's synopsis of psychiatry: Behavioral sciences/Clinical psychiatry, In: Sadock BJ and Sadock VA, eds. Anxiety disorders. 8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p. 579-583.
    40. Van Zuuren FJ, Grypdonck M, Crevits E, Vande Walle C, Defloor T. The effect of an information brochureon patients undergoing gastrointestinal endoscopy: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ling. 2006;64(1-3): 173-182.
    41. Kim HJ. The effects of the provision of preoperative information, after the operation for anxiety, pain andnursing satisfaction [dissertation]. Daejeon: Graduate School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Eulji University. 2011. p. 1-58.
    42. Choi HJ. Effects of multimedia-based information on anxiety, discomfort, and satisfaction with care among patients undergoing cerebral angiography [dissertation]. Pusan: Department of Nursing, Dong Eu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9. p. 1-76.
    43. Yeom EY, Kim MY. The ‘good nursing' experienced by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6 (3):275-286.
    44. Kim JS, Eom AH, Yu MS. Medical convergence analysis of complaint about medical service in an affiliated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6;7(5):117-125.
    45. Kang HS, CHO KJ, Choe NH, Kim WO. Reconstru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2;30(5):1230-1242.
    46. Karlsson M, Bergbom I, von Post I, Berg-Nordenberg L. Patient experiences when the nurse cares for and does not care for.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2004;8(3):30-36.
    47. Kwon YE, Kim BH. The effects of video-audio information provision on physical discomfort,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of the clients for gastroscopy. Korean Journal Adult Nursing. 2013;25(1):231-239.
    48. Van der Kruk SR, Zielinski R, MacDougall H, Hughes-Barton D, Gunn KM. Virtual reality as a patient education tool in healthcare: Ascoping review.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22;105(7):1928-1942.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triannual (thrice-yearly)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55-772-8234
      - E-mail: hchang@gnu.ac.kr